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Reinforc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0 no.2, 2018년, pp.132 - 140  

박은하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채영란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reinforcement program for hospital nurses.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64 individuals (32 in each group), all of whom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은 교수체제 설계에 따라 문헌고찰, 현장전문가와 학습자 요구분석, 직무과제 분석을 통해 셀프리더십의 개념과 전략을 중심으로 Holton 등[12]의 LTSI 모형을 기틀로 설계하였고, 셀프리더십의 특성과 전략들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고 익히는 학습과정으로 개발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과 예비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최종적으로 보완하였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위한 셀프리더십(self-leadership)강화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학습 전이 동기,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조직 몰입, 이직 의도, 간호 실무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간호 실무 수행 능력, 조직 몰입, 이직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경력이 짧을수록 셀프리더십 점수가 낮고[5] 간호사로 계속 근무하기 위한 의미부여와 자기관리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임상경력 5년 이하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여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간호 실무 수행 능력, 조직 몰입의 증진과 이직 의도를 낮춤으로써 효율적인 간호 인적 자원 관리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프로그램 적용 전에 비해 적용 후 학습 전이 동기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2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 비해 셀프리더십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3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 비해 의사소통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4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 비해 간호 실무 수행 능력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5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 비해 조직 몰입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6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비교군에 비해 이직 의도 점수가 낮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전이 능력 요인에는 셀프리더십의 전략인 행동 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 전략, 건설적 사고 전략과 자기 효능감이 포함되고, 전이 환경 요인에는 간호 실무 수행 능력에 대한 피드백, 개인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경험 성과, 상사와 동료의 지지가 포함되며, 전이 동기 요인에는 자기 동기부여가 포함된다. 본 연구의 개념적 기틀에서 셀프리더십 학습을 통해 개인수행 및 조직성과 변수인 셀프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간호 실무 수행 능력, 조직 몰입, 이직 의도가 변화될 것으로 가정하였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은 무엇과 관련돼있는가?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 능력, 간호 실무 수행 능력, 조직 몰입, 이직 의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3-5]. 셀프 리더십은 의사소통 능력과 유의한 순상관 관계를 보이며[3,8]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은 치료적 관계에 필수 요소로 강조되고 있으며 간호 실무 수행 능력과 더불어 간호 업무 능력을 결정짓는데 매우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 실무 수행 능력이 향상은 무엇에 기여할 수 있는가? 병원간호사들 스스로 동기부여와 긍정적 사고전환을 통해 태도와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되면 간호 실무 수행 능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 실무 수행 능력이 향상되면 이는 조직 몰입을 높여 궁극적으로 이직 의도를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간호사의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간호서비스 제공을 갖추기 위한 덕목은 무엇인가? 병원간호사의 전문적 지식과 숙련된 간호서비스 제공은 고객만족, 의료의 질보장과 직결되고, 병원의 생산성 증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효율적인 인력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전인 간호 제공을 위한 교양 및 전공지식과 간호술의 통합적용 능력, 의사소통과 협력능력, 간호문제 해결을 위한 비판적 사고 능력, 높은 수준의 자율성과 독립성, 환자를 대하면서 즉각적인 대처능력과 리더십을 발휘하게 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업무를 추진하는 간호사 개개인이 그 조직을 대표할 수 있는 리더로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한다[1] 셀프리더십은 복잡하고 다양한 간호 현장에서 간호 실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직무를 완수함과 동시에 창의적 행동을 통해 간호 상황을 성공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하여 병원 간호사에게 필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조직에서 구성원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조직의 목표달성과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urse. The power of nursing leadership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06 [cited 2017 Feb 23]. Available from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php?webzine_id19&subcatid202&is_subno361&articleid591#. 

  2. Dolbier C, Soderstrom M, Steinhardt M.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Journal of Psychology. 2001;135(5):469-485. http://doi.org/10.1080/00223980109603713 

  3. Im SI, Park J, Kim HS. The effects of nurse's communication and self-leadership on nursing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2; 21(3):274-282. http://doi.org/10.5807/kjohn.2012.21.3.274 

  4. Min S, Yoo KY, Kim HS. The self-leadership training program on hope and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Fall conference; 2010 Sep 26; Seoul: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 p. 381-397. 

  5. Kang YS, Choi YJ, Park DI,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26):143-151. http://doi.org/10.11111/jkana.2010.16.2.143 

  6. Kim HK.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25-36. 

  7. Min S, Jung YJ, Kim HS, Ha SY, Ha YJ, Kim EA.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work performanc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3):355-364. 

  8. Park KN, Park MK.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1)63-71. 

  9. Kim JY, Hong JY.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2):184-190. 

  10. Watson L. Self-leadership: Becoming an exceptional leader. Radiologic Technology. 2004;75(6):457-467. 

  11. Holton EF, Bates R, Rouna W. Developing generalized learning transfer system inventory.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2000;11(4):333-360. http://doi.org/10.1002/1532-1096(200024)11:4%3C333::AID-HRDQ2%3E3.0.CO;2-P 

  12. Jung CS. The effects of the self-leadership enhancing program on nursing student [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45 p. 

  13. Manz CC.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1992. 

  14.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83 p. 

  15. Jung JM.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learning transfer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in firms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9. 66 p. 

  16. Rubin RB, Martin MM, Bruning SS, Power DE. Test of a self efficacy model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Journal Communication Quarterly. 1993;41(2):210-220. https:doi.org/10.1080/01463379309369880 

  17. Hur GH.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Society for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2003;47(6):380-408. 

  18. Jang G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201 p. 

  19. Mowday RT, Steers RM, Porter LW.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979;14(2):224-227. http://dx.doi.org/10.1016/0001-8791(79)90072-1 

  20. Park HT.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nursing serv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7:27(1):228-241. 

  21. Mobley WH.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Messachusetts:Addison-Welsey Publishing Company; 1982. 

  22. Cheon SD. Lee EY, Lee SG, Lee SB. A study about influence on job stress factors with leader-member exchang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of turn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06;20(1):17-34. 

  23. Im CI. Models and theories for instructional design. 2nd ed. Paju: Kyoyook book; 2012. p. 447. 

  24. Steinhardt M, Dolbier C. Evaluation of a resilience intervention to enhance coping strategies and protective factors and decrease symptomatolog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2008;56(4):445-453. http://doi.org/10.3200/JACH.56.44.445-454 

  25. Kim KH, Lee HK. The effect of positive affects and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meaning in lif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2011;12(4):1353-1370. 

  26. Kang MS, Kim JS. The development of a self-leadership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014;33(1):29-51. 

  27. Jang HS, Lee YJ.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self-leadership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0;11(3):1053-1073. http://doi.org/10.15703/kjc.11.3.201009.1053 

  28. Lim SB. Communication education in nursing: To promote self-awareness communication, self-awareness, self-story, nursing education. Medical Communication. 2006;1(1):59-66. 

  29. Han KS, Park YJ, Kim KM, Oh YJ, Jin JH, Kang HC. Communication style, self 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nd ways of coping among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8;17(1):28-34. 

  30. Chang SO, Cho KH, Kim IA, Lee SJ, Seomun KA.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1):151-158. 

  31. Han YH, Park Y. Effects of self-leadership and job involvement on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462-469. http://doi.org/10.11111/jkana.2013.19.4.462 

  32. Choi AS, Oh PJ. A study on self-leadership, fall attitude, and nurses behavior to prevent patient fal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394-403.http://doi.org/10.11111/jkana.2013.19.3.394 

  33. Kwon JO. Nursing performance and innovative behavior as factors affecting the self-leadership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6;10(1):53-66. http://doi.org/10.12811/kshsm.2016.10.1.05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