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 감소를 위한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 적용 예비연구
Pilot Study of Single Session Song-Based Music Therapy for Decreasing ICU Caregiver Anxiety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1, 2019년, pp.25 - 46  

정유선 (소리울 치료상담센터) ,  나성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 감소를 위해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를 적용한 예비연구로, 총 6명의 중환자 보호자가 음악치료 세션에 참여하였다. 노래중심 음악치료 중재는 초반에 대상자의 현재 정서 상태를 확인하고, 신체적 이완촉진 및 심리적 저항감을 줄이기 위한 음악듣기 혹은 음악에 맞추어 악기(톤차임)를 연주하는 단계를 진행하였고, 이후 노래중심 활동에서는 노래 가사에 대해서 토의하고 실제로 노래를 부르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가사에 대해 토의하면서 대상자가 자신에게 의미 있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고, 노래부르기 동안에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정서 상태에 따라 음악 요소(템포, 다이내믹, 리듬, 화성 등)를 조정하며 제공하는 반주에 맞춰 선택된 노래를 부르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 전후로 상태불안 척도(STAI) 및 정서 상태에 대한 VAS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중재 과정에서 관찰된 대상자의 언어 반응 역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후 대상자들의 STAI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이 지각하는 정적 정서상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단회기 치료과정에서의 심리적 변화에는 개인적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단회기 노래중심 음악치료가 중환자 보호자의 불안을 포함한 심리정서적 필요에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ilot study involved a single session of song-based music therapy to relieve the anxiety of intensive care unit (ICU) caregivers. Six caregivers of ICU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session individually.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intervention, the participants' current emotion...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무 생각도 없는데 그냥 모르게 나오는 거 있잖아요”라고 말하며 이전 암 병동에서 찬송가를 들었을 때 슬픔을 느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 연구 결과의 제시를 위해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중재 전후의 정서 변화를 측정하는 동시에, 중재 참여 중 보고된 언어적 반응을 수집하여 각 대상자의 전반적 영역에서 관찰된 불안 수준의 변화를 알아 보고자 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중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치료 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 중재 방안과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보호자는 어떤 의미인가?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보호자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직계 및 방계 가족을 의미하는데, 이중 중환자 보호자는 급격한 상태변화의 가능성으로 인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중증 환자의 보호자를 지칭한다(Kwon & Lee, 1987). 이들은 중증 환자의 특성으로 인해 입원  기간 동안 불안, 우울 등을 경험하며, 장기적으로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Beesley et al.
중환자 보호자은 지속적인 긴장으로 어떤 반응을 보이기도 하는가? , 2018; Choi et al, 2018; McAdam, Dracup, White, Fontaine, & Puntillo, 2010). 중환자 보호자 들은 지속적인 긴장으로 인해 탈진, 피로감  등을  경험하거나(Kim,  Park,  &  Park,  2002; Kleiber et al., 1994), 수면장애나 식욕 저하와  같은  생리적  이상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Halm et al., 1993; Van Horn & Tesh, 2000).
중환자 보호자들 중 환자의 배우자가 갖는 특징은?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73.3%는 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하여 심리적 어려움 중 불안을 가장 높은 비율로 호소하였고, 특히 환자의 배우자는 환자와 가장 긴밀한 유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다른 가족 구성원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불안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ochard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k, H. G. (2014). A meta-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research to reduce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 Beesley, S. J., Hopkins, R. O., Holt-Lunstad, J., Wilson, E. L., Butler, J., Kuttler, K. G., ... Hirshberg, E. L. (2018). Acute physiologic stress and subsequent anxiety among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Critical Care Medicine, 46(2), 229-235. 

  3. Bishop, S. M., Walker, M. D., & Spivak, I. M. (2013). Family presence in the adult burn intensive care unit during dressing changes. Critical Care Nurse, 33(1), 14-24. 

  4. Chaboyer, W., Thalib, L., Alcorn, K., & Foster, M. (2007). The effect of an ICU liaison nurse on patients and family’s anxiety prior to transfer to the ward: An intervention study.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23(6), 362-369. 

  5. Choi, D. I. (2017). Review of music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in medical setting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4(1), 17-39. 

  6. Choi, K. W., Shaffer, K. M., Zale, E. L., Funes, C. J., Koenen, K. C., Tehan, T., ... Vranceanu, A. (2018). Early risk and resiliency factors predict chroni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aregivers of patients admitted to a neuroscience ICU. Critical Care Medicine, 46(5), 713-719. 

  7. Choi, Y. K. (2010). The effect of music and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anxiety,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47(1), 53-69. 

  8. Chong, H. J. (2011). Influence of music on human behavior. Seoul: Hakjisa. 

  9.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0. Chong, H. J., & Kim, D. M. (2010). Music psychotherapy. Seoul: Hakjisa. 

  11. Daly, B. J., Douglas, S. L., O’Toole, E., Gordon, N. H., Hejal, R., Peerless, J., ... Hickman, R. (2010). Effectiveness trial of an intensive communication structure for families of long-stay ICU patients. Chest, 138(6), 1340-1348. 

  12. Gardstrom, S. C., & Hiller, J. (2010). Song discussion as music psychotherapy. Music Therapy Perspectives, 28(2), 147-156. 

  13. Halm, M. A. (1990). Effects of support groups on anxiety of family members during critical illness. Heart & Lung, 19(1), 62-71. 

  14. Halm, M. A., Titler, M. G., Kleiber, C., Johnson, S. K., Montgomery, L. A., Craft, M. J., ... Megivern, K. (1993). Behavioral responses of family members during critical illness. Clinical Nursing Research, 2(4), 414-437. 

  15. Kim, E. S., Park, J. S., & Park, C. J. (2002). A relation study on burd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family caregiver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654-664. 

  16. Kim, J. T., & Shin, D. K. (1978).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The New Medical Journal, 21, 69-75. 

  17. Kim, Y. J., & Seo, N. S. (2010).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nausea, vomiting,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2), 171-179. 

  18. Kleiber, C., Halm, M., Titler, M., Montgomery, L. A., Johnson, S. K., Nicholson, A., ... Megivern, K. (1994). Emotional responses of family members during a critical care hospit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3(1), 70-76. 

  19. Knight, W. E. J., & Rickard, N. S. (2001). Relaxing music prevents stress-induced increases in subjective anxiety,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healthy males and females. Journal of Music Therapy, 38(4), 254-272. 

  20. Krout, R. E. (2001). The effects of single-session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the observed and self-reported levels of pain control, physical comfort, and relaxation of hospice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18(6), 383-390. 

  21. Kwon, S. B., & Lee, M. L. (1987). Factor analysis of the seriously-ill patient’s family nee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7(2), 122-136. 

  22. Lee, M. M., & Yi, M. S. (2017). Experiences of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teractions with health care provid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1), 76-86. 

  23. Lim, D. B. (2017).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articles related to therapeutic use of so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McAdam, J. L., Dracup, K. A., White, D. B., Fontaine, D. K., & Puntillo, K. A. (2010). Symptom experiences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t high risk for dying. Critical Care Medicine, 38(4), 1078-1085. 

  25. Menon, V., & Levitin, D. J. (2005). The rewards of music listening: Response and physiological connectivity of the mesolimbic system. NeuroImage, 28(1), 175-184. 

  26. Montgomery, R. J., Gonyea, J. G.,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34(1), 19-26. 

  27. Oh, S. H. (2003). A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stress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8. Okamoto, M. (2005).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on grief and spirituality of family members of patients in a hospice set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Florida State University, Florida. 

  29. O’Kelly, J. (2008). Saying it in song: Music therapy as a carer support inter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4(6), 281-286. 

  30. Park, M. J., Park, S. H., & Chung, M. Y. (2017). Factors affecting caregivers’ burnout caring for a family member in an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Adult Nursing, 29(5), 517-526. 

  31. Pochard, F., Darmon, M., Fassier, T., Bollaert, P-E., Cheval, C., Coloigner, M., ... Azoulay, E. (2005).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before discharge or death: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ournal of Critical Care, 20(1), 90-96. 

  32. Rim, J. H. (2009). 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in decreasing adolescent test anxiety.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6(1), 81-109. 

  33. Roh, E. S., Kim, K. H., & Kwon, H. J. (1997). A study on caring experiences of the families of the seriously ill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9(2), 251-261. 

  34.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STAI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5. Song, Y. M.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musical activities focused on lyric discussion on reducing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the patients suffering from spinal injur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6. Steenbarger, B. N. (2002). Brief therapy. In M. Hersen, & W. Sledge (Eds.), Encyclopedia of psychotherapy (pp. 349-358).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7. Van Horn, E., & Tesh, A. (2000). The effect of critical care hospitalization on family members: Stress and responses.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19(4), 40-49. 

  38. White, D. B., Martin Cua, S., Walk, R., Pollice, L., Weissfeld, L., Hong, S., ... Arnold, R. M. (2012). Nurse-led intervention to improve surrogate decision mak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critical illnes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1(6), 396-4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