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6, 2018년, pp.569 - 578
최정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 이옥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 김용석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김상단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환경공학전공))
To minimize the negative alterations in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environment in urban areas due to urbanization,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are actively applied. In Korea, LID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NPRFs), and therefore they are evalu...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LID 시설의 목표는 무엇인가? | , 2017). LID 시설은 기존의 물관리시스템과는 달리 투수면적의 확대를 통해 침투작용을 활성화함으로써 강우유출수 제어 및 정화기능을 강화하고 친환경적인 강우유출환경을 조성하여 건강한 물순환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Han, 2011). | |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에서 제시하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성능평가 방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LID 시설은 비점오염저감시설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수질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NIER, 2014)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성능평가 방법이 LID 시설의 성능평가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방법은 모든 시설에 대하여 종류와 관계없이 설계기준강우를 이용하여 시설의 성능을 평가하고 있어, 설계기준강우가 동일할 경우 시설의 강우유출수처리비 및 삭감대상부하비가 동일하게 계산된다. 즉, 어떠한 시설이든 시설의 내부 저류공간의 규모가 동일하다면 같은 양의 강우유출수와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으로 산정된다. 이러한 개념은 큰 규모의 비워진 저류공간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유역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물질을 차집하고 처리하는 기존의 비점오염저감시설에는 적합하지만, 특성이 다른 LID 시설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2009년 논문에서 LID 시설은 어떤 시설로 분류가 되나? | 이러한 개념은 큰 규모의 비워진 저류공간으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유역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물질을 차집하고 처리하는 기존의 비점오염저감시설에는 적합하지만, 특성이 다른 LID 시설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ID 시설은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로 구분되지만 (Elliott et al., 2009), 일반적으로 여러 곳에 분산하여 상대 적으로 작은 규모로 설치되며 공학적으로 처리된 흙이나 자갈 사이에 존재하는 공극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비점오염저감시설과 LID 시설의 특성에 차이가 존재한다. |
Alabam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DEM). (2007). Low impact development handbook for the state of Alabama, Alabama Depart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Choi, J., Lee, O., and Kim, S. (2017). Estimation of stormwater interception rate for bio-retention LID fac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5), 563-571. [Korean Literature]
Chung, S. W., Gassman, P. W., Kramer, L. A., Williams, J. R., and Gu, R. R. (1999). Validation of EPIC for two watersheds in southwest Iowa,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8(3), 971-979.
Credit Valley Conservation (CVC). (2012). Low impact development stormwater management planning and design guide, Credit Valley Conservation.
Damodaram, C., Giacomoni, M. H., Prakash Khedun, C., Holmes, H., Ryan, A., Saour, W., and Zechman, E. M. (2010) Simulation of combined best management practices and low impact development for sustainable storm water manag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6(5), 907-918.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 (DOEE). (2013). Stormwater management guidebook,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 99-128.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DER). (2001). The bioretention manual, Prince George's Count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Programs and Planning Division, Maryland.
Elliott, A. H., Trowsdale, S. A., and Wadhwa, S. (2009). Effect of aggregation of on-site storm-water control devices in an urban catchment model, ASCE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4(9), 975-983.
Grimmond, S. (2007) Urbaniza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local effects of urban warming, The Geographical Journal, 173(1), 83-88.
Green, C. H., Tomer, M. D., Di Luzio, M., and Arnold, J. G. (2006). Hydrologic evaluation of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for a lager tile-drained watershed in Iow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49(2), 413-422.
Gupta, H. V., Kling, H., Yilmaz, K. K., and Martinez, G. F. (2009). Decomposition of the mean squared error and NSE performance criteria: implications for improving hydrological modelling, Journal of Hydrology, 377(1), 80-91.
Han, W. (2011). Cases and implications of low impact development for urban stormwater management improvement in US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olicy brief, 344, 1-6. [Korean Literature]
Korea Environmental Corporation (KECO). (2009). The study report of zeroing the feasibility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al Corporation, 222-225. [Korean Literature]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Installation, administration manual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control faciliti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4). The total amount of water pollution management technical guidanc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67-68.
Palhegyi, G. E. (2010). Modeling and sizing bioretention using flow duration control,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15(6), 417-425.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1999). Storm water technology fact sheet: bioretention,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15).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user's manual version 5.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16a).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reference manual volume I-Hydrolog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2016b).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reference manual volume III-Water Quality,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Virginia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VWRRC). (2013). Virginia DCR stormwater design specification No.9, Virginia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47-5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