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최근 60년간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국지적 기후변화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Impact of Regional Anthropogenic Climatic Change in Urban and Rural Areas in South Korea (1955-2016)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0 no.3, 2018년, pp.37 - 50  

윤동현 (Department of Bioresources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남원호 (Department of Bioresources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홍은미 (School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태곤 (Institute on the Environment, University of Minnesota) ,  허창회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for both urban and rural areas can be attributed to multiple factors. Two factors affecting these characteristics include: 1) greenhouse gases related to global warming, and 2) urban heat island (UHI) effects caused by changes in surface land use and energy balances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지역과 비도시 지역에서 인구수를 지표로 한 도시화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 외에 지역에 따라 국지적인 기온 상승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서 유의미한 유의성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전 지구적인 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와 더불어 국지적인 도시화가 추가적인 기온 상승을 야기한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1955-2015년, 약 60년간 도시화에 따른 우리나라 기후변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12개 지역에 대한 인구수와 기상 데이터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으로는 단순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에 인구수를, 종속변수에 기상 인자 (연평균 최고기온, 연평균 최저기온, 연 누적 강수량)를 사용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인 기후변화(Anthropogenic climatic change)와 종관 규모에서의 자연적 기후변화 (Natural climate change)에 기인한 부분을 정량적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측기간을 고려하여 도시화의 정도가 서로 다른 도시 지역 8곳 및 비 도시지역 4곳을 선정하여 최근 60년간 (1955∼2016년) 기상청 관측소의 기상자료(연평균 최고기온, 연평균 최저기온, 연누적 강수량)와 각 관측 지점별 인구수 및 인구증가/감소 추세를 비교함으로써 도시화율의 변화가 기상요소에 미치는 영향의 지역별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 2010), 도시화와 극한기후의 관계 분석에 대한 연구 (Lee and Heo, 2011) 등에서 인구지표를 도시화 지표로써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지표를 통해 도시화 정도를 추정하였으며,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의 구분을 통해 도시화가 국지적인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Park (1986)은 도시의 인구수와 최대 도시열섬효과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귀 방정식을 유도하였고 인구 30만 명을 기준으로 회귀식의 최대 기울기 차이를 도출하였으며, 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 1993). 20세기 전 지구적인 급격한 이상기후의 증가와 더불어 호우, 태풍의 강도 증가, 폭설과 한파의 잦은 내습, 극심한 가뭄 등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가 발생하고 있으며 (Jangand Kim, 2008), 우리나라 또한 기상, 생태, 환경, 수자원 등 광범위한 부문에서 지역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감지되고 있다 (Nam et al., 2015).
기온 상승의 특성의 원인은 무엇인가? 18) 상승하였으며 (Trenberthet al., 2007), 이러한 기온 상승의 특성은 지역별 위도별로 상이한 종관 규모 (Synoptic scale)에서의 온실가스 (GreenHouse Gas, GHG) 증가로 인한 온난화 (Global warming)와 동시에 도시화 (Urbanization)에 따른 열섬 현상 (Urban Heat Island effect, UHI)을 포함한 인위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날 수 있다. 도시화는 인구 집중과 도시 규모 증가를 동반하고, 지표면 재질 변화, 지역의 에너지 균형 변화, 녹지 부족 등 열섬현상을 초래하며, 도시화에 따른 지면 피복의 변화는 관측된 온난화 신호에 일정 부분 기여한다 (Kim and Baik, 2005; Jeong et al.
195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는 서울 기온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Lee (1978)에 의하면 도시 기온의 경년변화는 도시 발달에 따른 인위적인 영향과 기후변동에 의한 자연적 변화가 복합되어 나타나며, 서울의 도시 발달로 인한 인위적인 기온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인위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추풍령과 비교하였고, 그 결과 추풍령의 기온 상승 경향은 동계 최저기온의 상승률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Cho et al. (1988)은 75년간 서울 기온 자료를 분석하여 기온 증가 경향과 도시의 성장률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서울 근교와 서울 도심 사이의 기온 차이가 뚜렷하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H. M., C. H. Cho, and K. W. Chung, 1988. Air temperature changes due to urbanization in Seoul a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4(1): 27-37 (in Korean). 

  2. Choi, G. Y., J. N. Choi, and J. W. Kim, 2000. The temporal variations of summer temperature in central area of Korea during the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5(4): 519-528 (in Korean). 

  3. Choi, Y., H. S. Jung, K. Y. Nam, and W. T. Kwon, 2003. Adjusting urban bias in the regional mean surface temperature series of South Korea, 1968-99.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3: 577-591. doi:10.1002/joc.881. 

  4. Chung, U., J. Choi, and J. I. Yun, 2004. Urbanization effect on the observed change in mean monthly temperatures between 1951-1980 and 1971-2000 in Korea. Climatic Change 66(1-2): 127-136. doi:10.1023/B:CLIM.00000 43136.58100.ce. 

  5. Davis, K., 1965. The urbanization of the human population. Scientific America 213: 40-53. doi:10.1038/scientificamerican 0965-40. 

  6. Diem, J. E., and T. L. Mote, 2005. Interepochal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Evidence of possible urban effects near Atlanta, Georgi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4(5): 717-730. doi:10.1175/ JAM2221.1. 

  7. Eldridge, H. T., 1942. The process of urbanization. Social Forces 20(3): 311-316. doi:10.2307/3005615. 

  8. Ha, K. J., E. H. Ha, C. S. Yoo, and E. H. Jeon, 2004. Temperature trends and extreme climate since 1909 at big four cities of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0(1): 1-16 (in Korean). 

  9. Ho, C. H., E. J. Lee, I. Lee, and S. J. Jeong, 2006. Earlier spring in Seoul,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6: 2117-2127. doi:10.1002/joc.1356. 

  10. Jang, J. Y., and S. H. Kim, 2008. Globalization and the nation's health; Climate change and health.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4(1): 38-53 (in Korean). 

  11. Jeong, J. H., C. H. Ho, H. W. Linderholm, S. J. Jeong, D. Chen, and Y. S. Choi, 2011. Impact of urban warming on earlier spring flowering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1: 1488-1497. doi:10.1002/joc.2178. 

  12. Kim, K. H., B. J. Kim, J. H. Oh, W. T. Kwon, and H. J. Baek, 2000. Detection of urbanization effect in the air temperature change of Ko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6(5): 519-526 (in Korean). 

  13. Kim, M. K., I. S. Kang, and C. H. Kwak, 1999. The estimation of urban warming amounts due to urbanization in Korea for the recent 40 year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5(1): 118-126 (in Korean). 

  14. Kim, T. H., 1997. Methods and evaluation of korean population censu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 27-46 (in Korean). 

  15. Kim, Y. H., and J. J. Baik, 2005. Spatial and temporal structure of the urban heat island in Seou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4(5): 591-605. doi:10.1175/JAM 2226.1. 

  16. Kim, Y. H., D. Y. Choi, and D. E. Chang, 2011. Characteristics of urban meteorology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tmosphere 21(3): 257-271 (in Korean). 

  17. Koo, H. J., Y. H. Kim, and B. C. Choi, 2007.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urban heat island structure in Seoul. Journal of Climate Research 2(2): 67-78 (in Korean). 

  18. Lee, C. B., 1978. On the secular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in Seoul.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14(1): 29-35 (in Korean). 

  19. Lee, C. B., J. C. Kim, and Y. J. Jang, 2012. A study of urban heat island in Chuncheon using WRF model and field measure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8(2): 119-130. doi:10.5572/KOSAE.2012. 28.2.119. (in Korean). 

  20. Lee, M. I., and I. S. Kang, 1997. Temperature variability and warming trend in Korea associated with global warming.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3(3): 429-443 (in Korean). 

  21. Lee, S., and I. Heo, 2011. The impacts of urbanization on changes of extreme events of air temperatur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3): 257-276 (in Korean). 

  22. Lee, S. H., and H. D. Kim, 2008. Effects of regional warming due to urbanization on daytime local circulations in a complex basin of the Daegu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7: 1427-1441. doi:10.1175/JAMC1504.1. 

  23. Lee, S. H., M. H. Park, and H. D. Kim, 2008. Study on the variation of nighttime cooling rate associated with urban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1): 83-90 (in Korean). 

  24. Li, Q., W. Li, P. Si, G. Xizorong, W. Dong, P. Jones, J. Houang, and L. Cao, 2010. Assessment of surface air warming in northeast China, with emphasis on the impacts of urbanizatio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99: 469-478. doi:10.1007/s00704-009-0155-4. 

  25. Nam, W. H., E. M. Hong, and J. Y. Choi, 2015. Has climate change already affecte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trends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South Kore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50: 129-138. doi:10.1016/j.agwat.2014.11.019. 

  26. Nam, W. H., E. M. Hong, and G. A. Baigorria, 2016. How climate change has affected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t various time scales in Nor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6: 722-734. doi:10.1002/joc.4378. 

  27. Park, B. I., 1996. On the interannual change of mean temperatures and the effect of urbanization on it Korea.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4(1): 109-119 (in Korean). 

  28. Park, H. S., 1986. Features of the heat island in Seoul and its surrounding 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20(10): 1859-1866. doi:10.1016/0004-6981(86)9 0326-4. 

  29. Rho, C. S., 1973. On the rising trend of air temperature in Seoul Area.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9(2): 49-58 (in Korean). 

  30. Ryoo, S. B., W. T. Kwon, and J. G. Jhun, 2004. Characteristics of wintertime daily and extreme minimum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4: 145-160. doi:10.1002/joc.990. 

  31. Trenberth, K. E., P. D. Jones, P. Ambenje, R. Bojariu, D. Easterling, A. Klein Tank, D. Parker, F. Rahimzadeh, J. A. Renwick, M. Rusticucci, B. Soden, and P. Zhai, 2007. Observations: Surface and atmospheric climate change.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