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인식 수준 및 영향 요인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1, 2013년, pp.40 - 50  

이영란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김경미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최소은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nd gender egalitarianism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with a total of 1,244 college students. The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의식수준을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에 관한 인식정도와 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비교ㆍ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성희롱과 성평등 의식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었다. 대상 학생들 중 의료보건계열 학생들이 많았다는 제한점이 있었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성희롱과 성평등 의식 수준을 조사한 전국 규모의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에서 파악된 대학생들의 성희롱과 성평등 의식수준 기초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성희롱의 예방대책과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이 연구는 수도권, 영남지역, 강원 ‧ 중부지역, 호남지역의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희롱 및 성평등 의식 수준을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차세대 직장 내 노동인력으로 대체될 남녀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의식에 관한 비교조사를 함으로써 대학생의 건강한 성정체성 확립과 대학문화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직장에서의 성희롱과 성폭력 예방을 위한 관리를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은 어떤 시기인가?  대학생은 초기 성인기에 속하고, 대학시절은 생애 중 가장 다양하고 의미 있는 관계형성의 시기이며 자아정체성의 확립 이라는 과업을 갖는다. 초기성인기는 성인으로서의 완전한 역할이 주어지지 않는 부분이 많아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Kim, 2005; Lee, 2005).
초기성인기는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가?  대학생은 초기 성인기에 속하고, 대학시절은 생애 중 가장 다양하고 의미 있는 관계형성의 시기이며 자아정체성의 확립 이라는 과업을 갖는다. 초기성인기는 성인으로서의 완전한 역할이 주어지지 않는 부분이 많아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고, 정체성의 형성을 위한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Kim, 2005; Lee, 2005). 정체성이 자신에 대한 통합된 개념으로써 개인의 이상과 행동 및 사회적 역할을 통합하는 자아의 기능이고, 최근 성역할의 혼돈으로 인한 많은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음을 볼 때 성정체성과 성의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의식수준을 알아보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이 연구의 목적은 무엇인가? y 대학생의 성희롱에 관한 인식을 비교한다.  y 대학생의 성평등 의식을 비교한다.  y 성희롱 인식과 성평등 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 한다.  y 성희롱 인식과 성평등 의식의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itzgerald, L. F. (1996). Sexual harassment: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a construct. In M. A. Paludi, Sexual harassment on college campus: Abusing the Ivory Power (2nded.).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Ha, H. S. (2007). Sexual harassment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 (3), 785-800. 

  3. Ha, H. S. (2010). Process analysis of negative emotion o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on campus: Focused on faculty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 (1), 25-43. 

  4. Im, D. J. (1999). A study on 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in workpla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5. Jung, H. M. (2003). The awareness and relat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on sexual harassment.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 (2), 277-287. 

  6. Kim, J. Y., & Ahn, C. S. (2000). A study on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6 (3), 329-343. 

  7. Kim, E. J. (2001). A study on university studies sense of sexual eq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won University, Dejeon. 

  8. Kim, M. H. (2005). The effects of MBTI based self growth program on ego identity, self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9. Kim, M. J., & Kim, H. O. (1998). Gender inequality by women spiritual leader of four major religions in Korea. Journal of Gender Equality Studies, 2 , 269-304 

  10. Kim, O. H. (2001). An analysis of sexual harassment policies in public organization: A centering Northern Kyungbuk provi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11. Kim, Y. H., & Jung, K. A. (1999).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2. Kim, Y. H., & Kang, H. W. (2009). Study of gender egalitarianism among Kyonggi University. Journal of Citizen Humanities, 16 (1), 127-164. 

  13.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1). University statistics. Retrieved, January 20, 2012, from http://cesi.kedi. re.kr/index.jsp 

  14. Ko, Y. S. (2009). A study on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Kwak, Y. C. (2007). A study on sexual harrassment policy in the milita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Korea. 

  16. Lee, E. W. (2005). Impacts of the affective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llege life adap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7. Lee, J. S. (2002). A recognition of sexual harassment in the office according to source of vari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8. Lee, Y. R., & Kim, M. J. (2009). A transition of health habits and self-rated health status of women aged in early adultho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 (2), 199-206. 

  19. Lee, S. K., Song, J. E., & Kim, S. (2011).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sexual harrassmen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of Korean nursing students. Asian Nursing Research, 5 (3), 170-176. 

  20. Moon, H. K. (2009). Effects of education prodmd gram on preventing sexual harassment for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angmyung University, Seoul. 

  21. Moon, E. O. (1997). A study on sexual behavior and attitudes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4 (2), 95-112. 

  22. Park, K. J., Kim, D. W., & Kim, S. H. (2005). Research on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nd sexual assault.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6, 307-342. 

  23. Park, S. H., Ha, H. S., & Kim, B. M. (2007). Research on sexual harassment, sexual abuse and activating strategies of preventive education in university (policy reports 2007-commission- 14). Seoul: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4. Pyo, S. Y. (2008). Educational law: Theory, Policy, Precedent. Seoul: Bakyoungsa. 

  25. Son, H. G. (1992). Ego identity formation and identity crisis in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Son, A., & Chun, S. (2005). Comparing sexual attitude, sexual initiation and sexual behavior by gender in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ublic Health and Social Science, 18 , 73-100. 

  27. Yoo, M. S., Park, J. W., & You, M. A. (2012). The relationships among gender egalitarianism, sexual attitudes and sexual harassment myth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and Child Health, 16 (1), 14-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