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사료를 첨가한 먹이원의 급여가 부식성 식용곤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nimal Feed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Edible Inse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5 = no.217, 2018년, pp.563 - 568  

송명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이희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  박관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곤충산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곤충은 식량 기능성 소재 농업자재 등 미래의 농업자원으로 유망하며, 지속적인 시장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갈색거저리 유충, 쌍별귀뚜라미, 흰점박이꽃무지 및 장수풍뎅이의 유충이 일반식품원료로 인정됨에 따라 식용곤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량생산을 위한 사육기술의 표준화 및 먹이원 개발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 유충의 발육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애견사료 및 양돈사료와 같은 시판 중인 가축사료와 밀기울을 첨가한 발효톱밥을 이용하였다. 밀기울 첨가 처리구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곤충 먹이원의 소재로 사용되기에 부적합한 발육양상을 보였다. 애견사료 및 양돈사료를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하였을 때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 모두에서 유충의 생존율 및 증체율이 높고 유충기간이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애견사료 5% 첨가 조건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증체율은 초기 무게와 대비하여 179.2%로 가장 높았고, 장수풍뎅이 유충의 증체율은 애견사료 2.5% 첨가 조건에서 299.9%로 가장 높았다. 또한, 애견사료 2.5% 첨가 사료를 급여했을 때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의 유충기간은 약 67일과 116일로 기본 발효톱밥을 급여한 대조구에 비해 40일 이상 짧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축사료는 부식성 식용곤충에 우수한 발육 효과를 나타내는 곤충 먹이원의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sect industry is a promising agricultural resource and expected to grow steadily. In Korea, Gryllus bimaculatus and the larvae of Tenebrio molior, Protaetia brevitarsis, and Allomyrina dichotoma were listed as general food ingredients. As interest in these edible insects increases, rearing 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식용곤충으로 많이 사육되고 있는 흰점박이꽃무지와 장수풍뎅이 등과 같은 부식성 식용곤충의 생육을 촉진하면서 안정적인 사육을 도모하기 위해 주먹이원인 발효톱밥에 밀기울과 애견사료 및 양돈사료를 농도별로 첨가하여 다양한 먹이원 급여에 따른 발육증진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충은 영양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영양적으로는 곤충이 대체 단백질원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단백질(약 23~66 g/100 g 생중량)이 풍부하다[1, 4]. 혈행 개선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는 불포화지방산이 총 지방산 중 70% 이상을 차지하며, 비타민과 미네랄 함량 또한 높아 영양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2,3, 27].
식량으로써 가축에 대비한 곤충의 장점은? 곤충은 가축에 비해 사육 면적이 좁아 토지 이용 효율이 높고, 한번에 알을 수십 개에서 수백 개 낳으며, 1년에 세대가 여러 번 순환되므로 빠른 기간 내에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사료 효율이 높아 곤충 사육에 드는 비용도 다른 가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그리고 농업이나 축산업은 비료, 농약, 배설물 등으로 인한 토양오염과 메탄가스로 인한대기오염 등과 같은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곤충에 의해 배출되는 유해가스의 양은 다른 가축의 10분의 1~100분의 1 수준에 불과해 곤충 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평가된다[18]. 또한 곤충을 사육할 때 분뇨나 퇴비 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친환경적 장점으로 꼽힌다[16, 18, 25]. 영양적으로는 곤충이 대체 단백질원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단백질(약 23~66 g/100 g 생중량)이 풍부하다[1, 4].
곤충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제정된 법은? 국내에서는 이러한 곤충을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0년 8월「곤충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제정과 2차례에 걸친 5개년 계획 수립·시행을 통해 시장규모가 2011년 1,680억원에서 2015년 3,039억 원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사육농가수도 265호에서 724호로 2.7배나 증가하는 등 성장한 데 이어 오는 2020년에는 곤충산업 규모를 5,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사육농가 1,200호를 육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1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k, M., Hwang, J., S., Kim, M., A., Kim, S., H., Goo, T., W. and Yun, E. Y. 2017.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edible insects registered as novel foods. J. Life Sci. 27, 334-338. 

  2. Bukkens, S. G. F. 1996. The nutritional value of edible insects. Ecol. Food Nutr. 36, 287-319. 

  3. Chung, M. Y., Kwon, E. Y.,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and harmful material of Protaetia brevitarsis. J. Life Sci. 23, 664-668. 

  4. FAO. 2013. Edible Forest Insects. Human bite back. Rome 

  5. Jiraphon, S. and Tasanee, J. 2001. Industrial mass rearing of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L.). Kaen Kaset Khon Kaen Agri. J. 29, 194-200. 

  6. Jongema, Y. 2012. List of Edible Insects of the World. http://www.ent.wur.nl. 

  7. Kim, H. A., Lee, S. H., Choi, Y. C., Park, K. H., Hwang, J. S., Kim, N. J. and Nam, S. H. 2013. Comparison of fibrinolytic activity from Korean indigenous insects. J. Seric. Entomol. Sci. 51, 147-152. 

  8. Kim, S. Y., Chung, T. H., Kim, S. H., Song, S. H. and Kim, N. J. 2014. Recyciling agricultural wastes as feed for mealworm (Tenebrio molitor). Kor. J. Appl. Entomol. 53, 367-373. 

  9. Kim, Y., Han, H. and Park, Y. 2015. The plan for activation of insect indust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orea.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1. The first five-year plan to nurture the edible insect industry. 

  11.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6. The second five-year plan to nurture the edible insect industry.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0. Act on fosterage and support of the insect industry,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0. Guideline for safety evaluation of new food materials. 

  1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Korean Food Standards Codex (2014-106). 

  1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Food Sanitation Act, revised notice (2016-18). 

  16. Nakagaki, B. J. and Defoliart, G. R. 1991. Comparison of diets for mass-rearing Acheta domesticus (Orthoptera, Gryllidae) as a novelty food, and comparison of food conversion efficiency with values reported for livestock. J. Econ. Entomol. 84, 891-896. 

  17. Nowak, V., Persijn, D., Rittenschober, D. and Charrondiere, U. R. 2016. Review of food composition data for edible insects. Food Chem. 193, 39-46. 

  18. Oonincx, D. G., van Itterbeeck, J., Heetkamp, M. J. W., van den Brand, H., van Loon, J. J. A. and van Huis, A. 2010. An exploration on greenhouse gas and ammonia production by insect species suitable for animal or human consumption. PLoS One 5, 1-7. 

  19. Rosenfelder, P., Eklund, M. and Mosenthin, R. 2013. Nutritive value of wheat and wheat by-products in pig nutrition: A review. Anim. Feed Sci. Technol. 185, 107-125. 

  20. Sah, L. P. and Jung, C. E. 2012. Global perspective of edible insects as human food. Kor. J. Soil Zool. 16, 1-8. 

  21. Song, M. H., Han, M. H., Lee, S., Kim, E. S., Park, K. H., Kim, W. T. and Choi, J. Y. 2016. Effect of different diets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two-spotted cricket, Gryllus bimaculatus (Orthoptera: Gryllidae). Int. J. Indust. Entomol. 33, 59-62. 

  22. Song, M. H., Han, M. H., Lee, S., Kim, E. S., Park, K. H., Kim, W. T. and Choi, J. Y. 2016.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composition in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fed agricultural by-product, soybean curd cake. J. Life Sci. 27, 1185-1190. 

  23. Song, M. H., Han, M. H., Lee, S., Kim, E. S., Park, K. H., Kim, W. T. and Choi, J. Y. 2017. A field survey on edible insect farms in Korea. J. Life Sci. 27, 702-707. 

  24. Srivastava, S. K., Badu, N. and Pandey, H. 2009. Traditional insect bioprospecting-As human food and medicine. Indian J. Tradit. Know. 8, 485-494. 

  25. van Huis, A. 2013. Potential of insects as food and feed in assuring food security. Annu. Rev. Entomol. 58, 563-583. 

  26. Van Huis, A., Van Itterbeeck, J., Klunder, H., Mertens, E., Halloran, A., Muir, G. and Vantomme, P. 2013.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7. Yoo, J., Hwang, J. S., Goo, T. W. and Yun, E. Y.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tional and harmful components in Korean and Chinese mealworms (Tenebrio molitor). Kor. Soc. Food Sci. Nutr. 42, 249-25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