$\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ICAS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복합전극 결착특성 분석
Analysis on Adhesion Properties of Composite Electrod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SAICA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1 no.2, 2018년, pp.28 - 38  

변승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  노영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  진다희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유명현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이용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전극의 결착특성은 리튬이차전지의 장기신뢰성 확보와 고에너지밀도 구현을 위한 중요한 물성임에도 불구하고, 측정 기술의 한계로 관련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1{\sim}1000{\mu}m$ 두께의 코팅층을 절삭 및 박리하면서 결착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란 장비의 출현으로 전극 결착특성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SAICAS를 이용한 복합전극의 결착특성 분석 원리 및 측정 방법뿐만 아니라, Peel Test와 같은 기존 결착특성 분석 방법과 비교함으로써 SAICAS를 이용한 분석 방법의 신뢰성 검증 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전극 설계의 최적화, 신규 바인더 도출 연구, 복합전극 내 바인더 분포 등의 연구에서 SAICAS가 적용된 사례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SAICAS를 이용한 분석 방법이 리튬이차전지용 복합전극의 결착특성 분석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adhesion properties of composite electrodes are important for securing long-term reliability and realizing high energy densit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related research has not been carried out extensively due to the limitation of measurement technology. However, surface and i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7) 복합전극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복합전극 내 바인더의 분포가 균일해 전극의Microstructure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복합전극 내 바인더 분포 분석은 분석기기 및 분석 방법의 한계로 인해 진행이 쉽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 이차 전지의 고 에너지밀도 달성을 위해 하는 연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 중에서도 전극 기반의 고 에너지밀도를 달성하는 연구들이 중점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고 에너지밀도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는 전극 소재를 고용량 소재로 대체하거나 바인더, 도전재와 같은 용량을 구현하지 못하는 소재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5) 위와 같은 시도들은 실험실 기반 평가에서는 성공적이나 온도, 습도, 율속, 기기 진동 등 구동환경이 각기 다른 중대형 어플리케이션으로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SAICAS를 응용하여 할 수 있는 분석은? 하지만SAICAS란 분석기기의 출현으로 인해 리튬이차전지용 복합전극의 결착특성을 정성/정량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복합전극의 설계와 결착력간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고, 고용량 에너지 소재 기반 복합전극의 상용화를 위한 신규바인더 개발 연구 및 복합전극 내 바인더 분포특성 분석 또한 가능하였다. 따라서,SAICAS를 이용한 복합전극의 결착특성 분석이 고 에너지밀도 리튬이차전지 설계 최적화 및 장기신뢰성 확보에 필수적인 분석기법이 될 것이다.
복합전극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야기하는 문제는? 6,7) 또한 복합전극의 고 에너지밀도 달성을 위한 바인더 함량 최소화는 복합전극의 결착특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를 야기한다.8) 이러한 복합전극의 기계적 물성 저하는 다양한 환경에서 충방전 시 복합전극과 집전체간 박리현상 또는 복합전극 내 전극재의 박리에 따른 전극재의 고립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8,9) 위와 같은 현상들은 실제 최소8년에서 10년 이상의 장기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인 중대형 어플리케이션의 상용화 관점에서 큰 장애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M. Tarascon, 'Issues and challenges facing lithium batteries', Nature, 414, (2001). 

  2. M. Armand, J.-M. Tarascon 'Building better batteries', Nature, 451, (2008). 

  3. B. Scrosati, J. Hassoun, Y.-K. Sun, 'Lithium-ion batteries. a look into the future', Energy Environ. Sci., 4, (2011). 

  4. T. H. Kim, J. S. Park, S. K. Chang, S. Choi, J. H. Ryu, H. K. Song, 'The current move of lithium ion batteries towards the next phase', Adv. Energy Mater., 2, (2012). 

  5. Y.-H. Chen, C.-W. Wang, X. Zhang, A. M. Sastry, 'Porous cathode optimization for lithium cells: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vity, capacity, and selection materials', J. Power Sources, 195, (2010). 

  6. S. Byun, J. Park, W. A. Appiah, M.-H. Ryou, Y. M. Lee, 'The effects of humidity on the self-discharge properties of $Li(Ni_{1/3}Co_{1.3}Mn_{1/3})O_2$ /graphite and $LiCoO_2$ /graphite lithium-ion batteries during storage', RSC Adv., 7, (2017). 

  7. J. Park, W. A. Appiah, S. Byun, D. Jin, M.-H. Ryou, Y. M. Lee 'Semi-empirical long-term cycle life model coupled with an electrolyte depletion function for large- format graphite/ $LiFePO_4$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356, (2017). 

  8. B. Son, M.-H. Ryou, J. Choi, T. Lee, H. K. Yu, J. H. Kim, Y. M. Le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dhesion property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with SAICAS', ACS Appl. Mater. Interfaces, 6, (2014). 

  9. T. Yoon, S. Park, J. Mun, W. Choi, Y.-S. Kang, J.-H. Park, S. M. Oh, 'Failure mechanisms of $LiNi_{0.5}Mn_{1.5}O_4$ electrode at elevated temperature', J. Power Sources, 215, (2012). 

  10. Y. K. Jeong, T.-W. Kwon, I. Lee, T.-S. Kim, A. Coskun, J. W. Choi, 'Millipede-inspired structural design principle for high performance polysaccharide binders in silicon anodes', Energy Environ. Sci., 8, (2015). 

  11. Y. K. Jeong, T.-W. Kwon, I. Lee, T.-S. Kim, A. Coskun, J. W. Choi, 'Hyperbranced b-cyclodextrin polymer as an effective multidimensional binder for silicon anodes in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Nano Lett., 14, (2014). 

  12. W. Haselrieder, B. Westphal, H. Bockholt, A. Diener, S. Hoft, A. Kwade, 'A measuring the coating adhesion strength of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Int. J. Adhes. Adhes., 60, (2015). 

  13. H. Jeon, J. Choi, M.-H. Ryou, Y. M. Lee, 'Comparative study of the adhesion properties of ceramic composite separators using a 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 for lithium-ion batteries'. ACS Omega, 2, (2017). 

  14. S. T. Gonczy, N. Randall, 'An ASTM standard for quantitative scratch adhesion testing of thin, hard ceramic coatings', Int. J. Appl. Ceram. Technol., 2, (2005). 

  15. J. Choi, K. Kim, J. Jeong, K. Y. Cho, M.-H. Ryou, Y. M. Lee, 'Highly adhesive and soluble co-polyimide binder: improving the long-term cycle life of silicon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ACS Appl. Mater. Interfaces, 7, (2015). 

  16. D. Song, S. H. Lee, K. Kim, M.-H. Ryou, W. H. Park, Y. M. Lee, 'Soluble polyimide binder for silicon electrodes in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ppl. Chem. Eng., 26, (2015). 

  17. K. Kim, S. Byun, J. Choi, S. Hong, M.-H. Ryou, Y. M. Lee, 'Elucidating the polymeric binder distribution within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using SAICAS', Chem. Phys. Chem., (2018) DOI: 10.1002/cphc.201800072R1. 

  18. K. Kim, S. Byun, I. Cho, M.-H. Ryou, Y. M. Lee, 'Three-dimensional adhesion map based on 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 for predicting adhesion properties of composite electrode'. ACS Appl. Mater. Interfaces, 8, (2016). 

  19. M.-H. Ryou, J. Kim, I. Lee, S. Kim, Y. K. Jeong, S. Hong, J. H. Ryu, T.-S. Kim, J.-K. Park, J. W. Choi, 'Mussel-inspired adhesive binders for high-performance silicon nanoparticle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25, (2013). 

  20. A. Magasinski, B. Zdyrko, I. Kovalenko, B. Hertzberg, R. Burtovyy, C. F. Huebner, T. F. fuller, I. Luzinov, G. Yushin, 'Toward efficient binders for Li-ion battery Si- based anodes: polyacrylic acid', ACS Appl. Mater. Interfaces, 2, (2010). 

  21. J. Oh, D. Jin, K. Kim, D. Song, Y. M. Lee, M.-H. Ryou, 'Improving the cycling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y Si/graphite anodes using a soluble polyimide binder', ACS Omega, 2, (2017). 

  22. D. Song, D. Jung, I. Cho, M.-H. Ryou, Y. M. Lee, 'Mussel-inspired polydopamine-functionalized super-p as a conductive additive for high-performance silicon anodes', Adv. Mater. Inter., 3, (2016). 

  23. I. Cho, S. Gong, D. Song, Y.-G. Lee, M.-H. Ryou, Y. M. Lee, 'Mussel-inspired polydopamine-treated copper foil as a current collector for high-performance silicon anodes', Sci Rep., 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