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가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Professor Trust on Academic Engagement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357 - 365  

김은미 (한국간호교육평가원) ,  홍지연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경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참여와 임상실습교육환경, 그리고 교수에 대한 신뢰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향후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D시와 J도의 2개 대학교 간호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연구도구는 임상실습교육환경(CL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19문항, 교수신뢰(PTS, Professor Trust Scale) 27문항, 학업참여(UWES-S,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Students) 13문항으로 구성된 3가지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1.91세였으며 87.4%가 여학생이었다. 3학년이 50.5%, 4학년이 49.5%였으며 직전학기 성적은 중하 36.9%, 중상 35.1%, 상 16.2%, 하 1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학업참여는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교수신뢰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가 학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임상실습교육환경과 교수신뢰는 학업참여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에 직전 학기 성적도 학업참여에 영향으로 주어 이러한 변수들은 학업참여를 36.1%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신뢰변수의 하부요인을 중심으로 교수역량강화 방안, 교수-학생 간 신뢰증진프로그램, 더불어 임상실습교육 지도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연구 등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professor trust, and academic engagement in nursing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 the basis for nursing education improvement related to academic engagement in nursing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참여에 임상실습환경과 교수신뢰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학업참여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주요한 영역인 임상실습 교육환경이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맞고 있으며, 이는 간호교육기관은 물론 간호학생들에게 큰 부담감을 주는 원인은? 최근 메르스로 인한 국가적 문제의 발생으로 환자안전법(2016)이 제정되었고, 그에 따라 의료기관은 환자안전법 제9조 환자안전기준에 근거하여 환자 안전을 위해 실습학생들이 환자를 대상으로 실습내용을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를 제한하고 있다. 더욱이 간호교육의 교육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고등교육법(2015), 의료법(2012)의 개정으로 간호교육인증평가제가 실시되면서,간호교육평가인증기준[5]에서 제시하는 간호임상실습기관으로서 자격여건을 갖춘 보건의료기관은 한정적인데 반해 간호대학의 입학 정원은 해마다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6]. 이에 따라 간호교육의 주요한 영역인 임상실습 교육환경이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맞고 있으며, 이는 간호교육기관은 물론 간호학생들에게 큰 부담감이 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두고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으로 대두되는 두 가지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두고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으로 복잡한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기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1]. 역동적인 임상간호현장에서도 환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과 환자와 교감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은 간호전문성의 근간이 되는 간호실무역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역동적인 임상간호현장에서 간호실무역량의 핵심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앞두고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할 역량으로 복잡한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기술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1]. 역동적인 임상간호현장에서도 환자의 다양한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과 환자와 교감하기 위한 사회적 기술은 간호전문성의 근간이 되는 간호실무역량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OECD를 중심으로 추진하는 ATC (Assessment &Teaching Competency) 21st project[2]의 이론적 개념틀에 의하면 복잡한 문제해결능력은 비판적 사고력, 의사 결정력, 문제해결력이 통합되어 드러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사회적 기술은 의사소통능력을 기반으로 구성원들과 협력하는 능력(Collaboration & Teamwork),정보활용능력(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등을 포함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2. Griffin P., Care E.(2014). Developing leaner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3. ICN(2008),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Nurse Specialist. 

  4. WHO(2016), Global strategic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nursing and midwifery 2016-2020. 

  5.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www.kasbone.or.kr/kabon02/index04.php 

  6.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2017). The Result Analysis of Registered Nurse National Examination. http://www.kuksiwon.or.kr/Publicity/ItemInfoDataView.aspx?SiteGnb5&SiteLnb3 

  7. SB. Choi, MS. Lim,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and outcome of learning: focus on self-leadership and the cognitive and affective faculty trust of undergraduate student.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vol. 14, no. 3, pp. 65-84. 2012. 

  8. H. Park, Y. Han, M. Kim, A Study on the exploring the academic persistence of universities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8, no. 4, pp. 567-580, 2013. DOI: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5 

  9. YE. Kwon, SY. Kim.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mong Prospective Graduates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4, no. 1, pp. 80-88, 2018. 

  10. EY. Kim, SH. Yang, Effect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Anxi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4, pp. 417-425, 2015.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5.21.4.417 

  11. IS. Kwon, YM. Seo,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25-33,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25 

  12. JH. Song, MW. Kim.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2, pp. 251-264,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2.251 

  13. K. Midgley,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learning environment during clinical placem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 26, no. 4, pp. 338-345, 2006. DOI: https://doi.org/10.1016/j.nedt.2005.10.015 

  14. JA. Fredricks, PC. Blumenfeld, AH. Paris. School Engagement: Potential of the concept, state of the evidenc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 74, no. 1, pp. 59-109, 2004. DOI: https://doi.org/10.3102/00346543074001059 

  15. EA. Skinner, JP. Wellborn, JJ. Connell, What it takes to do well in school and whether I've got it: A process model of perceived control and children's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no. 1, pp. 22-32, 1990.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82.1.22 

  16. JA. Park, EK. Lee. Influence of ego-resil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3, pp. 267-276, 201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3.267 

  17. SV. Dunn, P. Burnett.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22, pp. 1166-1173, 1995.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5.tb03119.x 

  18. JY. Han.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C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2, no. 5B, pp. 2595-260, 2010. 

  19. EL. Jeong, YH. Par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ofessor trust scale(P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 28, no. 2, pp. 405-426, 2009. 

  20. WB. Schaufeli, L. Martinez, A. Marques-Pinto, M. Salanova, AB. Bakker,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 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vol. 33, pp. 464-481, 2002. DOI: https://doi.org/10.1177/0022022102033005003 

  21. H. Choo, W. Sohn, A validating academic engagement as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for Korean colleg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engagement, and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9, no. 3, pp. 485-503, 2012. DOI: https://doi.org/10.16983/kjsp.2012.9.3.485 

  22. EK. Lee, EJ. Ji.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 toward nurse-physician collabor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3, no. 2, pp. 126-135, 2016.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26 

  23. JY. Han, HS. Park.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8, no. 3, pp. 365-372, 2011. 

  24. E. Papastavrou, M. Dimitriadou, H. Tsangari, C. Andreou.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 research study. BMC Nursing, vol. 15, no. 44, pp. 1-10, 2016. DOI: https://doi.org/10.1186/s12912-016-0164-4 

  25. EY. Lee, SH. Kim. Effect of professor trust and learning flow among allied health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6, no. 4, pp. 643-649, 2016.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4.643 

  26. SY. Lee, YJ. Kang, Influence of instructor trust 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 16, no. 5, pp. 687-693, 2016.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5.687 

  27. SJ. Kim. Study on the process of colla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y grounded theory methodology,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vol. 11, no. 1, pp. 1-35, 2017. 

  28. HW. Kang. The verification on the mediating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learning flow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outdoor sports.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vol. 40, no. 2, pp. 18-29, 2016. 

  29. YA. Lah, JY. Lee, WH. Kim. Impac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on academic Engagement: a mixture modeling analysi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7, no. 1, pp. 369-390, 2016. 

  30. D. Flynn. Baccalaureate attainment of college students at 4-year institutions as a function of student engagement behaviors: social and academic student engagement behaviors matter.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 55, no. 5, pp. 467-493, 2014. DOI: https://doi.org/10.1007/s11162-013-9321-8 

  31. KN. Kim. Effects of profes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or trust,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 20 no. 2, pp. 99-123, 2016. 

  32. EA. Kim, KI. Park. Factor Affecting Adjustment of College Lif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20, no. 2, pp. 234-243, 20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2.234 

  33. GY. Choi.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vol. 21, no. 1, pp. 129-139. 2009 

  34. C. P. Lovecchio, M. K. DiMattio, S. Hudacek. Predictors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 secondary analysi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july/august 2015, pp. 252-254, 2015. 

  35. J. N, K. Christian, SG. Joshi, S. Naidu. Evaluation of the effect of clinical nurse mentors assigned to nursing students upon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clin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9, no. 2, pp. 40-45, 2017. DOI: https://doi.org/10.5958/0974-9357.2017.0003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