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건축시공 교육 콘텐츠 개발 및 효용성 검증
Development of Contents For Building Construction Education Using Smart Media and Utility Verification of the Content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9 no.3, 2018년, pp.23 - 32  

윤지인 (숭실대학교 건축학과) ,  김택중 (숭실대학교 건축학과) ,  최윤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규모가 대규모가 됨에 따라 건설 산업 실무감각, 현장의 간접경험을 통하여 졸업후 건설산업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예비 엔지니어링 양성을 목표로 건축교육 개선을 위한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교육 중 실무적인 이해가 많이 필요한 건축시공교육의 겨우 여전히 기존 텍스트북 위주의 교육수업과 현장견학에 한정되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타임랩스,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의 스마트 미디어를 접목시켜 간접적인 실무경험이 가능한 교육 콘텐츠 개발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용성, 실용성(학습적합도), 필요성, 상용화 가능성의 항목을 기준으로 개발한 콘텐츠의 효용성 검증하였다. 이를 기반을 콘텐츠의 장점을 살린 건축시공교육 콘텐츠를 통해 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omes larger, there are many tries to change the construction education for growing the pre-engineering who has many directly experience. However, architectural construction education, which requires a lot of practical understanding, is still limited to ed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축교육 자료 및 콘텐츠의 현황조사를 위하여 현재 건축 학습에 이용되는 주 교육 자료 및 콘텐츠와 이를 습득하는 방법 및 다양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 건축학습의 성취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건축학습에 필요한 교육 자료 및 콘텐츠 습득 만족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료 및 콘텐츠 습득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7.
  • 본 연구는 현장성 결여 및 이론중심적인 국내 대학 건축시공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타임랩스,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 등의 매체를 스마트 미디어에 접목한 건축시공교육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한 건축시 공교육 콘텐츠에 대한 효용성 검증을 통해 건축시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이론중심의 교실수업과 현장견학에 국한된 건축시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무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를 접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성 결여 및 이론중심적인 국내 대학 건축시공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타임랩스,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 등의 매체를 스마트 미디어에 접목한 건축시공교육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한 건축시 공교육 콘텐츠에 대한 효용성 검증을 통해 건축시공교육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현장체험이 필요한 건축 관련 전공 학생들과 건설현장 실무자들이 시공과정 및 공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개발한 건축시공 교육 콘텐츠의 효용성 검증을 위하여 2016년 5월~6월 2달 동안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 대상은 시공 관련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교 학부생 및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본 콘텐츠의 사용성과 효과성 검증에 적합하도록 평가 항목과 내용을 도출하기 위하여 콘텐츠 평가 기준 및 방법에 대한 기존문헌을 [Table 5]와 같이 고찰하였다.
  • 이미 박물관·미술관, 과학, 의료, 교육 등의 분야에서는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간접적인 체험 및 시뮬레이션으로 다양한 교육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정책 추진에 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동영상, 사진, 애니메이션, 타임랩스 등의 다양한 형태 매체를 융합한 교육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는 시공과정 및 공법에 대한 효과적인 이해와 체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기존의 연구들은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시스템 적용 방향과 이를 위한 동영상 및 정보처리 시스템을 제안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스마트 미디어를 활용한 건축시공 교육 콘텐츠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용성 검증결과를 분석하였다.
  • 4%로 반 이상이 만족하기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 건축교육 자료 및 콘텐츠 구성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론위주의 구성으로 현장성 결여라는 문제점이 4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노후화된 자료와 최신화 부족에 대한 문제점이 20%로 높았다.
  • 이에 본 연구는 건축시공교육의 이론 중심 교실수업과 한정적인 현장견학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타임랩스,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 등의 스마트 미디어를 접목시킨 교육콘텐츠 개발을 제안하였다. 개발한 콘텐츠는 한 공종에 대한 이론과 현장시공프로세스에 따른 설명, 실제 현장 사례를 통하여 세부 공법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또한, 주로 인터넷 검색으로 습득한 건축교육 자료 및 콘텐츠의 다양성이 없고 한정적이며, 현장성이 결여된 이론위주의 구성과 노후화된 자료의 최신화 부족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흥미도, 이해도를 높이고 이론 위주의 구성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현장성을 경험할 수 있는 건축학습 자료 및 콘텐츠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 하지만 실무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이나 실제적으로 학생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건축시공교육자료 및 콘텐츠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론중심의 교실수업과 현장견학에 국한된 건축시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무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를 접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성 결여 및 이론중심적인 국내 대학 건축시공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타임랩스,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 등의 매체를 스마트 미디어에 접목한 건축시공교육 콘텐츠를 제안하고자 한다.
  • 현재 학생들이 이용하는 건축교육 자료 및 콘텐츠의 학습적합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건축교육 자료 및 콘텐츠의 흥미도, 이해도, 구성도, 성취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수업구성 차이는? 국내 건축대학은 건축학과 건축공학을 분리하면서 건축학 분야는 건축설계 중심의 건축가 양성을 위한 설계스튜디오 수업, 건축공학 분야는 건축 엔지니어링 양성을 위한 전통적인 공학분야의 수업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분리로 계획 및 설계분야 전공과 공학분야 전공의 인적, 학문적 교류가 단절된 부분이 많다.
건축학습에 이용되는 주 교육 자료 및 콘텐츠는 무엇인가? 현재 건축학습에 이용되는 주 교육 자료 및 콘텐츠는 전문 서적이 50.4%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수업하시는 교수님의 경험 및 자료를 바탕으로 직접 만든 교육 PPT(동영상/애니메이션)와 건축교육 관련 유인물이 각각 27.6%, 18% 순으로 높았다. 반면 스마트 미디어(전자앱)를 활용한 교육 자료를 이용하는 학생은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분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국내 건축대학은 건축학과 건축공학을 분리하면서 건축학 분야는 건축설계 중심의 건축가 양성을 위한 설계스튜디오 수업, 건축공학 분야는 건축 엔지니어링 양성을 위한 전통적인 공학분야의 수업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렇게 건축학과 건축공학의 분리로 계획 및 설계분야 전공과 공학분야 전공의 인적, 학문적 교류가 단절된 부분이 많다. 또한, 건설현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실험 및 실습 교육과정에 비해 이론 위주의 교육이 진행되어 현장에 대한 감각이 부족하고 실무에 대한 이해도도 부족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hn, S. H. (2002). "Research of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learning Type for Educational Web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tns Association, 2(3), pp. 22-30. 

  2. Cha, S. H. (2005). "A Study on Method for Lear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of e-learning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9(2), pp. 309-318. 

  3. Chin, S. Y. (2001). "A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constructio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2), pp. 523-526. 

  4. Han, T. I. (2015). "A Study on the Technical Evaluation of the Quality Certification for e-Learning Cont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2), pp. 49-66. 

  5. Kang, S. K. (2015). "Priority analysis for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contents to improve building construc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5(3), pp. 93-94. 

  6. Lee, H. J. (2009). "A Strategy of Learner-Centered Usability Evaluation for Quality Management in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Information and Media, 15(3), pp. 63-88. 

  7. Lee, J. (2012). "A Study on Directions of Effective Architectural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7), pp. 41-48. 

  8. Lee, J. Y. (2009). "A Feasibility Study on Application of Web Multimedia for Construction Education." Proceedings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9, pp. 715-719. 

  9. Yang, J. H. (2011). "Developing Building Construction Education System Using Web Multimedia and BIM." The Thesis for Master's Degree, University of Chung-A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