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강의계획서 개발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Developing a Syllabus for Tertiar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10, 2018년, pp.541 - 547  

문원희 (배재대학교 간호학과) ,  박옥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  최임숙 (배재대학교 교직부)

초록

본 연구는 D광역시 소재 P사립대학에서 대학수업의 질 개선의 일환으로 강의계획서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절차는 문헌연구를 통해 강의계획서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추출하였고, 전국의 4년제 대학교 중 참여를 승낙한 27개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여 구성요소와 내용을 분석하였고, P대학 소속 교수 15명을 대상으로 강의계획서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전문가집단으로 구성된 연구팀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강의계획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강의계획서는 국내 저명 교육학 전문가 2명의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의계획서는 핵심 기본 요소와 교과목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수자의 선택 요소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자율성과 편리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확장된 방식에 따라 다양하고 독창적 강의계획서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stablish a syllabus for P university in an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tertiary education. Twenty seven universities' syllabi were collected in order to compare their components and content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professors at P university, and their 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동영상 강의계획서[3]나 시멘틱 강의계획서[6]와 같이 기술기반 강의계획서 개발에 주안점을 둔 연구가 있다. 반면 본 연구는 대학전체가 공유할 수 있는 강의계획서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위치한 P사립대학의 강의계획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타 대학의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수업을 직접 설계하는 교수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개발된 강의계획서에 대한 교육전문가의 평가를 받고 보완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강의계획서에 대한 문헌 연구, 수집한 강의 계획서의 분석을 통한 사례 연구, 강의계획서를 작성하는 교수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실증 연구와 전문가들의 평가를 거쳐 P대학에 최적화된 강의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15인의 교수인터뷰 자료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자료 수집 단계에서 참여자의 말을 그대로 필사하고자 하였고 모든 자료는 녹음하여 재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 관련 교육을 받은 본 연구원 1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졌고, 연구원 3인의 빈번한 상호작용과 검토를 통해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의계획서의 역할은 무엇인가? 강의계획서는 학습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과 방향을 보여주는 지도’[1]로 학습자는 강의계획서를 보고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어떤 성과를 이루게 될 것인지를 미리 예측해볼 수 있다[2]. 한편, 교수자에게 강의계획서는 교수설계 결과물로서 학습자에게 수업에 대한 안내를 하는 동시에 교수자의 수업에 대한 열성, 전문성, 책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이다[3].
강의계획서의 구성요소가 일반화 되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강의계획서의 구성요소는 강의계획서를 이루는 핵심으로 강의계획서의 질을 결정짓는다고 할 수 있다. 가장 적절하고 타당한 구성요소에 대한 국내외 학자들의 오랜 논의가 있어왔지만 통일된 의견과 용어 사용의 합의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 강의계획서에 대한 학습자 혹은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 도에 관한 연구에서는[2, 9-10],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을 반영한 강의계획서 작성을 제안하고 있다.
강의계획서는 교수자에게 무엇인가? 강의계획서는 학습자에게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과 방향을 보여주는 지도’[1]로 학습자는 강의계획서를 보고 무엇을 어떻게 배우고 어떤 성과를 이루게 될 것인지를 미리 예측해볼 수 있다[2]. 한편, 교수자에게 강의계획서는 교수설계 결과물로서 학습자에게 수업에 대한 안내를 하는 동시에 교수자의 수업에 대한 열성, 전문성, 책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이다[3]. 이와 같이 강의계획서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수업이 시작되기 전 미리 하는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수업에 대한 사전 동의 및 합의의 계약이자 의사소통의 도구’[4]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L. B. Nilson. (2003). Teaching at its best. Bolton, MA: Anker Publishing Company, INC. 

  2. O. K. Park. (2018). A Convergence Study f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Syllabu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6), 321-327. DOI: 10.15207/JKCS.2018.9.6.321 

  3. H, Sim & W. H. Choi. (2017).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daptive Interaction-based Video Syllabus. Journal of the KIECS, 12(4), 663-670. DOI : 10.13067/JKIECS.2017.12.4.663 

  4. J. M. Stattery & J. F. Carlson. (2005). Preparing an effective syllabus: Current best practice. College Teaching, 53(4), 159-164. 

  5. S. Y. Jeon. (1997). University Curriculum and courses. Seoul: Hakjisa. 

  6. H. S. Jung & J. M. Kim. (2012). Design of Intelligent Model of Syllabus for Creating Adaptive Learning Path.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0(9), 132-142. 

  7. S. H. Lee. (1987). University Curriculum. Seoul: Yonsei University Press. 

  8. H. R. Jung. (2007). Un analysis of undergraduate course syllabus and development of models, Ph.D. dissertation, Yeonsei University, Seoul. 

  9. M. J. Oh. (2016). Study on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specificity of syllabu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1), 29-46. DOI: 10.22251/JLCCI. 2016.16.11.29 

  10. S. H. Kang & E. J. Lee. (2013). A Study of Learner's Usage and Satisfaction by the Levels of Perception of the Course Syllabus: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1), 31-61. 

  11. A. Y. Kim. (2016). Analysis of Syllabi for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as Projected-Based Clas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1), 51-65. DOI: 10.9715/KILA.2016.44.1.051 

  12. E. J. Ryu & J. H. Park. (2013). A study on the students'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related to the syllabus-based on the beauty related department in the 4-year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102-111. 

  13. D. W. Kim, M. H. Kim, K. B. Cho, H. S. Lee, S. Y. Kim. (2015). Analysis of American College Physical Education Class Syllabi to Develop and Improve College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outh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4(5), 425-436. 

  14. Y. H. Noh, I. J. Ahn, S. K. Choi. (2013). A Stud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 Syllabu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re Cours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1), 143-175. 

  15. K. S. Lee, J. S. Jeong, M. A. Choe, J. H. Kim, G. J. An, J. H. Kim, G. S. Shin, Y. K. Kim, Y. M. Lee, S. H. Chu, S. Choi. (2013). Development of Standard Syllabuses for 4 Subjects of Bio-nursing. The Journal of Korean Bio-nursing Science, 15(1), 33-42. 

  16. H. J. Park, Y. K. Kim, J. H. Kim, J. S. Jeong, S. Choi, H. S. Hong. (2015). Development of Syllabuses for Biological Nursing Science Subjects based on Learning Outcome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 physiology, and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7(2), 188-210. 

  17. J. Y. Park, S. W. Kim, W. H. Moon, O. K. Park, G. B. Lee, and I. S. Choi. (2017). Standardized Syllabus Development Report. Daejeon: Pai Chai University Press. 

  18. S. H. Bae, E. J. Ra, S. I. Han. (2017). Effects of the ACE Project on Student Engagement: An Investigation of Supportive Environment, Student -faculty Interaction, Higher-order Learning, and Quantity of Learning.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5(1), 379-4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