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개인과 팀의 직무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es' Self-leadership on Individual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3, 2016년, pp.338 - 348  

김세영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경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  김병수 (인제대학교 통계학과) ,  이은표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work role performance and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in nursing units and team members' work role performa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202 conveniently selected general nurse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셀프리더십과 직무역할 수행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14], 특히,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인과 팀의 직무역할 수행을 조사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연구는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역할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아울러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개인 직무역할 수행, 팀의 셀프리더십과 직무역할 수행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의 구체적인 전략을 파악하여, 간호조직에서 셀프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프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셀프리더십은 개인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특별한 행동과 인식 전략이며[3], 개인이 높은 성과를 올리도록 이끌어주는 자율적인 힘이다[4]. 선행 연구에서 셀프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을 매개 변수로 하여 개인의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5,6], 셀프 리더십 전략들이 직무만족을 통해서 팀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7].
의료기관이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셀프리더십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그러나 이러한 관리방식은 의료시장, 의료기술과 보건정책이 급속히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에서 의료기관이 효과적 으로 대처하는데 한계점을 갖는다[1]. 조직에서 상사의 지시, 명령, 통제 과정에서 발휘되는 리더십과 달리, 셀프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자기관리 역량과 내적인 동기부여에 의한 자발적인 노력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높인다[2]. 따라서, 의료기관이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조직구성원의 자율통제에 의한 자발적인 노력과 조직에 대한 열정을 이끌어내는 셀프리더십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1].
셀프리더십이 높은 간호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는 24시간 대상자 옆에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면서 즉,각적인 대처능력과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가 많기 때문 에, 조직을 대표할 수 있는 리더로서 셀프리더십을 지녀야 한다[9]. 셀프리더십이 높은 간호사는 인간관계, 의사소통 능력이 높고, 창의 적인 성향을 나타내었으며, 간호서비스에서 우수한 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11].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사 대상의 셀프리더십 논문을 분석한 연구에서,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호업무수행, 조직시민행동, 혁신적 행동, 간호정보역량, 직무 스트레스 등과 관련이 있으며,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 BC, Lim SW, Kim HK, Rhee HS. The influence factors and effects of self-leadership: Focusing on members of the hospitals.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13;23(1):66-77.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1.066 

  2. Irvine D, Leatt P, Evans MG, Baker RG. Measurement of staff empowerment within health service organizations.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999;7(1):79-96. 

  3. Neck CP, Houghton JD. Two decades of self 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Past developments, pres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6;21(4):270-295.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097 

  4. Manz CC, Sims HP.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991;19(4):18-35.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5. Konradt U, AndreBen P, Ellwart T. Self-leadership in organizational teams: A multilevel analysis of moderators and mediators.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9;18(3):322-346. http://dx.doi.org/10.1080/13594320701693225 

  6. Prussia GE, Anderson JS, Manz CC.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98;19(5):523-538. http://dx.doi.org/10.1002/(SICI)1099-1379(199809)19:5 3.0.CO;2-I 

  7. Politis JD. Self leadership behavioural focused strategies and team performance: The mediating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006;27(3):203-216. http://dx.doi.org/10.1108/01437730610657721 

  8. DiLiello TC, Houghton JD. Maximizing organizational leadership capacity for the future: Toward a model of self leadership, innova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06;21(4):319-337. http://dx.doi.org/10.1108/02683940610663114 

  9. Korean Nurses Association. The power of nursing leadership [Internet]. Seoul: Author; 2006 [cited 2015 April 15]. Available from: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webzine_list.php?webzine_id19&page1. 

  10. Kim HK.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e behaviors and nursing services on self-leadership among nurs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25-36. 

  11.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2):143-151.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2.143 

  12. Won HJ, Cho SH. A review of research on self-leadership i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3):382-393.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3.382 

  13. Ilgen DR, Pulakos ED. Employee performance in today's organizations. In: Ilgen DR, Pulakos ED, editors. The changing nature of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taffing, motivation, and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Inc.; 1999. p. 21-55. 

  14. Hauschildt K, Konradt U.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work role performance in teams. Leadership. 2012;8(2):145-168. http://dx.doi.org/10.1177/1742715011429588 

  15. Murphy PR, Jackson SE. Managing work role performance: Challenges for twenty-first century organizations and their employees. In: Ilgen DR, Pulakos ED, editors. The changing nature of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taffing, motivation, and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Inc.; 1999. p. 325-365. 

  16. Griffin MA, Neal A, Parker SK. A new model of work role performance: Positive behavior in uncertain and interdependent context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7;50(2):327-347. http://dx.doi.org/10.5465/AMJ.2007.24634438 

  1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Lang A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9;41(4):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18. Yang NY, Moon SY.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2):216-225.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16 

  19. Maas CJM, Hox JJ. Robustness issues in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 Neerlandica. 2004;58(2):127-137. http://dx.doi.org/10.1046/j.0039-0402.2003.00252.x 

  20. Manz CC. The art of self-leadership: Strategies for personal effectiveness in your life and work.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83. 

  21.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he job satisfaction at secondary schools [master's thesis]. Seoul: Soongsil University; 2003. p. 1-83. 

  22. Seomun GA, Chang SO, Cho KH, Kim IA, Lee SJ.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outcome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1):151-158. 

  23. Kim JY, Hong JY. Self-leadership,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7;13(2):184-190. 

  24. Cho H, Ko YA, Kang YS, Lee G. Self-leadership and self-concept in the freshmen of nursing college.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1):107-117. 

  25. Lee JY, Cho MH.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HVEA. 2012;13(3):241-253. 

  26. Dolbier CL, Soderstrom M, Steinhardt MA.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The Journal of Psychology. 2001;135(5):469-485. http://dx.doi.org/10.1080/00223980109603713 

  27. Schmitt N, Cortina JM, Ingerick MJ, Wiechmann D. Personnel selection and employee performance. In: Borman WC, Ilgen DR, Klimoski RJ, editors. Handbook of psycholog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ume 12. Hoboken, NJ: John Wiley & Sons; 2003. p. 77-105. 

  28. Van Scotter JR, Motowidlo SJ. Interpersonal facilitation and job dedication as separate facets of contextual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6;81(5):525-531. 

  29. Daellenbach US, McCarthy AM. Commitment to innovation: The impact of top management team characteristics. R&D Management. 1999;29(3):199-208. http://dx.doi.org/10.1111/1467-9310.00130 

  30. Uhl-Bien M, Graen GB. Individual self-management: Analysis of professionals' self-managing activities in functional and cross-functional work team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998;41(3):340-350. http://dx.doi.org/10.2307/2569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