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 분석
The Analysis of Studies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2, 2018년, pp.92 - 102  

박종민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백경화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related to the learning methods of biological nursing subjects in Korea. Methods: Five databases (KoreaMed, KMbase, NDSL, KISS, KiSTi) and grey literature were searched prior to February 2018. A total 12 studies met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간호현상의 합리적 근거를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초간호학의 중요성 인식과 기초간호학 교육에 적합한 효과적인 학습법의 필요성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의 분석을 통해 기초간호학 교과목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함으로써, 기초간호학 교육에 적합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초간호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변수들이 가장 많이 등장한 것은 간호와의 연계성을 이해하기 어려운 1,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이 진행되며, 기초간호학 과목을 대부분의 학생들이 어려워하기 때문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만족,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등의 향상을 통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여 성공적으로 학습이 수행되기 위한 목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병원미생물학 교과목에서 심동적 영역의 수행능력을 연구 변수로 측정하여 실습프로그램의 적용 및 개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학습만족,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 등의 향상을 통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 변화를 유도하여 성공적으로 학습이 수행되기 위한 목적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병원미생물학 교과목에서 심동적 영역의 수행능력을 연구 변수로 측정하여 실습프로그램의 적용 및 개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초간호학 교육에서 학습성과 기반 강의계획서에 실습이 포함되어 이론 수업과 실습 병행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고[7], 앞으로 이와 같은 실습을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본 연구는 2018년 2월까지 국내 기초간호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기초간호학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1998년 한국기초간호학회(구 대한기초간호자연과학회)의 설립 이래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분석 대상 연구들은 모두 2000년 이후에 시행되었으며, 2010년 이후부터 관련 연구의 수가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들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 및 개념을 분석하고 효과를 검증하며 연구들의 질 평가를 시행하여 향후 학습법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 분석을 토대로 국내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적용 연구의 추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까지 시행된 연구의 수가 부족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인체구조와 기능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간호학 교육에 적용한 학습법이 연구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 첫째, 기초간호학 교육에 대한 학습법 관련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교실에서 수업을 통해 습득한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을 임상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다[8]. 최근 생명과학 및 유전학 등의 과학기술 발달로 임상의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복잡한 임상 상황을 해결할 수있는 역량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간호교육을 제공해야 한다[9].
기존의 기초간호학 교육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기초간호학(biological nursing) 교육은 국내 간호교육의 시작과 함께 전공기초 과목으로 의과대학의 해부학, 생리학, 미생물학, 병리학, 약리학 등의 교과목을 그대로 수용하거나 기초간호학 교과목으로 통합하여 시행되어 왔다[1]. 과거 의학적 모델을 중심으로 의과대학의 교수들에 의해 시행된 기초간호학 교육은 단순히 의과대학 강의의 축소판이었을 뿐 아니라 간호학 전공과목과의 연계성 부족하였다[2]. 따라서 한국기초간호학회에서는 의학적 모델을 벗어나 간호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해부학, 생리학 교과목을 통합하여 기초간호자연과학I (인체구조와 기능), 미생물학을 기초간호자연과학II (병원미생물학), 병리학을 기초간호자연과학III (병태생리학), 약리학을 기초간호자연과학IV (약물의 기전과 효과)로 교과목명을 변경하였다[1].
기초간호학 교육은 어떤 시대적 흐름에 맞춰 교육 방향을 제공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교실에서 수업을 통해 습득한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을 임상 실무에 적용하는 것이다[8]. 최근 생명과학 및 유전학 등의 과학기술 발달로 임상의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는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복잡한 임상 상황을 해결할 수있는 역량을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간호교육을 제공해야 한다[9]. 기초간호학 교육도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일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e MA. Perspectives on bionursing scien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2;9(2):61-70 

  2. Seo WS. An analysis of requisite knowledge body of physiology for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5;2(2):229-237. 

  3. Choi MA, Shin G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the basic medical sciences 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7;27(4):975-987. http://doi.org/10.4040/jnas.1997.27.4.975 

  4. Choe MA, Byun YS, Seo YS, Hwang AR, Kim HS, Hong HS, et al. A study on the degree of need of human structure and function knowledge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99;1(1):1-24. 

  5. Choe MA, Byun YS, Seo YS, Hwang AR, Kim HS, Hong HS, et al. A study on the degree of need of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clinical microb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0;2(1):1-19. 

  6. Lee KS, Jeong JS, Choe MA, Kim JH, An GJ, Kim JH, et al. Development of standard syllabuses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 of bio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1):33-42. http://doi.org/10.7586/jkbns.2013.15.1.33 

  7. Park H, Kim YK, Kim JH, Jeong JS, Choi-Kwon S, Hong HS. Development of syllabuses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based on learning outcomes: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2):188-210. http://doi.org/10.7586/jkbns.2015.17.2.188 

  8. Oermann MH, Gaberson KB. Evaluation and testing in nursing education. 5th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6. p. 3-22. 

  9. Yoo JS, Ahn JA, Yeo KS, Chu SH. The study to reorganize the course of basic nursing science in a college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8;10(2):162-169. 

  10. Clarke M. Nursing and the biological scienc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5;22(3):405-406. http://doi.org/10.1046/j.1365-2648.1995.22030405.x 

  11. Chapple M, Allcock N, Wharrad HJ. Bachelor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learning biological sciences alongside medical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1993;13(6):426-434. http://doi.org/10.1016/0260-6917(93)90118-l 

  12. Clancy J, McVicar A, Bird D. Getting it right? An exploration of issues relating to the biological sciences in nurse education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6):1522-1532. http://doi.org/10.1046/j.1365-2648.2000.01608.x 

  13. McVicar A, Andrew S, Kemble R. Biosciences within the pre-registration (prerequisite) curriculum: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curriculum interventions 1990-2012. Nurse Education Today. 2014;34(4):560-568. http://doi.org/10.1016/j.nedt.2013.08.012 

  14. Pace R, Pluye P, Bartlett G, Macaulay AC, Salsberg J, Jagosh J, et al. Testing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pilot mixed methods appraisal tool (MMAT) for systematic mixed studies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2;49(1):47-53. http://doi.org/10.1016/j.ijnurstu.2011.07.002 

  15. Massey D, Chaboyer W, Anderson V. What factors influence ward nurses' recognition of and response to patient deterio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ing open. 2017;4(1):6-23. http://doi.org/10.1002/nop2.53 

  16. Delgado C, Upton D, Ranse K, Furness T, Foster K. Nurses' resilience and the emotional labour of nursing work: An integrative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7;70:71-88. http://doi.org/10.1016/j.ijnurstu.2017.02.008 

  17. Pluye P, Robert E, Cargo M, Bartlett G, O'cathain A, Griffiths F, et al. Proposal:A mixed methods appraisal tool for systematic mixed studies reviews [Internet]. Montreal: McGill University; 2011 [cited 2018 Apr 15]. Available from: http://mixedmethodsappraisaltoolpublic.pbworks.com./w/file/fetch/84371689/MMAT%202011%20criteria%20and%20tutorial%202011-06-29updated2014.08.21.pdf. 

  18. Bloom BS, Committee of College and University Examiners.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New York: Longmans, Green; 1956. 

  19. Chung SE, Lee SH. Nursing student’s experience of education using simulatio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2010;11(1):50-59. 

  20. Kim MJ, Park SY, Park SJ, Park JY, Lee YH, Choi E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s toward human tissue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natomy camp program.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2017;30(3):99-107. http://doi.org/10.11637/kjpa.2017.30.3.99 

  21. Oh JH, Chung SW. Multivariate analysis for clinicians.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2013;16(1):63-72. http://doi.org/10.5397/CiSE.2013.16.1.63 

  22. Lee KS, Choi EO, Jeong JS. Survey of curriculum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clinical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 mechanism and effect of drugs) of biological nurs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4;16(1):17-25. http://doi.org/10.7586/jkbns.2014.16.1.17 

  23. Wharrad HJ, Allcock N, Chapple M. A surve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biological sciences o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s. Nurse Education Today. 1994;14(6):436-442. http://doi.org/10.1016/0260-6917(94)90004-3 

  24. Jordan S, Davies S, Green B. The biosciences in the pre-registration nursing curriculum:Staff and students' perceptions of difficulties and relevance. Nurse Education Today. 1999;19(3):215-226. http://doi.org/10.1016/s0260-6917(99)80007-0 

  25. Han SJ. The impact of TBL (tea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11):595-602. http://doi.org/10.14400/jdpm.2013.11.11.595 

  26. Kim Y, Kim N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m-based learning of ‘pharmacolog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5;15(4):309-334. 

  27. Doubleday EG, O'Loughlin VD, Doubleday AF. The virtual anatomy laboratory:Usability testing to improve an online learning resource for anatomy education. Anatomical Sciences Education. 2011;4(6):318-326. http://doi.org/10.1002/ase.252 

  28. Kim JH, Park IH, Shin S. Systematic review of Korean studies on simulation within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3;19(3):307-319. http://doi.org/10.5977/jkasne.2013.19.3.307 

  29. Richards DA, Hamers JP. RCTs in complex nursing interventions and laboratory experiment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9;46(4):588-592. http://doi.org/10.1016/j.ijnurstu.2008.12.002 

  30. Antepohl W, Herzig S. Problem-based learning versus lecture-based learning in a course of basic pharmacology: A controlled, randomized study. Medical Education. 1999;33(2):106-113. http://doi.org/10.1046/j.1365-2923.1999.00289.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