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의 성희롱 인식 정도가 성희롱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on Nursing Students' Coping Behavior during Clinical Practi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2, 2018년, pp.76 - 83  

강경아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sexual harassment and the coping behavior of recipients of sexual harassment. This study also assess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ping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Metho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의 성희롱 인식 정도와 성희롱 대처유형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의 성희롱 대처유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성희롱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성희롱 인식과 대처유형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희롱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성희롱에 대한 대처 성향이 강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성희롱 예방교육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처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은 어떤곳인가? 이러한 성희롱 문제는 특정지위나 직종에서만 발생하는것이 아니라 공공기관, 학교 및 병원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과 직종에서 발생하고 있다[1,2]. 의료기관은 의사, 간호사, 환자, 보호자 및 기타 의료종사자 등과 같은 다양한 직종과 사회적 위치에 있는 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의료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으로[3] 의료종사자들은병원내구성원들과상호작용하는과정에서다양한폭력상황에노출되고있으며특히간호사는다른직종의의료종사자에비해병원 내 폭력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고 폭력적인 공격을 경험할 확률이 4배나 높다[4].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정신적 스트레스, 성희롱, 따돌림, 신체 및 언어적 폭력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5] 폭언, 폭행 및 성희롱의 가해자로는 환자, 보호자, 의사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간호사는 성희롱의 주된 피해자였다[4-6].
성희롱의 공통적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 매스컴을 통해 성희롱 및 성폭력 피해 사례들이 빈번하게 보도되고 있는데 일련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성희롱의 공통적 특성은 집단 내 구성원들 사이에 성차별적인 인식이 존재하며 특히 지위와 권력을 이용하여 상대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성희롱 문제는 특정지위나 직종에서만 발생하는것이 아니라 공공기관, 학교 및 병원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과 직종에서 발생하고 있다[1,2].
의료현장에서 성희롱과 같은 폭력을 경험한 대상자들은 어떤 상황에 처하는가? 의료현장에서 성희롱과 같은 폭력을 경험한 대상자들은 극도의 스트레스와 자존감 손상 및 모욕감 등의 부정적 정서를 갖게 된다고 하였다[12,13]. 이로 인해 학생들은 간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되고 결국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 및 의료종사자들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게 됨으로써 간호학을 포기하거나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14]. 그러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병원 내 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의 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NY, Bae EK, Kim GS, Won MK, Gu MY, Sung JS. A study on the reality of sexual harassment in 2015. Final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5 Dec. Report No.: 2015-10. 

  2. Lee YR, Kim KM, Choi SE.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40-50.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3. Park HJ, Kang HS, Kim KH, Kwon HJ.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and coping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3):291-301. https://doi.org/10.12934/jkpmhn.2011.20.3.291 

  4. Wells J, Bowers L. How prevalent is violence towards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in the U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2;39(3):230-240.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2.02269.x 

  5. Pinar T, Acikel C, Pinar G, Karabulut E, Saygun M, Bariskin E, et al. Workplace violence in the health sector in Turkey: A national stud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015;32(15):2345-2365. https://doi.org/10.1177/0886260515591976 

  6. Son YJ, Gong HH, You Ma, Kong SS. Relationships between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5;17(1):515-530. 

  7. Arulogun OS, Omotosho IK, Titiloye MA.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coping strategies among students of the school of nursing of a tertiary hospital in southwest Nig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2013;5(4):70-75. https://doi.org/10.4236/oalib.1104516 

  8. Celik SS, Bayraktar N. A study of nursing student abuse in Turke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2004;43(7):330-336. https://doi.org/10.3928/01484834-20040701-02 

  9. Nau J, Dassen T, Halfens R, Needham I.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managing patient aggression. Nurse Education Today. 2007;27(8):933-946. https://doi.org/10.1016/j.nedt.2007.01.007 

  10. Lee SK, Song JE, Kim 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Korean nursing students. Asian Nursing Research. 2011;5(3):170-176. https://doi.org/10.1016/j.anr.2011.09.003 

  11. Kim TI, Kwon YJ, Kim MJ.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7;23(1):21-32. https://doi.org/10.4069/kjwhn.2017.23.1.21 

  12. Cho YH, Hong YR, Lee AM, Kim MK, Lee HJ, Han AK, et al.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response, and ways to deal with verbal abuse against nurses in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1;20(3):270-278.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270 

  13. McKenna L, Boyle M. Midwifery student exposure to workplace violence in clinical settings: An exploratory study. Nurse Education in Practice. 2016;17:123-127. https://doi.org/10.1016/j.nepr.2015.11.004 

  14. Tee S, Uzar Ozcetin YS, Russell-Westhead M.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A UK survey. Nurse Education Today. 2016;41:30-35. https://doi.org/10.1016/j.nedt.2016.03.014 

  15. Oh JH, Kim OS, Lee KL. Exposure to violence and coping behavior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8):5325-5335.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325 

  16. Lee MJ, Jang MH, Jung SY, Heo EY. Research on measures to prevent campus sexual harrassment and sexual violence and strengthen victim protection. Final report.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5 Sep. Report No.:1105010600. 

  17. Kim JI, Choi SC, Park CY. The gender differences of coping style and the function of resources on sexual harassment.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lgy. 2002;7(2):53-74. 

  18. Ha HS. Sexual harassment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7;19(3):785-800. 

  19. Lee SH, Cha EJ. Effects of verbal abuse, sexual violenc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train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4):550-560.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550 

  20. Jeong YH, Lee KH.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14(3):391-399. https://doi.org/10.14400/JDC.2016.14.3.391 

  21. Im DJ. A study on 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in workplaces [master's thesis]. Seoul:Kookmin University; 1999. 116 p. 

  22. Lee JS. A re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in the office according to source of variation [master's thesis]. Seoul: Sangmyung University; 2002. 59 p. 

  23. Kim ME. A study on damaging experiences, effects, knowledge and coping for sexual harassment of dental hygienist's.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5. 44 p. 

  24. Oh HK. Perception, incidence and coping styles of sexual harassment among nurses. [master's thesis]. Chuncheon: Hallym University; 2015. 66 p. 

  25. Hopkins M, Fetherston CM, Morrison P.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aggression and violence experienced by Western Australia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Contemporary Nurse. 2014;49(1):113-121. https://doi.org/10.1080/10376178.2014.11081961 

  26. Lee MA, Shin YJ, Park JS, Kwon SS, Kwon SJ, Kim SJ,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stress that is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nurses i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1):51-61. 

  27. Song HJ, Oh SY. The research of policy and legislation about sexual harassment in a university. The Police Science Journal. 2017;12(3):67-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