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 유형에 따라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행동 탐색
Exploring of Reaction Behavior to Instructor Messages according to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5, 2018년, pp.514 - 524  

이은철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 활동 촉진을 위해 교수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하였을 때, 학습동기(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반응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A대학과 B대학의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협력학습을 수행하였고, 교수자는 총 6회의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이후 학습자들의 반응 시간과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메시지를 전달하기 전보다 이후가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이 모두 높아졌다. 교수메시지에 대한 반응 시간은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을 가진 학생들이 가장 빨랐으며, 스캐폴딩 형태의 메시지에는 숙달목표지향성의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독촉의 메시지에는 수행회피목표지향성 학생들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마지막으로 숙달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새로운 주제에 대한 행동이 많았고, 수행접근목표지향성 학생들은 정확성과 관련성에 대한 행동이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arners' reaction behaviors by the type of learning motive when teaching messages were deliver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2 students from Auniversity and B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were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The in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수자의 메시지에 따라 학습동기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반응을 나타내는지 행동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유형을 검사하고, 온라인 학습환경을 구성하여 협력과제를 수행하고, 반응 시간과 상호작용의 빈도와 수준을 수집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교수자의 메시지에 따라 학습자들의 반응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동기(성취목표지향성) 유형에 따라 교수자의 메시지에 대한 반응 행동 양상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 이와 같은 결과는 교수자가 상호작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였을 때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21]. 이에 교수자는 온라인 학습 환경을 사용하고자 할 때, 교수 메시지 전달 계획 및 내용을 함께 수립할 것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교수 메시지를 설계할 때,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자의 메시지가 구체적으로 상호작용과 학습자들의 반응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 연구들을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자의 메시지에 따라서 학습자들의 반응행동을 탐색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표준화된 교수적 처치를 개발하는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지만,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연구들은 현재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 가운데 행동의 매우 높은 수준에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검증되어 있는 학습동기 가운데 성취목표지향성[9]에 따라서 교수자의 메시지에 어떻게 반응 행동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양상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와 함께 새로운 글이 작성되거나 자신의 작성한 글에 답글 또는 댓글이 작성될 때 알림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그룹별로 게시판을 형성하여 협력 활동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나뉘는가? 온라인 협력학습은 공동의 지식을 구성을 위해 협업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기에 상호작용이 반드시 일어나게 된다. 온라인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은 크게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 자료의 유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세 유형의 상호작용 가운데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협력학습의 결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장단점은 무엇인가? 특별히 스마트디바이스가 발달하여, 개인 컴퓨터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하던 시기보다 시공간의 제약을 더욱 받지 않는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서 매우 자유롭게 언제 어디서서 협력활동을 할 수 있는 것이 매우 큰 특징이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7]. 또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인터넷을 통해서 즉각적으로 검색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면대면 협력 학습보다 사고와 지식의 수준이 매우 깊어 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대면 협력활동 보다 책임감이 적은 것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온라인 협력활동은 학습자가 관심을 가지고 집중하지 않으면 소홀해 질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2]. 이에 학습자가 온라인 협력학습에 정기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지원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라인 협력학습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온라인 협력학습은 온라인 학습 환경을 통해서 다수의 학습자가 과제를 수행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력적 활동을 통해서 공동의 지식을 구성하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온라인 협력학습의 특성은 몇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 및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협력스크립트 형태의 토론 성찰일지 작성의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33권, 제2호, pp.239-267, 2017. 

  2. 이은철, "라포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51권, 제3호, pp.57-82, 2013. 

  3. 김동식, 권숙진, "CSCL에서 스캐폴딩의 유형이 공유 정신 모형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제22권, 제1호, pp.1-34, 2006. 

  4. 김민정, "위키 협력학습 지원 스크립트 개발을 위한 설계기반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4호, pp.47-75, 2009. 

  5. 이은철, 김민정, "위키(wiki) 기반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통합적 지원 모형 개발 및 효과성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3호, pp.587-617, 2012. 

  6. 한희섭, 김현철, "Wiki 기반 협력학습에서 적응적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그룹 활동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41-48, 2006. 

  7. 이은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고성취 집단의 학습과정에서 나타난 상호작용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2호, pp.159-190, 2015. 

  8. 이은철,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유형과 수준이 온라인 협력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91-110, 2013. 

  9. D. H. Schunk, P. R. Pintrich, and J. Meece,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2009. 

  10. J. Brophy,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NY: Taylor & Francis, 2010. 

  11. 선종삼, 김동식, "위키기반 CSCL에서 그라운딩 지원도구의 설계기반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2호, pp.149-186, 2010. 

  12. H. Bouta, S. Retalis, and F. Paraskeva, "Utilising a collaborative macro-script to enhance student engagement: A mixed method study in a 3D virtual environment," Computers & Education, Vol.58, No.1, pp.501-517, 2012. 

  13. A. Alm, "CALL for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Motivating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in Web 2.0," The JALT CALL Journal, Vol.2, No.3, pp.29-38, 2006. 

  14. M. V. Covington and E. Dray, "The development course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A. Wigfield and J. S. Eccles (Ed), Development of Achievement Motivation, pp.32-53, San Diego: Academic Press, 2002. 

  15. M. Csikszentmihalyi, Flow: The psychology of happiness, London; Random House, 2013. 

  16. D. Stipek,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 MA; Allyn & Bacon, 2002. 

  17. P. H. M. Sins, W. R. V. Joolingen, E. R. Savelsbergh, and B. V. Hout-Wolters, "Motivation and performance within a collaborative computer-based modeling task: Relations between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fficacy, cognitive processing, and achieve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33, pp.58-77, 2008. 

  18. P. R. Pintrich, D. A. F. Smith, T. Garcia, and W. J. McKeachie,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Ann Arbor: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to Improve Postsecondary Teaching and Learning,"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1. 

  19. D. R. Newman, B. R. Webb, and A. C. Cochrane, "A Content Analysis Method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in Face-to-Face and Computer Supported Group Learning," Interpersonal Computing and Technology, Vol.3, No.2, pp.56-77, 1996. 

  20. 이은철,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7호, pp. 416-424, 2017. 

  21. R. Hamalainen and P. Hakkinen, "Teachers' instructional planning fo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Macro-scripts as a pedagogical method to facilitate collaborative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6, No.4, pp.871-877, 2010. 

  22. K. Makitalo-Siegl, C. Kohnle, and F. Fischer,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and classroom scripts: Effects on help-seeking processes and learning outcomes," Learning and Instruction, Vol.21, No.2, pp.257-266,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