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f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yllabu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321 - 327  

박옥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P사립대학교의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여 수업계획서의 실체를 파악하고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P대학교 재학생 99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현 수업계획서에 대한 인식에서 성별, 학년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수업계획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았다(p<.05). 수업계획서의 11개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상하 각 10%선 내의 표본 집단을 추출하여 알아본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상위집단은 '시험', '과제', '담당교수정보' 항목에서 만족도가 낮았고, 이 부분은 상하집단간 차이도 제일 커서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업계획서 개발에 대한 교육적 함의 및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yllabus and their satisfaction of its components. A survey was conducted of the whole student body in a university located in Daejeaon city. 996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emales 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4년제 P사립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계획서에 대한 인식과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P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현 수업계획서의 실체를 파악하고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계획서의 사용자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P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대학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현 수업계획서의 실체를 파악하고 개선점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계획서의 사용자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P대학 수업계획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로는 대략적으로 무엇을 들 수 있는가? 수업계획서를 이루는 핵심은 수업계획서의 구성요소(components)로 수업계획서의 질을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다[3]. 가장 적절하고 타당한 구성요소에 대한 전문가들의 논의와 토론에도 불구하고 통일된 용어와 의견의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수업계획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로 교과목 정보, 교수자 정보, 학습목표, 수업방법, 교수매체, 평가방법, 교재 및 참고문헌, 주차별 강의내용 등을 대략적으로 들 수 있다[4.5].
수업계획서란 무엇인가? 수업계획서는 ‘학습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과 방향을 보여주는 지도’[1]이고,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수업에 대한 동의 및 합의의 계약이자 의사소통의 도구’[2]라고 할 수 있다. 즉, 수업계획서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수업이 시작되기 전 미리 하는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학습자는 수업계획서를 보고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어떤 성과를 이루게 될 것인지 예측할 수 있고, 교수자는 수업계획서에 수업에 대한 열성, 전문성, 책무성을 보여줌으로서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간 믿음과 신뢰가 형성될 수 있는 중요한 문서이다,
수업계획서가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수업계획서는 ‘학습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과 방향을 보여주는 지도’[1]이고,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수업에 대한 동의 및 합의의 계약이자 의사소통의 도구’[2]라고 할 수 있다. 즉, 수업계획서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수업이 시작되기 전 미리 하는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학습자는 수업계획서를 보고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어떤 성과를 이루게 될 것인지 예측할 수 있고, 교수자는 수업계획서에 수업에 대한 열성, 전문성, 책무성을 보여줌으로서 학습자와 교수자 상호간 믿음과 신뢰가 형성될 수 있는 중요한 문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L. B. Nilson. (2003). Teaching at its best. Bolton, MA: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2. J. M. Stattery & J. F. Carlson. (2005). Preparing an effective syllabus: Current best practice. College Teaching, 53(4), 159-164. 

  3. K. Matejka & L. B. Kurke. (1994). Designing a great syllabus, College Teaching, 42(3), 115-118. 

  4. H. R. Jung. (2007). Un analysis of undergraduate course syllabus and development of models, Ph.D.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5. J. Parkers & M. Harris. (2002). The purpose of syllabus. College Teaching, 50(2), 55-61. 

  6. S. Y. Jeon. (1997). University Curriculum and courses. Seoul: Hakjisa. 

  7.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070613093308335. 

  8.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0011408190079935&nvrY 

  9. S. H. Lee. (1987). University Curriculum.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10. I. S. Choi, H. S. Lee, G. H. Lee & S. J. Kim. (2012). A detailed analysis of creativity courses provided by prestigious Korea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2), 179-199. 

  11. H. S. Kim & H. S. Kim. (2009). Dynamic syllabus composition system considering the priorit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2), 13-22. 

  12. S. Y. Kim. (1991). Strategy of the Usage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Higher Education, 49(1), 101-105. 

  13. H. S. Chung & J. M. Kim. (2015). Design of semantic models for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convergence of ontology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3), 127-134. DOI: 10.15207/JKCS.2015.6.3.127. 

  14. S. H. Kang & E. J. Lee. (2013). A Study of Learner's Usage and Satisfaction by the Levels of Perception of the Course Syllabu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31-61. 

  15. M. J. Oh. (2016). Study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9-46. DOI: 10.22251/JLCCI. 2016.16.11.29 

  16. E. J. Ryu & J. H. Park. (2013). A study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related to the syllabus-based o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 in the 4-year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102-111. 

  17. J. Y. Park, S. W. Kim, W. H. Moon, O. K. Park, G, B. Lee & I. S. Choi. (2017). Standardized syllabus development report. Daejeon: Pai Chai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