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과 교과과정 내의 횡문화 간호 교육 현황
Current Status of Transcultural Nursing Education in Nursing Baccalaureate Program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4 no.2, 2018년, pp.181 - 189  

장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정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transcultural nursing education in nursing baccalaureate programs. Methods: The nursing curricula from 185 out of 194 nursing colleges that received accredit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109 (58.9%) nursing colleges offered 117 trans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횡문화 간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횡문화 간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횡문화 간호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횡문화 간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과과정 내의 횡문화 간호 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횡문화 간호 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횡문화 간호 교육의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횡문화 간호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교과과정 내의 횡문화 간호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간호학사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국내 185개의 간호학과의 교과과정표 및 교과과정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횡문화 간호 관련 교과목 개설 여부, 강의종류 및 형태, 교과목명, 강의 내용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된 서술적 단면연구이다.
  • 사회가 세계화되어가는 변화 속에서 국내의 횡문화 간호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횡문화 간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적으로 적합한 간호란? 간호대상자에게 문화적으로 적합한 간호가 제공되면 간호대상자는 간호 수행에 협조적이고 순응하고 만족하며, 나아가 대상자의 건강 결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Leininger & McFarland, 2002). 문화적으로 적합한 간호란 간호대상자에게 문화적으로 일치하고 의미있으며 유익한 돌봄을 제공하는 것으로 횡문화 간호의 본질이자 목적이라 할 수 있다(Leininger, 1999; Leininger & McFarland, 2002). 국내도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바뀌어 가면서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문화 및 언어적 차이로 인하여 의료서비스 이용 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wang, 2010; Kim, 2009; Koh & Koh, 2009).
간호사가 횡문화 간호를 이해할 때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는? 문화는 인간의 권리로서 돌봄을 받는 동안에 문화적 가치관, 신념, 요구는 이해되고 존중되며 적합하게 다루어져야 한다(Leininger & McFarland, 2002). 따라서 간호사가 문화와 돌봄 현상에 대한 교육을 받고 횡문화 간호를 이해하고 문화적으로 적합한 간호를 수행하면 문화적 충돌, 갈등, 스트레스, 그리고 해가 될 수 있는 간호 수행 같은 환자에게 부정적이고 위험이 될 수 있는 결과를 예방할 수 있다(Leininger & McFarland, 2002). 또한 문화적 돌봄은 대상자 중심의 돌봄을 제공한다는 것에 근거를 두고 있고, 나아가 환자 옹호자로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대상자의 의료 불균형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간호사에게 횡문화 간호는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된 지식과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AACN], 2008a; Gilbert, 2003).
국내의 횡문화 간호 교육의 현황은? 8%의 학교에 ‘문화와 간호’ 또 ‘다문화 간호’ 강의가 개설되어 있었고, 간호사 국가고시 과목 중 일부의 과목에서 ‘다문화 간호’ 또는‘ 다문화 여성의 건강간호’라는 소주제로 제한적인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수준이다(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7). 이렇듯 국내에서도 횡문화 간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규 교과과정 내에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해 자세히 알기가 어렵고, 또한 횡문화 간호 교육에 대한 기준 및 지침이 없으며 교육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효과에 대해서도 알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O. H., Chang, S. J., & Kim, S. H. (2016).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o improve multicultural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4), 253-265. 

  2.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a, February 1). Cultural competency in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Retrieved from Nursing http://www.aacnnursing.org/Education Resources/Tool-Kits/Cultural-Competency-in-Nursing-Education 

  3.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b, February 1).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Retrieved from http://www.aacnnursing. org/Education-Resources/AACN-Essentials 

  4.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c, February 1). Tool kit of resources for cultural competent education for baccalaureate nurses. Retrieved from http://www.aacnnursing.org/Education-Resources/Tool-Kits/Cultural-Competency-in-N ursing-Education 

  5. Andrews, M. (1995). Transcultural nursing: Transforming the curriculum.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6(2), 4-9. 

  6. Baker, S. S., & Burkhalter, N. C. (1996). Teaching transcultural nursing in a transcultural setting.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7(2), 10-13. 

  7. Campinha-Bacote, J. (1998). Cultural diversity in nursing education: Issues and concern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7(1), 3-4. 

  8. Campinha-Bacote, J. (2006).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curricula: How are we doing 20 years later?.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5(7), 243-244. 

  9. Chae, M. J., Kim, J. I., & Lee, J. H. (2015). Effects of a multicultural course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373-381. 

  10. Cho, C. H. I., Han, S. Y., & Seo, S. H. (2017). Effects of a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4), 406-415. 

  11. Choi, K. S., Kim, H. S., Lee, S. Y., Dressel, A., Galvao, L. W., & Jun, M. H. (2016).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global health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20-227. 

  12. Gilbert, M. J. (2003). Principles and recommended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Woodland Hills, CA: The California Endowment. 

  13. Govere, L., & Govere, E. M. (2016). How effective is cultural competence training of healthcare providers on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of minority group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13(6), 402-410. 

  14. Hwang, D. S. (2010).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usage for the medical institutions by foreign workers & the plan for activ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Kim, H. (2009).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50-64. 

  16. Kim, M. W., Park, J. M., & Han, A. K. (2011). Analysis of curriculum of 4-year nursing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14-423. 

  17. Kim, S. H. (2013).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and its effec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80-593. 

  18. Koh, C. K., & Koh, S. K. (2009). Married female migrants' experiences of health care servic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89-99. 

  19. Korea Immigration Service. (2016). Korea immigration service statistics 2015. Gwache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2017, February 1). Learning goals for nursing students. Retrieved from http://www.kan.or.kr/kor/sp_library/sp_library02.php?modeview&number5533&page1&b_namenurse_data 

  21. Leininger, M. M. (1999). What is transcultural nursing and culturally competent car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0(1), 9-9. 

  22. Leininger, M. M., & McFarland, M. R. (2002). Transcultural nursing: Concepts, theories, research and practice (3rd ed.). [Place of publication not identified]: McGraw Hill Medical Pub Division. 

  23. Marcinkiw, K. L. (2003). A goal for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23(3), 174-182. 

  24. Noble, A., Nuszen, E., Rom, M., & Noble, L. M. (2014). The effect of a cultural competence educational intervention for first-year nursing students in Israel.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5(1), 87-94. 

  25. Peek, E. H., & Park, C. S. (2013). Effects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on the cultural competence, empathy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5), 690-696. 

  26. Ryan, M., Carlton, K. H., & Ali, N. (2000). Transcultural nursing concepts and experiences in nursing curricula.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1(4), 300-307. 

  27. Yoon, I. J. (2008).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2(2), 72-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