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인더 함량에 따른 Li(Ni0.5Co0.2Mn0.3)O2 전극의 접착력 및 전기화학 성능에 관한 연구
Adhesive Strength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Ni0.5Co0.2Mn0.3)O2Electrodes with Lean Binder Composition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1 no.3, 2018년, pp.47 - 54  

노영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  변승우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  유명현 (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이용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에너지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일 전극 로딩 조건(${\sim}15mg\;cm^{-2}$)에서 면적당 용량($mAh\;cm^{-2}$)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을 4, 2, 1 wt%로 줄인 $LiNi_{0.5}Co_{0.2}Mn_{0.3}O_2$ 전극을 제조하였다. 바인더 함량이 1 wt%로 낮춘 경우, 압연펀칭 과정에서 전극 코팅층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추가 분석은 진행되지 않았다. 전극 내 바인더 함량을 4 wt%에서 2 wt%로 줄이면, 계면 접착력은 0.4846에서 $0.2627kN\;m^{-1}$로 약 46% 감소하고, 전극 코팅층의 강도도 3.847에서 2.013 MPa로 약 48%가 떨어졌다. 그러나, 두 전극을 리튬 전극과 반쪽 전지로 구성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초기 방전 용량과 충방전 효율은 유사하였다. 하지만, 단기 수명 평가에서 2 wt% 바인더 전극은 수명 특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전지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전극 코팅층이 집전체에서 박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반면, 4 wt% 바인더 전극은 높은 전극 로딩조건에서도 전극 코팅층과 집전체 계면이 잘 유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aximize the areal capacity($mAh\;cm^{-2}$) of $LiNi_{0.5}Co_{0.2}Mn_{0.3}O_2$(NCM523) electrode with the same loading level of $15mg\;cm^{-2}$, three NCM523 electrodes with 4, 2, and 1 wt% poly(vinylidene fluoride)(PVdF) binder content are fabricated. Due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바인더 함량이 감소함에 따른 초기 충방전 효율, 구현 방전 용량, 수명 특성 등을 비교함으로써 최소 바인더 함량 결정에 요구되는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수명 평가 후 전극 구조 변화를 관찰하여, 전극 바인더 함량 최소화 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높은 수준의 전극 로딩에서 바인더 함량감소가 전극의 접착력 및 전극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한다. 특히, SAICAS란 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전극 깊이에 따른 접착력을 정밀하게 측정함으로써, 전극 바인더 함량이 전극 내부뿐만 아니라 전극/집전체 계면에서의 접착 특성을 지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극의 표면 및 단면 몰폴로지와 조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장비는 무엇인가? 전지 수명평가 전/후 전극의 표면 및 단면 몰폴로지와 조성 분석을 위해 EDX(Energy-dispertive X-ray Spectroscopy) 검출기가 장착된 전계 방출 주사 전자현미경(FE-SEM, Hitachi S-4800, Hitachi, Japan)을 사용하였다. 특히, EDX의 원소 Mapping을 통한 바인더 함량이 다른 전극의 단면 시편을 제조하였는데, 2.
전극 및 전지 설계를 개선하려는 연구가 적극적으로 진행 중인 이유는 무엇인가? 1991년 리튬이온전지 상용화 이후 수많은 연구자들은 새로운 고용량 전극활물질을 찾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 상용화까지 성공한 전극 활물질은 매우 제한적이다. 대표적으로 LiCoO2의 층상구조를 유지하면서 Co를 Ni과 Mn으로 부분 치환하여 개발된 LiNixCoyMn1-x-yO2는 기존 150 mAh g-1 수준의 비용량을 200 mAh g-1로 향상시킨 예가 있다.9-12) 그러나, 소재 관점에서는 상당한 증가이나, 소비자의 높은 기대를 만족시키는 데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전극 및 전지 설계를 개선하려는 연구도 더욱 적극적으로 진행 중이다.
리튬이온전지는 특징은 무엇인가? 리튬이온전지는 가장 높은 중량당 그리고 부피당 에너지밀도로 인해, 휴대용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의 핵심 전원장치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1-3) 그러나, 무선 통신 속도가 빨라지고 통신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일 충전 주행거리 증대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전지의 에너지밀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한 연구와 개발은 전세계적으로 더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 Scrosati, J. Hassoun, and Y.-K. Sun 'Lithium-ion batteries. A look into the future', Energy Environ. Sci., 4, 3287 (2011). 

  2. M. Armand, and J.-M. Tarascon 'Building better batteries', Nature, 451, 652 (2008). 

  3. B. Dunn, H. Kamath, and J.-M. Tarascon, 'Electrical Energy Storage for the Grid: A Battery of Choices', SCIENCE, 334, 928 (2011). 

  4. T. H. Kim, J. S. Park, S. K. Chang, S. Choi, J. H. Ryu, and H. K. Song, 'The Current Move of Lithium Ion Batteries Towards the Next Phase', Adv. Energy Mater., 2, 860 (2012). 

  5. J. Qian, W. A. Henderson, W. Xu, P. Bhattacharya, M. Engelhard, O. Borodin, and J.-G. Zhang, 'High Rate and Stable Cycling of Lithium Metal Anode', Nat. Commun., 6, 636 (2015). 

  6. J. Park, J. Jeong, Y. Lee, M. Oh, M.-H. Ryou, and Y. M. Lee, 'Micro-Patterned Lithium Metal Anodes with Suppressed Dendrite Formation for Post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Interfaces, 3, 1600140 (2016). 

  7. Y.-H. Chen, C.-W. Wang, X. Zhang, and A. M. Sastry, 'Porous Cathode Optimization for Lithium Cells: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vity, Capacity, and Selection of Materials', J. Power Sources, 195, 2851-2862 (2010). 

  8. M. H. Ryou, D. J. Lee, J. N. Lee, Y. M. Lee, J. K. Park, and J. W. Choi, 'Excellent Cycle Life of Lithium-Metal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with Mussel-Inspired Polydopamine-Coated Separators', Adv. Energy Mater., 2, 645-650 (2012). 

  9. Y.-K. Sun, D.-H. Kim, C. S. Yoon, S.-T. M, J. Prakash, and K. Amine, 'A Novel Cathode Material with a Concentration-Gradient for High-Energy and Safe Lithium-Ion Batteries', Adv. Funct. Mater., 20, 485-491 (2010). 

  10. Y.-K. Sun, Z. Chen, H.-J. Noh, D.-J. Lee, H.-G. Jung, Y. Ren, S. Wang, C. S. Yoon, S.-T. Myung, and K. Amine, 'Nanostructured High-Energy Cathode Materials for Advanced Lithium Batteries', Nat. Mater., 11, 942-947 (2012). 

  11. S.-K. Jung, H. Gwon, J. Hong, K.-Y. Park, D.-H. Seo, H. Kim, J. Hyun, W. Yang, and K. Kang, 'Understanding the Degradation Mechanisms of $LiNi_{0.5}Co_{0.2}Mn_{0.3}O_2$ Cathode Material in Lithium Ion Batteries', Adv. Energy. Mater., 4, 1300787 (2014). 

  12. J. H. Lee, C. S. Yoon, J.-Y. Hwang, S.-J. Kim, F. Maglia, P. Lamp, S.-T. Myung, and Y.-K. Sun,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y using a carbon-nanotube-Si composite anode and a compositionally graded $Li[Ni_{0.85}Co_{0.05}Mn_{0.10}]O_2$ cathode', Energy Environ. Sci., 9, 2152-2158 (2016). 

  13. J. Choi, B. Son, M.-H. Ryou, S. H. Kim, J. M. Ko, and Y. M. Lee, 'Effect of $LiCoO_2$ Cathode Density and Thickness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ci. Technol., 4, 27-33 (2013). 

  14. M. Singh, J. Kaiser, and H. Hahn, 'Thick Electrodes for High Energy Lithium Ion Batteries', J. Electrochem. Soc., 162, A1196-A1201 (2015). 

  15. T. Yoon, S. Park, J. Mun, J. H. Ryu, W. Choi, Y.-S. Kang, J.-H. Park, and S. M. Oh, 'Failure Mechanisms of $LiNi_{0.5}Mn_{1.5}O_4$ Electrode at Elevated Temperature', J. Power Sources, 215, 312-316 (2012). 

  16. Y. K. Jeong, T.-w. Kwon, I. Lee, T.-S. Kim, A. Coskun, and J. W. Choi, 'Millipede-Inspired Structural Design Principle for High Performance Polysaccharide Binders in Silicon Anodes', Energy Environ. Sci., 8, 1224-1230 (2015). 

  17. M. Baunach, S. Jaiser, S. Schmelzle, H. Nirschl, P. Scharfer, and W. Schabel, 'Delamination Behavior of Lithium-Ion Battery Anodes: Influence of Drying Temperature during Electrode Processing', Drying Technol., 34, 462-473 (2016). 

  18. B. Son, M.-H. Ryou, J. Choi, T. Lee, H. K. Yu, J. H. Yu, and Y. M. Le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Adhesion Property of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with SAICAS', ACS Appl. Mater. Interfaces, 6, 526-531 (2014). 

  19. W. Haselrieder, B. Westphal, H. Bockholt, A. Diener, S. Hoft, and A. Kwade, 'Measuring the Coating Adhesion Strength of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Int. J. Adhes. Adhes., 60, 1-8 (2015). 

  20. J. Choi, K. Kim, J. Jeong, K. Y. Cho, M.-H. Ryou, and Y. M. Lee, 'Highly Adhesive and Soluble Copolyimide Binder: Improving the Long-Term Cycle Life of Silicon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ACS Appl. Mater. Interfaces, 7, 14851-14858 (2015). 

  21. K. Kim, S. Byun, I. Cho, M.-H. Ryou, and Y. M. Lee, 'Three-Dimensional Adhesion Map Based on 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 for Predicting Adhesion Properties of Composite Electrode'. ACS Appl. Mater. Interfaces, 8, 23688-23695 (2016). 

  22. S. Byun, Y. Roh, D. Jin, M.-H. Ryou, and Y. M. Lee, 'Analysis on Adhesion Properties of Composite Electrodes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using SAICAS', J. Korean Electrochem. Soc., 21, 28-38 (2018). 

  23. K. Kim, S. Byun, J. Choi, S. Hong, M.-H. Ryou, and Y. M. Lee, 'Elucidating the Polymeric Binder Distribution within Lithium-Ion Battery Electrodes Using SAICAS', Chem. Phys. Chem., 19, 1627-1634 (2018). 

  24. J. Choi, M.-H. Ryou, B. Son, J. Song, J.-K. Park, K. Y. Cho, and Y. M. Lee, 'Improved high-temperature performance of lithium-ion batteries through use of a thermally stable co-polyimide-based cathode binder', J. Power Sources, 252, 138-143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