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산균 발효에 따른 볶은 아마씨 추출물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flaxseed Extracts Based on Lactic-acid Bacteria Fermentation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5 = no.217, 2018년, pp.547 - 554  

박예은 (비에이치앤바이오) ,  김병혁 (비에이치앤바이오) ,  윤여초 (비에이치앤바이오) ,  김중규 (비에이치앤바이오) ,  이준형 (비에이치앤바이오) ,  권기석 (안동대학교 생약자원학과) ,  황학수 ((주)교촌F&B) ,  이중복 (비에이치앤바이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아마씨의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가열 처리된(볶은) 아마씨에 4종의 유산균(NFFS ; Non-fermented flaxseed, BHN-LAB31, 126 ; Lactobacillus brevis, BHN-LAB41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109 ;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70% 에탄올을 통해 추출하여 각 발효 유산균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하지 않은 아마씨(NFFS)에 비해 유산균 발효 아마씨에서 전반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 약 1.5~8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약 1.2배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능은 100 ppm 농도에서 비 발효 아마씨 대비 5.6배, SOD 유사활성능은 2.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유산균을 이용한 아마씨의 발효가 가능하며, 유산균 발효가 아마씨의 항산화능 증대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기능성 식품 또는 화장품 소재로의 개발 및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also called linseed and one of the raw materials for making linen, is rich in omega-3 fatty acids, vegetable estrogen, ${\alpha}$-linolenic acid, and dietary fiber. Studies on flaxseed have reported various additional effects, such as the inhibition of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아마씨의 유산발효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유산균 발효 아마씨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유산발효가 아마씨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천연물 기반 기능성 물질 개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마씨의 효능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본 연구는 유산균을 이용해 발효한 아마씨의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기 위해 가열 처리된(볶은) 아마씨에 4종의 유산균(NFFS ; Non-fermented flaxseed, BHN-LAB31, 126 ; Lactobacillus brevis, BHN-LAB41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109 ; Lactobacillus casei)을 접종하여 $37^{\circ}C$에서 7일 동안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70% 에탄올을 통해 추출하여 각 발효 유산균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마씨의 함유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아마(Linum usitatissimum L.)의 종자인 아마씨(Flaxseed)는 아마인(仁)이라고도 불리며 오메가-3 지방산, 식물성 에스트로겐, 알파-리놀렌산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 저해, 혈액응고 저해, 종양의 성장 억제 등 다양한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 되어있다.
대표적인 슈퍼씨앗에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인 슈퍼푸드에는 마늘, 브로콜리, 아몬드, 블루베리 등이 있으며, 그 중에도 생명의 시작이라고 하는 씨앗이 대중의 주목을 받으며 ‘슈퍼씨앗’이라 불리고 있다. 대표적인 슈퍼씨앗에는 아마씨(Flaxseed), 치아씨(Chiaseed), 햄프씨(Hempseed)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구상 가장 강력한 식물이란 별명을 가진 아마씨의 특성에 주목하였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kan, Y., Haefeli, W., Burhenne, J., Stein, J., Yaniv, I. and Shalit, I. 2004. Voriconazole-induced QT interval prolongation and ventricular tachycardia: a non-concentration-dependent adverse effect. Clin. Infect. Dis. 39, e49-e52. 

  2.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 

  3. Chang, H. G. and Park, Y. S.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Appl. Biol. Chem. 46, 367-375. 

  4.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nd Aruoma, O.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5. Hosseinian, F. S., Muir, A. D., Westcott, N. D. and Krol, E. S. 2006. Antioxidant capacity of flaxseed lignans in two model systems. J. Am. Oil Chem. Soc. 83, 835. 

  6. Hyon, J. S., Kang, S. M., Han, S. W., Kang, M. C., Oh, M. C., Oh, C. K., Kim, D. W., Jeon, Y. J. and Kim, S. 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J. Kor. Soc. Food Sci. Nutr. 38, 1310-1316. 

  7. Ibrugger, S., Kristensen, M., Mikkelsen, M. S. and Astrup, A. 2012. Flaxseed dietary fiber supplements for suppression of appetite and food intake. Appetite 58, 490-495. 

  8.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and Itakura, Y.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 60, 417-420. 

  9. Jeon, J. M., Choi, S. K., Kim, Y. J., Jang, S. J., Cheon, J. W. and Lee, H. S. 2011.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 of ginseng berry extract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J. Soc. Cosmet. Sci. Kor. 37, 75-81. 

  10. Jeong, H. J., Park, S. B., Kim, S. A. and Kim, H. 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11. Jun, H. S., Choi, Y. K., Won, Y. S., Hun, B. H. and Kim, J. W. 1999.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infec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of mouse. Kor. J. Dairy Sci. 21, 171-182. 

  12. Kim, E. J., Choi, J. Y., Yu, M. R., Kim, M. Y., Lee, S. H.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3. Kim, H. S. and Gilliland, S. E. 1983. Lactobacillus acidophilus as a dietary adjunct for milk to aid lactose digestion in humans1. J. Dairy Sci. 66, 959-966. 

  14. Kim, H. W. 2000.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compounds of sesame oils with roasting temperature. Kor. J. Food Sci. Technol. 32, 246-251. 

  15. Kwon, O. J. 2016. Characterization of flaxseed and flaxseed oil as edible oil resources. Kor. J. Food Preserv. 23, 547-552. 

  16. Lee, M. Y., Yoo, M. S., Whang, Y. J., Jin, Y. J., Hong, M. H. and Pyo, Y. H. 2012. Vitamin C,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several fruit peels. Kor. J. Food Sci. Technol. 44, 540-544. 

  17. Lim, J. A. and Lee, J. H. 2015.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okies supplemented with black sesame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44, 1058-1063. 

  18. Lim, J. D., Cha, H. S., Choung, M. G., Choi, R. N., Choi, D. J. and Youn, A. R. 2014. Antioxidant activities of acidic ethanol extract and the anthocyanin rich fraction from Aronia melanocarpa. Kor. J. Food Cook Sci. 30, 573-578. 

  19.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FEBS J. 47, 469-474. 

  20. Na, G. M., Han, H. S., Ye, S. H. and Kim, H. K. 2004. Physiological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 J. Food Preserv. 11, 388-393. 

  21. Nam, J. S. 2010.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 (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Kor. J. Food Nutr. 23, 516-525. 

  22. Park, B. G., Lee, S. Y. and Lee, M. H. 2017.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ponge cake added with flaxseed powder. Culinary Science Hospitality Research 23, 207-215. 

  23. Park, G. H., Lee, S. H., Kim, H. Y., Jeong, H. S., Kim, E. Y., Yun, Y. W., Nam, S. Y. and Lee, B. J. 2011. Comparison in antioxidant effects of four citrus fruits. J. Food Hyg. Saf. 26, 355-360. 

  24. Park, S. H., Lee, S. J., Jeon, M. J., Kim, S. Y., Mun, O. J., Kim, M. H., Kong, C. S., Lee, D. G., Yu, K. H. and Kim, Y. Y. 2014.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Hizikia fusiformis extracts. J. Life Sci. 24, 304-310. 

  25. Prasad, K. 2005. Hypocholesterolemic and antiatherosclerotic effect of flax lignan complex isolated from flaxseed. Atherosclerosis 179, 269-275. 

  26. Rice Evans, C., Miller, N.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7. Seo, E. J., Hong, E. S., Choi, M. H., Kim, K. S. and Lee, S. 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42, 750-754. 

  28. Shida, K., Makino, K., Morishita, A., Takamizawa, K., Hachimura, S., Ametani, A., Sato, T., Kumagai, Y., Habu, S. and Kaminogawa, S. 1998. Lactobacillus casei inhibits antigen-induced IgE secretion through reg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in murine splenocyte cultures. Int. Arch. Allergy Immunol. 115, 278-287. 

  29. Smeriglio, A., Galati, E. M., Monforte, M. T., Lanuzza, F., D'angelo, V. and Circosta, C. 2016.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ld-pressed seed oil from finola cultivar of Cannabis sativa L. Phytother Res. 30, 1298-1307. 

  30. Song, H. S., Kim, H. K., Min, H. O., Choi, J. D. and Kim, Y. M. 2011.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izikia fusiforme water extract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Kor. J. Fish Aquat. Sci. 44, 104-110. 

  31. Thompson, L. U., Rickard, S. E., Orcheson, L. J. and Seidl, M. M. 1996. Flaxseed and its lignan and oil components reduce mammary tumor growth at a late stage of carcinogenesis. J. Carcinog. 17, 1373-1376. 

  32. Woo, J. Y., Paek, N. S. and Kim, Y. M. 2005.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Kor. J. Food Nutr. 18, 28-38. 

  33. Zhishen, J., Mengcheng, T. and Jianming, W.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