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학생의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8 no.3, 2011년, pp.365 - 372  

한지영 (신라대학교 간호학과) ,  박현숙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the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268) enrolled in one of 4 universities in 2 cities completed a survey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효율성,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이 인지하는 교수효율성,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도 높았다.
  • 본 연구는 교수효율성,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교수효율성, 임상실습교육환경, 임상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간호교육에서 특히 임상실습교육은 매우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러한 임상실습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므로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전략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효율성, 임상실습교육환경 및 임상실습수행능력과의 관계를 파악보고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실습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효율적인 임상실습교육에 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수효율성과 임상실습교육환경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임상실습교육의 질적인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간호실무 상황에서 적절한 지식, 판단, 기술을 통해 능숙하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간호교육의 핵심은 임상수행능력을 교육적으로 준비하는 것이다(Barrett & Myrick, 1998). 간호교육에서 임상수행능력은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 자아인지, 동기로 통합되어 구성되어 있고, 교육자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의 최종산물로서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고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Zhang, Lux, Arthur, & Wong, 2001).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병동수간호사, 프리셉터, 실습지도 교수들의 지도역량, 대인관계, 실습환경에 대한 만족도 등이다(Choi, E.
임상실습 교육환경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임상실습교육환경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학습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인 것으로(Chan, 2001), 임상환경에서 상호작용하는 힘들의 네트워크이다(Dunn & Burnett, 1995). 임상실습교육환경은 간호대학생이 간호기술과 지식을 획득하는 데 있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며, 실습을 위한 준비와 조직적인 기술, 그리고 역할 수행의 자신감을 가지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Chan, 2001; Midgley, 2006). 임상실습 교육환경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실습관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실습에 있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Choi, G.
간호교육에서 실습교육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은 실용학문으로 이론 강의만으로는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임상적 판단 및 태도교육을 학습할 수 없으므로 실습교육은 간호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이다(Kim, Nam, & Kim, 2004). 최근 임상의 흐름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다른 보건의료 요원들의 급격한 지적수준의 향상, 기술의 향상 그리고 간호사들의 분야별 전문화과정으로 인해 간호교육과 실습이 변해야 함은 물론 학생들의 질적인 임상실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Adams,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ams, V. J. (2002). Consistent clinical assignment for nursing students compared to multiple placem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 80-82. 

  2.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 364-371. 

  3. Chan, D. (2001).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tool to assess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 Nurse Education Today, 21, 624-631. 

  4.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222-231. 

  5. Choi, E. H. (2009).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5-21. 

  6. Choi, G.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regarding clinical practice environment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129-139. 

  7. Choi, H. Y. (199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linical performance and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8. Choi, K. O., Jo, H. S., & Kim, C. Y. (2001). The teaching effectiveness of preceptorship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Bulletin of Gachongil, 29, 51-58. 

  9. Choi,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Clare, J., White, J., Edwards, H., & van Loon, A. (2002). Curriculum, clinical education, recruitment, transition, and retension in nursing. AUTC Phase One Final Report, Flinders University, Adelaide, Australia. 

  11. Close, L. Koshar, J. H., & Del Carlo, T. (2000). Clinical collaborative model: A new twist on old challenge. Nurse Educator, 25, 25-27. 

  12. Dunn, S. V., & Burnett, P. (1995). The development of a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scal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 1166-1173. 

  13. Dunn, S. V., & Hansford, B. (1997).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 perceptions of their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 1299-1306. 

  14.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 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28, 1-11. 

  15. Han, J. Y. (2010).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CL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12, 2595-2607. 

  16. Jerlock, M., Falk, K., & Severinsson, E. (2003). Academic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Too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ursing & Health Science, 5, 219-228. 

  17. Kim, M. A. (1996). A study of teaching effectiveness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Kim, M. A., Nam, S. H., & Kim, H. E. (2004). Change in student nurses' perception between initial and final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 21-30. 

  19. Kim, Y. H. (2006). Autonomy,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or fundamentals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 6-14. 

  20. Ko, K. J. (2003).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21. Lee, W. H., Kim, J. J., Yoo, J. S., Huh, H. K., & Lim, S. M. (1990). A research tool for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Bulletin of Yonsei Nursing, 13, 17-27. 

  22. Midgley, K. (2006).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learning environment during clinical placements. Nurse Education Today, 26, 338-345. 

  23. Nahas, V. L., & Yam, B. M. C. (2001). Hong Kong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clinical teache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0, 233-237. 

  24. Reeve, M. M. (199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effectiveness of clinical instruc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 15-20. 

  25. Yang, J. J. (2000). The influencing factors on nursing perspective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6, 276-286. 

  26. Yang, J. J. (2009). The inf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 159-165. 

  27. Yang, J. J., &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 271-277. 

  28. Yu, P. S., Kim, E. S., Kim, H. K., Lee, S. H., Hyoung, H. K. Eom, A. Y., et al. (2008). The perception degree of teaching effectiveness of nurses and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 311-320. 

  29. Zhang, Z., Lux, W., Arthur, D., & Wong, T. (2001). Nursing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 contributing to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 467-4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