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Influence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4 no.2, 2018년, pp.174 - 184  

김소희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노윤구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Method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75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응의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도록 돕는 근거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녀양육효능감, 배우자 지지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다문화 관련된 결혼이주여성의 연구는 대부분 출신국가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이뤄진 연구가 대다수였으므로, 각 이주여성의 문화 특성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배우자 지지가 자녀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성공적으로 한국에 적응하고 자녀양육어머니로서의 역할에 잘 안착하도록 돕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자녀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이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지며 자녀양육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더불어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제약 등으로 인해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지며 자녀 양육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14]. 양육자로서 역할을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녀양육과 관련한 어려움에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자기 스스로에 대한 믿음으로 표현되는 자녀양육효능감[15]은, 자녀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끌고 자녀발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16].
자녀양육효능감이란 무엇인가? 더불어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사회에 적응하면서 문화적 차이와 언어적 제약 등으로 인해 자녀양육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지며 자녀 양육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14]. 양육자로서 역할을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자녀양육과 관련한 어려움에 잘 대처할 수 있다는 자기 스스로에 대한 믿음으로 표현되는 자녀양육효능감[15]은, 자녀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끌고 자녀발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16]. 아동 발달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운데 하나는 자녀와 부모의 상호작용인데 관계형성에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는 어머니의 문화적응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므로[17], 자녀의 건강한 성장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대한 갈등이 낮은 경우와 문화적응 정도가 높은 경우 어떠한 결과가 나타나는가?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감소시키며[7], 임신여성의 불안과 이주여성의 우울을 심화시키고[8, 9], 하위요인인 죄책감과 문화적 충격은 자녀양육효능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0]. 그러나 문화적응에 대한 갈등이 낮은 경우 양육역량이 향상되고[10-12], 문화적응 정도가 높으면 삶에 대한 만족도 높아지므로[13], 어머니로서의 안정적인 역할과 건강한 다문화가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는 문화적응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National indicator statistics: Marriage Immigrant Status in 2017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2017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819 

  2. Multipurpose Family Support Portal Danuri. Multicultural Family Statistics in 2017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2017 December 20]. Available from: https://liveinkorea.kr/portal/KOR/page/contents.do?menuSeq295&pageSeq289 

  3. Berry JW.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1997;46(1):5-34.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4. Cha OH, Hong DAG. Case study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s' adjustment to Korea.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07;16(1):61-73. 

  5. Cho HH, Park ES, Oh WO. Maternal conflicts of Vietnames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 Nursing. 2014;44(6):617-629.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17 

  6. Bornstein MH. Parenting in acculturation: two contemporary research designs and what they tell u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2017;15:195-200. https://doi.org/10.1016/j.copsyc.2017.03.020 

  7. Kim MJ. Effects of domestic violence,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mental health of 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011; 19(3):1-28. https://doi.org/10.21479/kaft.2011.19.3.1 

  8. Preciado A, D'Anna-Hernandez K. Acculturative stress is associated with trajectory of anxiety symptoms during pregnancy in Mexican-American wom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017;48:28-35. https://doi.org/10.1016/j.janxdis.2016.10.005 

  9. Thao NT. Different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family life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2016;10(2):225-236. 

  10. Park SE, Rhee CW. Impact of Acculturative stress on immigrant women's parenting efficac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2;37(9): 359-384. https://doi.org/10.16975/kjfsw.2012..38.012 

  11. Choe HS.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parenting self-efficacy: focusing on Chinese, Filipinas, and Vietnames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10;48(7):1-13. 

  12. Kiang L, Glatz T, Buchanan CM. Acculturation conflict, cultural parenting self-efficacy, and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in Asian American and Latino/a families. Family Process. 2017;56(4):943-961. 

  13. Kim YS.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focusing on family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012;38:229-256. https://doi.org/10.16975/kjfsw.2012..38.008 

  14. Lee SS, Park JS, Kim PS, Kim HS. Marriage and birth form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polic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19-1:1-183. 

  15. Park CO, Lee EK. A study regarding whit the development of a parent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for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3;17(3):527-547. 

  16. Kim NH, Baek IK. The effect of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on their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and social and peer compete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15;19(1):365-384. 

  17. Lee JY.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mothers' enculturation stress and parental stress on children's mal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a control effect of family func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2012;17(2):105-125. 

  18. Glanz KE, Lewis FME, Rimer B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francisco, CA: Jossey-Bass; 2008. p. 189-210. 

  19. Ha JY, Kim YJ.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54-264. https://doi.org/10.4069/kjwhn.2013.19.4.254 

  20. Kang MC, Lee SJ.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esteem and parenting efficacy in the female ommigrants by marriage: the mediation effects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Welfare and Counselling Education. 2017;6(2):83-108. https://doi.org/10.20497/jwce.2017.6.2.83 

  21. Sandhu DS, Asrabadi BR.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preliminary findings. Psychological Reports. 1994;75(1):435-448. 

  22. Kwon BS. The effects of Korean abil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based immigrant women: focused on Vietnamese, Filipino, and Chinese Women in Daegu.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09;61(2):5-32. https://doi.org/10.20970/kasw.2009.61.2.001 

  23. Kim HJ. A study of spousal support, the demand for health educ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2008;14(1):5-11. 

  24. Gibaud-Wallston J, Wandersman LP. Deve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PSOC)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Canada; 1978 August. 

  25. Jin YC, Jang YA.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on preschool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 Korea and Chin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3;24(1):99-118. https://doi.org/10.7856/kjcls.2013.24.1.99 

  26.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 

  27. Nam IS, Ahn SH. Comparison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married immigrant women i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7(2):99-108.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99 

  28. Kim SO, Lim HS, Jeong GC. Effects of support from spouse and family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3;13 (11):221-234.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29. Lee KS. Developing a program to improve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behavior and parenting efficacy and verifying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 [dissertation]. Pochon: DaeJin University; 2015. 123 p. 

  30. Park SM. Factors affecting the parenting efficacy of foreign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2. 64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