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미론(氣味論)의 기준(基準)에 대(對)한 소고(小考) -마황(麻黃), 계지(桂枝), 작약(芍藥)을 중심(中心)으로-
Brief Review on the Standard of the Taste and Property -centered on the Mahwang(麻黃), Gyeji(桂枝), Jagyak(芍藥)-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6 no.2, 2018년, pp.123 - 127  

이태희 (가천대 한의대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the proper and taste in Korean Medicine. Methods : The change of the proper and taste of Mahwang(麻黃), Gyeji(桂枝), Jagyak(芍藥) and the change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wa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藥理的으로 연구된 결과들을 인용하여 요약 정리함으로써 氣味論에 대한 입장을 정리하고자 한다.
  • 緖論에서 밝힌 것처럼 氣味論을 韓藥理論의 근간으로 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本草 方劑書籍에 기록된 氣味는 일정한 기준이 없다. 그래서 이에 대한 중간연구 결과로 麻黃과 桂枝 그리고 芍藥의 예를 들어 氣味論에 대한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그래서 문헌적 내용과
  • 그러나 氣味를 麻黃, 桂枝와 芍藥을 중심으로 확인해본 결과 氣味論에 대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기에 중간 결과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麻黃란 무엇인가? 麻黃은 麻黃科(麻黃科:Ephedraceae)에 속한 多年生 草本인 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또는 同屬植物의 草質莖으로, 中國에서는 中麻黃 Ephedra intermedia Schrenk et C.A. Mey 或은 木賊麻黃Ephedra equisetina Bge.도 使用하며, 氣味가 辛苦 溫, 辛微苦溫하며 肺, 膀胱經으로 歸經하여 發汗散寒, 宣肺平喘, 利水消腫하여 風寒感冒, 胸悶喘咳, 風水水腫의 증상에 적용되어 왔다.1) 따라서 麻黃은 지금까지 주로 發汗散寒 작용을 가진 藥物로서 그 機能에 의해 宣肺平喘과 利水消腫의 作用을 가진 藥物로서 氣味는 당연히 辛苦溫 或은 辛微苦溫이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알고 있다.
氣味의 기준을 『神農本草經』으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이유는? 1) 麻黃의 氣味는 苦溫과 辛苦溫, 辛微苦溫이 있는데 辛味는 明代 『本草經疏』에서 삽입된 바, 『神農本草經』의 氣味로서 苦溫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2) 桂枝의 氣味는 辛溫과 辛甘溫이 있는데 甘味는 明代 『本草經疏』에서 삽입한 바, 『神農本草經』의 氣味로서 辛溫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3) 芍藥의 氣味는 酸寒과 苦平이 있는데 酸寒은 『名醫別錄』에서 수정한 것으로 『神農本草經』의 苦平이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桂枝의 發汗과 止汗 작용에 대한 주 작용 부위에 관해 어떠한 가설이 있는가? 桂枝의 發汗과 止汗 작용에 대해 주 작용 부위는 衛分이라는 설, 營分이라는 설과 營과 衛分의 양쪽에서 작용한다는 설의 3가지로 정리된다고 하겠다. 衛分設을 주장한 학자는 黃宮綉7), 成無已이며8), 營分設을 주장한 학자는 王紱, 黃元御, 唐容川이며 黃元御는 芍藥은 營中의 熱을 淸하고, 桂는 營氣의 鬱을 達하게 한다고 하였으며7) 辛 甘溫으로 받아들여 肝脾의作用으로 桂枝의 藥理를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erbology Textbook Committee for Nationwide School of Korean Medcine Compilation. Herbology, 2nd ed. Seoul:Yeongnimsa, 2011:73-80, 151-155, 635-636. 

  2. Tae Hee Lee. Literature Investigation on the Diaphoretic Effect by the Pungent Taste of Mahwang, Journal of Kyung W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Research Center, 2000;3:129-135. 

  3. Formulae Pharmacology Professors of Korean Medicine School Compilations. Formulae Pharmacology, 2nd ed. Seoul:Yeongnimsa, 2006:603-605. 

  4. E. Zeisberger. From humoral fever to neuroimmunological control of fever, J. of Thermal Biology, 1999;24:287-326. 

  5. Kelley S. Madden. Sympathetic neural-immune interactions regulate hematopoiesis, thermoregulation and inflammation in mammals, Developmental & Comparative Immunology, 2017;66:92-97. 

  6. You-Ping Zhu. Chinese Materia Medica-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Netherlands: harvood academic publishers, 1998:45-51. 

  7. Tae Hee Lee. Literature Investigation on the Pharmacological Mechanism of Diaphoretic and Antidiphoretic Action by Gyeji, Journal of Kyung W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Research Center, 2000;4:81-87. 

  8. Seong Mugi, Gwon 2 In:Seong Mugi. Sanghannon, Daebuk:Daeman junghwaseoguk, 1977:22-26. 

  9. Soo Jin Ahn, Tae Hee Lee. Review on the Therapeutic Mechanism and the Proper and Taste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of the efficacy of Jagyak, Journal of Kyung Won University Korean Medicine Research Center, 2002;5:45-65. 

  10. Rami composed. Gogeummyeonguibangnon, Gang 1 st ed. Gangso:Gangso gwahakgisulchulpansa, 1983:88-89. 

  11. Zhang Soo Yi. Bonchojeongui, 1st ed. Seoul: Cheonghong, 2009:142-143. 

  12. Joo Baekdo. Bonchosabyeollok, Sanghae:Sanghaegwahakgisulchulpansa,1985:124-1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