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돌봄 측정 관련 국내 간호학 연구 문헌고찰: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f the Korean Nursing Research Literature with Focus on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aring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2, 2018년, pp.155 - 169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박영숙 (한국방송통신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quantitative research literature on measuring caring in order to identify overall trends in measuring caring. Methods: Fifty three papers were selected from four databases including RISS4U, DBpia, KISS, and Korea Med. Results: The number of measu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들을 제외한 다른 연구들의 경우에는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문헌분석에 제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돌봄 측정 관련 양적 연구논문을 고찰함으로써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돌봄을 정의하고 측정해온 현황과 그 진전을 파악하고자 처음 시도된 연구로, 돌봄과 간호에 관한 지식 확대와 돌봄의 실증적인 탐색에 기여하며 기존의 질적 연구 중심으로 수행된 돌봄 연구와 함께 돌봄의 특성과 간호실무, 건강 결과와의 관련성을 객관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간호전문직의 핵심적인 돌봄과 그 효과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그 중요성과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돌봄 측정과 이에 대한 타당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돌봄 측정 관련 양적 연구 논문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돌봄을 정의하고 측정해온 현황과 그 진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수행된 돌봄 측정 관련 양적 연구논문들을 검토하고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돌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돌봄을 측정한 양적 연구들에 대하여 연구방법과 돌봄 측정도구의 특성 등을 고찰함으로써, 돌봄 측정과 관련된 최근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돌봄 측정도구 및 돌봄 측정 관련 양적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특히 간호전문직의 핵심적인 돌봄과 그 효과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의료체계 내에서 그 중요성과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도 돌봄 측정에 대한 타당성 확보는 중요하다[1].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 이제까지 수행된 돌봄 측정 관련 양적 연구논문을 고찰함으로써 현재까지의 국내 간호학분야에서 돌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돌봄을 측정해온 현황과 그 진전을 파악하고 돌봄 측정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ates C. The evolution of measuring caring: Moving toward construct validity.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2009. p. 261-265. 

  2. Kim MJ, Lee EN.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intra-operative caring behaviors perceived by regional anesthesia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749-758. https://doi.org/10.4040/jkan.2012.42.5.749 

  3. Jun YS, Kang KA. Development of the tool for measuring the care satisfaction of home health nursing based on Watson's theory of human caring.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1):57-70.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57 

  4. Watson J. Overview: Measuring caring.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2nd ed.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9. p. 3-23. 

  5. Beck CT.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9;30(1):24-32.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9.01045.x 

  6. Coates C. The evolution of measuring caring: Moving toward construct validity. In: Watson J, editor. Assessing and measuring caring in nursing and health science.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2. p.215-241. 

  7. Morse JM, Solberg SM, Neander WL, Bottorff JL, Johnson JL. Concepts of caring and caring as a concept.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0;13(1):1-14. 

  8. Lee BS. Concept analysis of car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6;26(2):337-344. https://doi.org/10.4040%2Fjnas.1996.26.2.337 

  9. Kim YY, Lee BS. Importance of nurses's caring behaviors as perceived by staff nurses and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9;6(1):18-34. 

  10.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H,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4th ed. Seoul: Sumoonsa; 2009. 789 p. 

  11. Park EJ, Kim MH. Characteristics of nursing and caring concepts measured in nursing competencies or caring behaviors too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480-495.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480 

  12. Waston J. Human caring science: a theory of nursing. 2nd ed. Sudbury, MA: Jones & Bartlett Learning; 2012. 122 p. 

  13. Kim S, Kim S. Interpersonal caring theory: An empirical test of its effectiveness utilizing growth curve analysis-II. Asian Nursing Research. 2007;1(3):187-198. https://doi.org/10.1016/S1976-1317(08)60021-3 

  14. Smith CE, Pace K, Kochinda C, Kleinbeck SVM, Koehler J, Popkess-Vawter S. Caregiving effectiveness model evolution to a midrange theory of home care: A process for critique and replic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2;25(1):50-64. https://doi.org/10.1097/00012272-200209000-00007 

  15. Yoon SH. Study on clinical nurses'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using communication skills by interpersonal caring technique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5. 75 p. 

  16. Lee BS.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of caring to evaluate quality of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6;26(3):653-667.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5.480 

  17. Lee AR, Han KJ.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maternal behavior for health promotion for preschool childr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and Nursing. 2007;13(4):444-453. 

  18. Hong JJ. Prediction model of well-being and caring behaviors in main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0. 158 p. 

  19. Coates CJ. The caring efficacy scale: Nurses' self-reports of caring in practice settings. Advanced Practice Nursing Quarterly. 1997;3(1):53-59. 

  20. Lee JH, Friedmann E, Picot SJ, Thomas SA, Kim CJ.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 A translation and validation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9(4):407-4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346.x 

  21. Arthur D, Pang S, Wong T, Alexander MF, Drury J, Eastwood K, et al. Caring attributes,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technological influences in a sample of registered nurses in eleven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9;36(5):387-396. https://doi.org/10.1016/S0020-7489(99)00035-8 

  22. Wolf ZR, Zuzelo PR, Costello R, Cattilico D, Collaretti K, Crothers R, et 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caring behaviors inventory for elders. International Journal for Human Caring. 2004;8(1):48-54. 

  23. Lee AR. A structural model of car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73-682. https://doi.org/10.4040/jkan.2009.39.5.673 

  24. Leininger MM. Culture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theory and evolution of the ethnonuring method. In: Leininger MM, Mcfarland MR, editors. Culture care diversity and universality: A wordwide theory of nursing. 2nd ed. Sudbury, MA: Jones and Bartlett; 2006. p. 1-42. 

  25. Kim JH, Kong MY, Oh Y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scale-Korean ver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431-442. https://doi.org/10.4040/jkan.2016.46.3.431 

  26. Kitson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lay-caring and professional (nursing) caring relationship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3;40(5):503-510. https://doi.org/10.1016/S0020-7489(03)00065-8 

  27. Cha ES, Kim KH, Erlen JA. Translation of scales in cross-cultural research: Issues and techniqu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7;58(4):386-39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242.x 

  28. Tak YR, Woo HY, You SY, Kim J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erson-centered care assessment tool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412-419. https://doi.org/10.4040/jkan.2015.45.3.412 

  29. Goodwin LD. Changing conceptions of measurement validit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1997;36(3):102-107. https://doi.org/10.3928/0148-4834-19970301-04 

  30. Streiner DL, Norman GR, Cairney J.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99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