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 기반 고위험 산모 대상 모유수유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on Breastfeed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High risk Moth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357 - 364  

이주연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위험 산모의 모유수유 증진을 위하여 모바일 앱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모바일 앱의 개발과정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를 참고하여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교육내용은 제왕절개 분만 산모, 미숙아와 쌍둥이 분만 산모를 위한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문가와 사용자의 평가결과, 교육용 모바일 앱으로써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앱을 통한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어 고위험 산모들의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과 지속적인 실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임산부들을 위한 다양한 앱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유수유 앱을 직접 대상자들에게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직접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hrough mobile apps to promote breastfeeding for high-risk mothers. The development of mobile apps was carried out in four stages, including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y referring to the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 운영 중인 모유수유 관련 웹사이트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모유수유 컨텐츠 측면에서 정보, 상담, 교육 등 모든 면에서 부족하다고 하였으며 특히, 정보와 교육의 질이 낮고 제공되고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8]. 따라서 본 연구는 산모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고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앱을 통한 교육을 개발하였다[18].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앱을 이용한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램 개발하고자 하며, 특히 모유수유에 어려움을 겪는 고위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유수유 교육 프로그 램의 중재 기간은 모유수유 중단률이 가장 높은 시기인 산후 1개월부터 3개월 사이에 중재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16]를 참고로 하여 출산 직후부터 산후 3개월까지를 교육 기간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 본 연구는 고위험 산모를 위한 모유수유 앱을 개발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SDLC; Software Development Life Cycle)를 참고하여 분석, 설계, 구현및 평가 단계로 진행하였다.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는 내용분석에서부터 평가까지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생명주기로 보고, 개발과정을 단계별로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를 참고하여 분석, 설계, 구현, 평가의 4단계를 거쳐 고위험 산모를 위한 모유수유를 위한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교육내용은 제왕절개 분만 산모, 미숙아와 쌍둥이 분만 산모를 위한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졌다.
  • 많은 연구에서 모유수유 실천의 어려움으로 제왕절개 분만, 미숙아 분만, 쌍둥이 분만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10]. 의료인의 적극적인 개입과 관심을 통하여 산모들의 모유수유를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5,8,16,20-27], 본연구는 제왕절개 분만, 미숙아 분만, 쌍둥이를 분만한 산모를 고위험 산모로 분류하고[2,3] 이들에게 지속적인 지지와 교육을 시행하고자 모유수유 모바일 앱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앱 개발은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를 참고하여 분석, 설계, 구현 및 평가 단계로 진행되었다.
  • 또한 완전 모유수유 실천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모유수유에 대한 교육과 지지 서비스를 동시에 중재한 경우가 모유수유 교육만 실시했을 때보다 완전 모유 수유 실천에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난 선행연구[17] 결과를 볼 때, 모바일 앱을 이용한 교육은 지속적인 지지 서비스가 가능한 교육방법으로써 적절한 교육매체라고 볼 수 있다[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산모를 위한 모유수유 앱을 개발하고 임상에서 실제 적용함으로써 모유수유 실천율을 높이고, 모아 및 가족의 건강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앱을 통한 교육은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스마트 폰은 이동성이 있는 진보된 능력을 가진 컴퓨터라고 할 수 있으며, 스마트 폰의 앱은 교육자와 사용자간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하다[14]. 따라서 앱을 통한 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을 덜 받으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한 효율적인 교육매체라고 볼 수 있다[15].
산모의 모유수유 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은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또한 분만 초기의 산모들은 얼마나 자주 모유수유를 해야 하는지, 모유수유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아기가 충분히 영양을 섭취하고 있는지 등을 알기 원하였다[3]. 따라서 모유수유 방법에 대한 지식부족은 분만 초기에 모유수유 실천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8].
WHO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 무엇을 말했는가? WHO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으로서 모유수유를 말하고 있 으며, 생후 6개월까지는 완전 모유수유를 하고 그 이후부터 생후 2년까지는 적절하고 안전한 보충식을 포함하여 모유수유를 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1]. 모유수유는 아기 뿐만 아니라 산모에게도 많은 장점이 있는데, 산모의 자궁수축을 촉진하여 산후출혈을 예방하고, 산후우울증을 감소시키며 모성애를 자극하여 모아애착을 증진시킨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Breastfeeding", http://www.who.int/topics/breastfeeding/en/ 

  2.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5). Obstetrics, Seoul : Koonja Publishing. 

  3. H. W. Kim. (2014). Essentials of Maternity, newborn, and Women's heath Nursing 3rd edition, Seoul : Hyunmoon Publishing. 

  4. Korea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2_02.do 

  5. S. M. Song & M. K. Park. (2016). Effects of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Adaptation and Continuation in Primiparous Wome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6(3), 409-419. DOI: 10.4040/jkan.2016.46.3.409 

  6. D. Thulie &, J. Mercer. (2009). Variable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durat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38(3), 259-268. DOI: 10.1111/j.1552-6909.2009.01021.x 

  7. Y. M. Kim & Y. S. Park.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breastfeeding empowerment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0(4), 360-367. 

  8. J. K. Kim, H. M. Choi & E. J. Ryu. (2011).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90-99. 

  9.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Domestic statistics",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_ZTITLE&parmTabIdM_01_01 

  10. W. C Barbara & L. H. Kathleen. (2017). The breastfeeding Atlas sixth Edition. Texas : LactNews Press. 

  11. J. T. Queenan & C. Y., C. J. Lockwood. (2012). Queenan's management of high-risk pregnancy : an evidence-based appoach : John Wiley & Sons 

  12. J. H. Song, S. A. Kim, Y. S. Moon, Y. J. Park, S. N. Paik, S. J. Byun, N. H. Lee, K. J. Cho, H. S. Cho, M. H. Choi & Y. J. Choi. (1993). Study on recognition and practice of breastfeeding of mothers of under toddler. The Korean Journal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Nursing, 3(2), 153-165. 

  13. Y. G. Kim & D. H. Lee. (2011). Tre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martphone Application Markets. 21(1), 26-37. 

  14. K. Y. Kim & D. H. Kang. (2009). Smartphone security technology in open mobile environments 

  15. J. C. Phillipp, T. H. Wyatt. (2011). Smartphones in nursing education.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29(8), 449-454. DOI: 10.1097/NCN.0b013e3181fc411f 

  16. S. O. Park & Y. J. Jee. (2015).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support program on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breastfeeding, level of $Na^+$ within milk, and continued breastfeed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 5(1), 11-20. DOI: 10.14257/AJMAHS.2015.02.09 

  17. G. J. Jang & S. H. Kim. (2010).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Support Services on Breast-feeding Rates and Infant's Growth.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40(2), 277-286. DOI: 10.4040/jkan.2010.40.2.277 

  18. J. Y. Lee & H. Y. Kim.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ostpartum Care Mobile Application for First-time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3), 210-220. DOI: 10.4069/kjwhn.2017.23.3.210 

  19. M. L. Jin.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J. S. Cho, S. H. Ahn.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Breast Engorgement following Cesarean Birth.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 44(2), 170-178. DOI: 10.4040/jkan.2014.44.2.170 

  21. Y. S. Jang. (2005). Effects of a Workbook Program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Breast Feeding Practice of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2), 419-427. 

  22. B. Y. Kim, J. H. Kim. (2013). Influence of an Early Latching-on Program on the Breastfeeding Rate. The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10(2), 97-110 

  23. Y. R. Yu & S. Y. Park. (2013). Eff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by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7), 3310-3318. DOI: 10.5762/KAIS.2013.14.7.3310 

  24. Y. M. Kim. (2009).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39(2), 279-287. DOI: 10.4040/jkan.2009.39.2.279 

  25. J. I. Shim & S. J. Kang. (2017). Impact of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Barriers on Breastfeeding Practice among Twin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2), 89-98. DOI: 10.4069/kjwhn.2017.23.2.89 

  26. J. W. Yoon & Y. J. Park. (2008). Effects of a Breast 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Working Women.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38(6), 843-852. DOI: 10.4040/jkan.2008.38.6.843 

  27. G. J. Jang & S. H. Kim. (2010). The Effect of Postpartum Breastfeeding Support on the Breastfeeding Prevale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2), 117-126. 

  28. H. K. Chung, Y. Song, N. M. Kang. (2009) Content Analysis and Usability Evaluation of Breastfeeding Educational Information Websites.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26(0), 117-128. 

  29. A. K. Chung. (2009). Development of a mobile platform to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4), 23-34. 

  30. I. S. Kwon, S. Y. Choi, Y. S. Kang, Y. O. Yang.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stfeeding Empowerment and Self-confidence in the Maternal Role of Breastfeeding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4(1), 2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