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보강 매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토벽화 마감층 제작특성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perties of Soil Mural's Finishing Layer with Different Types and Concentration of Natural Adhesiv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3, 2018년, pp.143 - 155  

문혜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이경민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토벽화 마감층 제작에 사용된 것으로 여겨지는 천연 보강 매제인 아교, 전분풀, 도박풀을 3%, 5%, 7%, 10% 농도로 적용하여 흙 반죽의 작업성부터 완성된 마감층의 물성 및 내후성까지 전반적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농도 5% 이하의 전분풀과 3%의 도박풀을 배합하였을 때 마감층의 제작에 유리하였다. 아교를 배합한 흙 반죽은 농도가 높을수록 건조하고 쉽게 부서져 작업성이 매우 떨어졌으나 저농도의 아교를 배합할 경우 표면 안정성이 높아 3% 이하의 저농도에서 보강 매제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전분풀은 작업성과 강도 보강의 효과가 뛰어났으나 7% 이상의 농도로 사용할 시 동결융해에 의한 표면 안정성이 떨어졌다. 도박풀의 경우 강도 보강의 효과가 있었으나 5% 농도 이상에서는 균열이 발생하였고 농도 3%의 경우에는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동결융해 후에도 표면이 안정하여 보강 매제로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토벽화 마감층의 전통기술 및 재료를 복원하고 보강 매제의 용법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oil mural finishing layers fabricated using animal glue, starch adhesive(wheat paste), and Dobak glue. We assessed the workability and weatherproofing properties of the earthen plaster and finishing layers fabricated using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점성은 액체의 끈적한 성질, 즉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일컫는 것으로(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4) 이러한 보강 매제 자체의 성질이 배합한 흙 반죽의 작업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매제의 점도가 흙 반죽의 성질과 상관관계가 있을지 확인하고자 매제 조건별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디지털 점도계(Viscometer DV2T, Brookfield, Canada)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조건은 60℃에서 LV-1 spindle로 60초간 측정하였다.
  • 보강 매제는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작업성부터 물성에 이르기까지 벽체 전반으로 영향이 큰 재료임에도 이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문화재 수리보수 및 보존처리에 전통 재료를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문헌 및 기존 연구를 토대로 토벽화 벽체 마감층 제작을 위한 보강 매제를 선정하고, 이를 흙 반죽에 다양한 농도로 사용하여 마감층 제작특성을 평가하였다. 매제의 조건에 따라 배합한 흙 반죽의 작업성부터 완성된 벽체의 건조물성 및 내후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전통 마감층 제작법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문헌 및 기존 연구를 토대로 토벽화 벽체 마감층 제작을 위한 보강 매제를 선정하고, 이를 흙 반죽에 다양한 농도로 사용하여 마감층 제작특성을 평가하였다. 매제의 조건에 따라 배합한 흙 반죽의 작업성부터 완성된 벽체의 건조물성 및 내후성까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전통 마감층 제작법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이론적으로만 연구되던 보강 매제의 조건에 따른 마감층 제작특성을 실제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아교, 전분풀, 도박풀의 농도별 제작특성 및 차이를 확인하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향후 내수성에 대한 평가 및 저농도 아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이 추가적으로 수행된다면 토벽화 마감층 제작을 위한 전통 매제의 용법을 제시하고 전통기법 및 재료를 복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 벽체 제작에 사용된 보강 매제로 여겨지는 아교, 전분풀, 도박풀을 선정하여 농도별로 토벽화 마감층 의사시편을 제작하고 작업성 및 물성,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마감층을 제작함에 있어 보강 매제의 조건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벽화란? 토벽화는 주재료인 흙에 첨가제 등을 배합해 제작한 흙 벽체 위에 도상을 그린 벽화로, 우리나라에서는 사찰의 건축물에 그려진 사찰벽화가 대부분 이에 속한다. 토벽화의 구조 가운데에서도 본 연구의 대상인 벽체 마감층은 채색층을 지지하는 구조로써 벽화의 보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중요한 구조이다.
보강 매제란 무엇이며 특징은? 보강 매제는 점성과 접착성을 가진 액상의 재료로써 종류 및 농도에 따라 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매제 조건에 따라 배합한 흙 반죽의 성질에 차이가 생기며, 이는 벽체 제작을 위한 작업성(workability)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작업성이란 굳지 않은 반죽의 시공에 있어 좋고 나쁨을 일컫는 것(Civi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7)으로, 작업성이 나쁠 경우 벽체 제작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으며, 완성된 벽체의 물성 및 내후성에도 영향을 준다.
교말(膠末)과 진말(眞末)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었나? 조선시대 영건의궤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교말(膠末)과 진말(眞末)이다. 이는 각각 접착제 가루와 밀가루를 뜻하는 것으로 이들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만들어 벽체 미장에 사용하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해초풀의 일종인 도박풀은 전통적으로 건물의 벽체를 제작할 때 흙과 석회에 섞어 보강제 용도로 사용되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National Science Museum, 1996).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통 접착제 가운데 아교(동물성 접착제), 전분풀(탄수화물계 풀), 도박풀(해초풀)을 선정하고 농도를 세분화하여 흙 반죽의 보강 매제로 적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 Y.M., 2014, A study on changes of traditional wall technique. Jo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3(4), 47-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ivil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1997, Civil dictionary. Sungandang, Seoul. (in Korean) 

  3. Han, K.S., 2003,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 Specificity of manufacturing and technological processes. Ph. D. dissertation, The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Russia, Sankt-Peterburg. 

  4. Institute of Conservation of Paintings in Konkuk University, 2006, A report on conservation of the mural paintings in Geungnakjeon hall of Muwisa temple. (in Korean) 

  5. Jeong, H.Y., 2008, Study on techniques of making the wall behind the buddha in main building of Bongjeongsa temple : Focusing on structural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wall.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96-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D.Y., 2012, An experimental study on improvement of freezing-thawing resistance of topping concrete.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K. and Jeong, H.Y., 2008, Study on the filling material for the painting wall layer of the temple wall painting using a natural adhesive. Conservation Studies, 29, 256-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4,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wangilmunhwasa, Seoul. (in Korean) 

  9. Lee, H.S., Han, K.S. and Chung, Y.J., 2015, Understanding of the conservation of mural. Jeongin Publishing House, Seoul. (in Korean) 

  10. Lee, H.S., Han, K.S. and Lee, S.J., 2011, A study on Reinforcement of the Mireuk Hall of Geumsan-sa Buddhist temple mural paintings damaged. The 33rd Nation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Seoul, March 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K.Y., 2008,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 Focused on the sand coat wall and ceiling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e, 24(3), 157-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K.Y., 2010, A study on the existence of lime plaster wall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reports of 'Sanleong-Uigwe' & 'Yeonggeon-Uigwe' - Emphasized on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9(3), 89-1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Y., Lim, N.G. and Kim, D.H., 2016, A funda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sand coat wall mortar as eco friendly traditional plaster material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4), 165-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M., Lee, H.S. and Han, K.S., 2013, Study on application of filling material for reinforcement of soil murals in buddhist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4), 395-4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S.M., 2016, A study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late Joseon government building through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the Sanreung-uigwes. Ph. D.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roueil, S., Tardif, J. and Roy, M., 1991, Effects of frost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Champlain Sea clay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28(5), 690-697. 

  17. National Science Museum, 1996, Tradi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IV). 127-128. (in Korean) 

  1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Hwangryongsa earth rammed-fence construction method test and desig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aejeon. (in Korean) 

  19. Yang, F.W., Zhang, B.J., Pan, C.C. and Zeng, Y.Y., 2009, Traditional mortar represented by sticky rice lime mortar - One of the great inventions in ancient China. Science in China Series E: Technological Sciences, 52(6), 1641-1647. 

  20. Yoo, C.S. and Shin, B.N., 2011, Effect of cyclic freezing-thawing on compressive strength of decomposed granite soils.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10(1), 1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