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5 no.1, 2018년, pp.25 - 49  

김희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심리재활학과 음악치료전공) ,  문소영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소속 유소년축구선수 80명(실험집단 39명, 통제집단 41명)으로, 편의적 표집방법을 통해 모집되었다. 실험집단은 소규모(8-11명)로 나누어 주 4회, 45분씩,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별도의 처치 없이 휴식을 취하였다.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효과검정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운동스트레스척도와 운동선수 긍정심리자원척도를 사용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 표본 t 검정을 통해 동질성검정과 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을 통해 집단 내 사전 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p < .01). 운동스트레스 사전 사후점수 비교에서 실험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 < .05), 둘째, 긍정심리자원 사후점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p < .01). 긍정심리자원 사전 사후점수비교에서 실험집단은 점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 < .05).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자원 지지와 긍정정서 유도를 통한 운동스트레스 감소가 가능함을 시사하며, 향후 긍정심리자원 형성에 초점을 맞춘 후속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ng-based group music therapy on the exercise str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youth soccer players. Eighty youth soccer players were assigned to either a song-based music therapy group or a control group. For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song-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에 대한 치료적 중재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스트레스 수준이 상승하므로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운동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이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유소년축구선수 심리치료프로그램의 하나로 음악치료의 연구영역을 확장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논의와 결론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및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청소년들이 겪는 스트레스에 추가로 운동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유소년축구선수 39명에게 2018년 1월 8일부터 2018년 1월 31일까지 주 4회 45분씩, 총 15회기의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수행력 향상이 개인 내적자원을 토대로 성장함(Yun & Jeon, 2015)을 고려한다면 긍정심리자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Kim & Kim,2017). 이에 이 연구에서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가 유소년축구선수의 운동 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활동목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 3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단계는 관계형성 및 친밀감 향상, 중기단계는 운동스트레스 탐색과 감소 및 긍정심리자원탐색과 향상, 후기단계는 강화된 긍정심리자원을 경기와 훈련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개인내적 문제 다루기와 심리자본 향상을 돕는 음악심리치료적 접근(Chong & Kim, 2010)을 참고하였다.

가설 설정

  •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운동스트레스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긍정심리자원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자기효능감과 심리기술의 경우, 실험집단 평균점수가 통제집단 평균점수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긍정심리자원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지지한다.
  • 001). 위와 같은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운동스트레스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을 지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를 일컫는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정신적으로 급변하는 성장을 겪는 시기이다. 생활공간의 변화로 심리적 갈등의 빈도는 커지고, 친구와의 경쟁, 부모의 기대, 성취압력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심화시킨다(Kim & Kang, 2016).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에서 단계별 목표는? 노래중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은 활동목표에 따라 초기, 중기, 후기 3단계로 구성하였다. 초기단계는 관계형성 및 친밀감 향상, 중기단계는 운동스트레스 탐색과 감소 및 긍정심리자원탐색과 향상, 후기단계는 강화된 긍정심리자원을 경기와 훈련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개인내적 문제 다루기와 심리자본 향상을 돕는 음악심리치료적 접근(Chong & Kim, 2010)을 참고하였다.
운동선수의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일으키는 부정적인 영향은? 스트레스는 인간의 삶에서 직면해야 하는 것이나, 부정적 스트레스가 지속될 경우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운동선수의 지속적인 스트레스는 소진(burnout)을 유발하고(Smith, 1986), 이는 경기에 대한 흥미상실, 부상, 운동중단 등의 결과로 이어진다(Kim & Kim, 1998). 따라서 유소년축구선수들이 직면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대처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brams, B. (2015). Humanistic approaches. In B. Wheeler (Ed.), Music therapy handbook. New York: Guilford Press. 

  2. Baker, F. A. (2015). What about the music? Music therapists' perspectives on the role of music in the therapeutic songwriting process. Psychology of Music, 43(1), 122-139. 

  3. Baker, F. A., & Ballantyne, J. (2013). "You've got to accentuate the positive": Group songwriting to promote a life of enjoyment, engagement and meaning in aging Australians.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22(1), 7-24. 

  4. Baker, F. A., & MacDonald, R. A. (2014). Experiences of creating personally meaningful songs within a therapeutic context. Arts & Health, 6(2), 143-161. 

  5. Cho, J. E. (2016). A study of the impact that listening to music and playing music has on musical preferences(음악듣기와 음악활동 경험이 음악적 선호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28, 107-127. 

  6. Cho, S. H. (2015). The effect of band performance-oriented music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community children center adolescents(밴드(Band)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9(2), 50-81. 

  7. Choi, M. H. (2006). Song psychotherapy(노래심리치료). In H. J. Chong (Ed.), Music therapy techniques and models. Seoul: Hakjisa. 

  8. Chong, H. J., & Kim, D. M. (2010). Music psychotherapy(음악심리치료). Seoul: Hakjisa. 

  9. Clements-Cortes, A. (2004). The use of music in facilitating emotional expression in the terminally ill.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Medicine, 21(4), 255-260. 

  10. Day, T., Baker, F., & Darlington, Y. (2009). Experiences of song writing in a group programme for mothers who had experienced childhood abuse.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18(2), 133-149. 

  11. de Chumaceiro, C. L. D. (1992). What song comes to mind? Induced song recall: Transference/countertransference in dyadic music association in treatment and supervision. The Arts in Psychotherapy, 19(5), 325-332. 

  12.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300-319. 

  13. Grocke, D., & Wigram, T. (2007). Receptive methods in music therapy. London, UK: Jessica Kingsley Publisher. 

  14. Han, S. C., & Cho, H. R. (2004). The effects of a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chool adjustment and a self-efficacy with underachieved student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실업계고등학교 내 학업부진아의 학교생활적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1(1), 39-54. 

  15. Hwang, E. Y. (2016). A pilot study on adolescents' daily musical activities, musical preferences, their stress-level, and mood regulation strategies through music(청소년의 음악생활 및 음악선호도, 그리고 일상 스트레스와 음악사용전략 조사 연구).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12(4), 95-114. 

  16. Jo, K. A., & Kang, K. S. (2014). The effect of group music psychotherapy on the self-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family(집단음악심리치료가 저소득층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12(1), 85-103. 

  17. Jo, Y. S. (2016). Development of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s' and its effects(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4), 529-546. 

  18. Kim, B. J., & Kim, J. S. (1998). Sources of stress in competitive youth sport in Korea(청소년 스포츠 참가자 심층이해 (2): 스트레스 요인).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9(1), 33-49. 

  19. Kim, E, J., & Heo, J. H. (2017). Development of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athletes(운동선수 긍정심리자본척도 개발).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24), 1125-1146. 

  20. Kim, H. E., Lee, M. H., & Kim, I. G. (2014). The recent trends and meta analysis of the effect of group counselling program for domestic university students(국내 대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및 연구동향).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5(4), 1441-1456. 

  21. Kim, H. K. (2015). Harmonic preference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age and musical training(연령과 음악적 배경에 따른 아동 및 청소년의 화음 선호도).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23-42. 

  22. Kim, H. Y. (2014). The effect of receptive music therapy on youth athlete's stress(수용음악치료가 청소년운동선수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3. Kim, J. S., & Kim, H. J. (2017). The conceptual structur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youth football player(유소년축구선수의 긍정심리자본 개념구조).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8(3), 13-24. 

  24. Kim, S. C., Kim, Y. S., & Lee, H. R. (2007).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on stress and anger reduction for adolescents(아동?청소년상담: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4), 1605-1622. 

  25. Kim, S. M. (2014).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athletes(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21(2), 215-238. 

  26. Kim, Y. H., & Kang, Y. J. (2016). Comparison between general teenagers and juvenile delinquents in cause and coping methods of stress(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법 비교). Journal of Youth Welfare, 18(1), 261-284. 

  27. Lim, T. H., & Lee, Y. S. (2014). Effect of college students' physical activity on stress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대학생의 신체활동이 스트레스와 행복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3(1), 155-166. 

  28.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706. 

  29. McFerran, K. (2010). Adolescents, music and music therapy: Methods and techniques for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London, UK: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0. Moon, J. Y. (2010). 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in decreased stress for preschool children(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유치원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8(2), 35-48. 

  31. Noh, G. O., & Im, Y. S. (2017). The influence of perfectionism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tress of nursing students(간호대학생의 완벽주의와 긍정심리자본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3), 1655-1688. 

  32. Seo, S. M. (2005). A study on the behavior of adolescence's music listening(청소년의 음악감상 행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2(2), 1-14. 

  33. Shin, Y. H., & Ahn, Y. H. (2009). A mentoring program for stress management among Korean adolescents(청소년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2), 259-268. 

  34. Smith, R. E. (1986). Toward a cognitive-affective model of athletic burnou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1), 36-50. 

  35. Suh, S.-M., Lee, J.-W., & Jang, Y.-H. (2012). The influence of positive emotion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mindfulness: The effects of a mind-body training program(긍정적 정서가 심리적 자본 및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심신수련 프로그램의 효과).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7(6), 127-156. 

  36. Yoo, S. K. (2000). What makes a differences for Korean juveniles?(청소년 탈비행과 위험요소 및 보호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8(3), 81-106. 

  37. Yun, H. J. (2015).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research of self-related variables(자아관련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8. Yun, J. R. (2014). Juvenile offenders' experience of music therapy withi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A modified grounded theory study(조건부 기소유예 판결을 받은 학교 폭력 가해 청소년의 음악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1(1), 63-82. 

  39. Yun, J. R. (2018). The process of resource formation among adolescents at risk through resource-oriented song psychotherapy(자원지향 노래심리치료를 통한 위기청소년의 심리적 자원 형성 과정)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0. Yun, Y. K., & Chung, C. H. (1999). Development of a stress scale for highschool and university soccer player(고교 대학 축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척도 개발).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1999(3), 17-45. 

  41. Yun, Y. K., & Jeon, J. Y. (2013). Surrounding environment for sport talents manifestation and probability of interaction between sport talent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for sport talented(스포츠영재성의 발화 환경).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4(2), 244-255. 

  42. Yun, Y. K., & Jeon, J. Y. (2015). Psychological capitals aquisition through Asian games participation for national women football players(아시안게임 출전 경험으로 축적한 여자 축구선수의 심리자본).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2), 368-378.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