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의 다양한 폐교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ycling of the Closed Schools in Japan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5 no.5, 2018년, pp.13 - 20  

이을규 (School of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and establish policies for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Korea. The closed school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because not only the birth rate, and the number of students have been decreased, but also a greate number of people have m...

주제어

표/그림 (2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상황으로 우리나라보다 먼저 학생수감소를 심각하게 겪고 있는 일본의 폐교현황과 활용방안에 대한 대책을 고찰하여 우리나라의 폐교대책을 강구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활용하는 폐교의 건물 기능은? 재활용하는 폐교의 새로운 건물기능은 Figure 7과 같은 교육관련시설로 재활용하는 것이 제일 많고, 그 다음으로 사회체육시설, 그리고 문화시설 순이다. 이는 대부분 관리 담당부처가 문부성이 그대로 관리하는 형식을 띄면서 문부 성안의 다른 부서가 관리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는 것이 간편하기 때문일 것으로 예상된다.
장점에도 불구하고 폐교가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우선 정비기간이 단기간에 될 수 있고, 시설정비 에 따르는 초기비용이 절약될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기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폐교가 활용도지 못하는 부분은 결국 폐교부지를 구매하거나 리모델링하기 위한 비용이다. 적극적인 폐교 재활용을 위해서는 유인책인 지원사업이 필요하다.
폐교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폐교가 발생하는 원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Figure 4). 첫째, 해당 지방을 떠나는 인구유출에 의한 아동수 감소를 들 수 있다. 둘째, 도시에 있어서 도시화에 의한 주택지 감소에 따른 거주인구수 감소이다. 셋째, 인구감소는 거의 없는데 고령화에 의한 취학아동 감소를 들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Kim Hong-Kee, Comparative Study on the Utilization Policy for Closed Schools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Korean Rural Architecture, Vol. 19 2017. 8 

  2. Yang Geum Suk,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Utilization of Closed Schools in Gyeongnam Area, Journal of Korean Rural Architecture, Vol. 20, 2018. 2 

  3. Kim Sung Gyun, A Study on the Recycled properties of the Closed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the Recycling Situation of Closed School Facilities in Kyungsangpookdo provinc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27, 2001. 7 

  4. Hong Seung Shin, Renovation of Closed School Using Sustainable Method - From Closed School to Artist Studio Complex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337, 2002. 7 

  5.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http://www.moe.go.kr 

  6.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Japan, http://www.mext.go.jp 

  7. Ko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se, http://kosis.kr/index/index.d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