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5, 2018년, pp.303 - 31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국어과 수업에서 미래학생역량에 중점을 두고 교수학습을 전개했을 때 교사들이 겪는 실제 수업상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 국어과 현장 교사와의 초점 접단 인터뷰를 통해 평소 수업에 대한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핵심역량기반 수업설계전략을 현장에 접목한 후 교사들의 피드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전개, 교사준비, 행정지원의 측면에서 현재 수업 상황에서 미래학생역량이 반영될 때 해결해야 할 중요한 사항들을 지적하였다. 학생들의 성취기준과 핵심역량목표와의 간극이 해결되어야하며 이를 위한 평가실시 및 학생피드백에 대한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정립과 수업전략설계를 위한 집중 연수가 필수적이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적 행정지원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uture student competency based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to examine how they can be combined with current classes based on achievement criterion.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teachers to find current lesson plans and 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2020년 요구되는 교육목표로는 어떠한 능력을 기르는 것인가? | 2016년 1월 세계경제포럼 (일명 다보스 포럼)에서 2020년 요구되는 교육목표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1위로 선정되었고, 그 다음은 비판적 사고, 창의력, 사람관리, 협업 능력이 선정되었다. 교육부의 미래 학생역량 총론 및 국어과의 핵심역량으로 비판. | |
미래 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의 현실은 어떠한가? | 2016년 기계 바둑 기사 알파고와 인간 바둑기사 이세돌의 대결은 미래 교육을 대비하는 우리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었다. 인공지능 기계를 설계하고 만든 것도 사람이고, 인간 바둑기사를 교육시킨 것도 사람이지만 우리는 마치 기계에 맞서 학생들이기계를 물리칠 수 있도록 누가 무슨 내용의 교육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 토론하고 현재의 교육시스템을 어떻게 획기적으로 고쳐야할 것인지 논쟁한다. 특히 현재 교육과정에서 교육내용이나 교육방법의 변화만 가져온다고 미래인재를 제대로 양성할 수 없으며 일련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즉, 평가와 기록시스템의 변화까지 수반하는 통합적인 사고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6][7]. 현재의 우리나라 대학입시와 교육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기대치를 감안하면 학교의 미래사회 준비는 교육정책과 현장수업설계와 운영이 일체성을 가지고 신속하게 움직여야 할 것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와 같은 사회현상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교교육에 요구되는 혁신과 개혁의 핵심내용이 되는 학생 미래 역량과 실천 과제들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
4차산업혁명 시대에서 미래 교육에 대한 토론 주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미래에도 학교 환경은 지금처럼 교사중심으로 유지될 것인가. 교사는 학생들이 어떤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양성할 것인가. 교과별 핵심가치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학생들은 무엇을 배우고 어떤 활동을 해야 하는가. 이런 오래된 토론 주제는 4차산업혁명 시대를 눈앞에 두고 더욱 절실해졌다[19][20]. |
권호정, 윤성민, 김민정, 이승주, 정병호, 윤길원 권영선, 장병탁, 송기원, 양혁승, 이원재, 김형순, 이종완, 이칠우, 김상용, 김현철 김병연. 남효순. 호모컨버전스: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아시아, 2016.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R&D Inl, Vol.3, pp.46-58, 2016.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7&no434411, 2017.6.29.
교육과정평가원, 지능정보사회 대비 학교교육의 방향탐색, 2016 KICE 이슈페이퍼, 2016.
박영숙, 2020 미래교육보고서, 서울: 경향미디어, 2010.
박영숙, 제롬글렌, 유엔미래보고서 2045, 서울: 교보문고, 2015.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011.
김혜숙, 계보경, 길혜지, 전종희, "스마트교육이 학교교육에 미치는 영향: 세종시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Vol.40, No.3, pp.27-48, 2013.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5, 2015.
이은하, 최은정, "핵심역량과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가능성 탐색," 아시아 교육연구, Vol.16, No.2, pp.201-230, 2015.
조은순, 전영주, 남민우, 김현진, 스마트교육의 미래 비전 방향,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20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평가기준개발연구, 연구보고서, 2016.
M'hamed Jamili, "Creative teachers and their instructional methods, approaches & activities," The magazine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Sept.) 2017.
부산시교육연구정보원,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자 중심 수업적용방안, 2016년도 부산교육정책연구보고서, 2016.
조은순, 남민우, 조재윤, 김현진, 미래핵심역량중심 세종형 수행평가 모델개발,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교육청, 2016.
조은순, 이해듬, 스마트 교육 학교에서의 교사역량에 대한 분석연구: 세종시 스마트 교육 기존 실시와 신규실시 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 추계학술대회 발표, 서울대학교, 2016.
http://news.joins.com/article/21278404, 2017.2.19
Envisoning Technology. Future of Education. Retrieved. April 23, 2015, from http://www.envisioning.io/education/2015
G. J. Hwang, "Definition, framework and research issues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s-a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perspective," Smart Learning Environment, 1:4, 2014.
ITU,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2013. Retrieved April 23, 2015, from http://www.itu.int/pub/D-IND-ICTOI-2013/en 2013.
J. M. Spector, "Conceptualizing the emerging field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 Smart Learning Environment, Vol.1, No.2, pp.1-10, (online), 2014.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