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물질안전보건자료 영업비밀 심사제도의 도입·운영에 대한 검토 및 제안
Examination and Suggestions on Introducing and Administe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 on Material Safety Data Sheets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8 no.1, 2018년, pp.91 - 99  

이권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조지훈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introdu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s is a vital task for expanding workers' right to know and improving hazardous material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is study, rational methods for introducing and administe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Lee KS, Lee HJ, Hong MK.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to Trade Secret of GHS MSDSs distributed in the Workplace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6;26(3):293-300
  • * Lee JH, Lee KS, Park JW, Han K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rade secrets in the MSDS and the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국내 MSDS 제도는 1996년 도입되어 시행기간이 20년 이상이 경과 되었다. MSDS 제도 시행은 최신의 정확한 MSDS 화학물질 정보 자료를 근로자에게 제공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MoEL,2017b). 사업주는 MSDS상의 유해성․위험성 정보, 취급․저장방법, 응급조치요령, 독성 등의 정보, 물리적 위험성 등의 정보내용을 통해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관리를 철저히 하고, 취급 근로자의 유해물질 및 사고예방과 대응에 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SDS 관련 영업비밀 현황 및 제도 개선의 사회적 요구내용과 선진외국의 MSDS영업비밀 등록․심사제도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국내 MSDS 영업비밀 심사제도의 도입과 운영에 필요한 정책제언의 내용으로 산업체 유통 MSDS 영업비밀 심사제도 도입의 원칙, MSDS 영업비밀 심사제도 도입에 따른 선제적 개선 필요사항을 제시하였으며, MSDS 영업비밀 심사의 절차 및 방법을 제안하여 MSDS 화학물질 정보관리 수준의 향상에 활용하고자 한다.
  • 사업주는 MSDS상의 유해성․위험성 정보, 취급․저장방법, 응급조치요령, 독성 등의 정보, 물리적 위험성 등의 정보내용을 통해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관리를 철저히 하고, 취급 근로자의 유해물질 및 사고예방과 대응에 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취지가 있다. 또한 근로자는 MSDS를 통해 자신이 취급하는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직업병이나 사고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MSDS 화학물질정보 전달체계 선진화를 위한 국내 MSDS 영업비밀 심사제도의 합리적인 도입 및 운영방안에 대한 검토를 위해 실시되었다. EU 및 캐나다의 영업비밀 심사제도는 사전심사 제도를 원칙으로 “구성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정보를 비공개하려는 경우 유통 전에 그 영업비밀의 내용을 심사하는 제도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업비밀 관련하여 발생하는 문제들은 ? , 2016). 이와 관련하여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 및 노동단체를 중심으로 국내 MSDS에 대한 신뢰성과 화학물질 정보전달 체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국내 MSDS에 대한 신뢰성 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Lee et al., 2016).
MSDS 제도는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가 ? MSDS 제도는 화학물질의 성분, 건강영향 및 응급조치 등에 관한 정보를 취급자에게 미리 제공함으로써 화학제품 관련사고 발생을 예방하고, 발생 시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 개정(1995.05.01)을 통하여 1996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MoEL,2017b). MSDS 제도의 도입은 유해화학물질로부터 인간의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부단한 노력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근로자의 알권리는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Administration, OSHA)의 Workers' right to know(USDoL, 1983) 및 유럽화학물질청(European Chemicals Agency,ECHA)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gistration, evaluation,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REACH)의 No data, No market(ECHA, 2007) 등이 그 근거이다(Kim etal.
유해화학물질의 특징은 ? , 2016). 유해화학물질은 대부분 독성 및 확산성이 강해 사고로 인한 유출시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고, 주변 환경을 황폐화시킬 수 있어 신속한 대응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독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 정보의 제공이 필수적이다(Lee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CS(American Chemical Society). CHEMLIST(Regulated chemicals). 2017.11. Avalilable from: URL:http://www.cas.org/index.html 

  2. EU EC(European Union European Commission). Commission regulation(EC) No. 1272/2008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n classification, labelling and packaging of substances and mixtures(CLP). 2009 

  3. GoC(Government of Canada). Technical guidance on the requirements of the hazardous products Act(HPA) and the hazardous products regulation(HPR) - WHMIS 2015 supplier requirements. 2015 

  4. Hong MK, Song SW, Lee KS, Choi SB, Lee JH. A Study of MSDS reliability evaluation in chemicals including formaldehy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3: 23(3): 287-298 

  5. Lee JH, Lee KS, Park JW, Han KN.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rade secrets in the MSDS and the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1: 21(3):128-138 

  6. Lee KS, Choi JH, Jo JH, Choi SB, Lee JH et al. MSDSs reliability evaluation in workplaces manufacturing aromatic hydrocarb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9;19(4):370-380 

  7. Lee KS, Han IS, Han JH, Park DU, Lee DW et al. A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SDS reliability of powder coat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04;14(3):221-232 

  8. Lee KS, Jo JH, Choi JH, Choi SB, Lee JH. A study on the ways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MSDS written and controlled in workplaces. KOSHA. 2007. p. 53-59 

  9. Lee KS, Jo JH, Park JW, Song SW. Analysis on the legal control levels and GHS classification information status for strongly acidic hazardous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3;23(4):384-392 

  10. Lee KS, Lee HJ, Hong MK.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to trade secret of GHS MSDSs distributed in the workplace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6;26(3):293-300 

  11. Lee KS, Seung SW, Hwang SS, Yoon SJ, Yang HS et al. A study on the chemical substance information control and its improvement. KOSHA. 2005 

  12. Kim SB, Lee YK, Choi YE.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SDS and labels?: A critical review on the U.S. standard 29 CFR part 1910 Hazard Communic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5a;25(1):1-12 

  13. Kim SB, Lee YK, Choi YE. How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MSDS and labels?(2): A review on the EU CLP (REGULATION(EC) No 1272/2008).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5b;25(2):115-125 

  14. Kim SB, Lee YK, Choi YE. Issue analysis on 'Trade secret claim' in Chemicals control act? and ?amendment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1917-227).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5c;25(4):433-445 

  15. Kim YJ, Yoo IT, Jin SJ, Yoo EH, Kim HM et al.. Amendment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No. 17227). 2016 

  16. KIPO(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2014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Enforcement rule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7a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2017b 

  1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Standard for classification, labeling of chemical substance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MoEL Public Notice No. 2016-19). 2017c 

  20. Ministry Of Environment(MoE). Chemicals control act. 2017a 

  21. Ministry Of Environment(MoE).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registration, evaluation, etc. of chemicals. 2017b 

  22. NPAC(National Planning and Advisory Committee). Contents of the 100 major government projects of the five-year plan of state administration-Implementation of MSDS trade secret examination system. 2017 

  23. Park JH, Ham SH, Kim SJ, Lee KS, Ha KC. Study on the chemical management - 1.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und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5;25(1):45-57 

  24. UN(United National).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ing of chemical(GHS). St/Sg/Ac. 10/30/Rev.6, 2017. 

  25.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me). Strategic approach to international chemicals management (SAICM) - Report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hemical management on the work of its fist session. SAICM/ICCM.1/7. 2006 

  26. US DoL(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29 CFR Part 1910 Hazard communication: Final rule. Fed regist. 1983;48(208):53280 

  27. US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mergency planning and community right-to-know act(EPCRA).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