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물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added with chlorella water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1 no.2, 2018년, pp.125 - 130  

김동청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인만진 (Department of Human Nutrition and Food Science, Chungw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클로렐라 추출물을 식품재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0에서 7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젖산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5일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pH 5.14-5.28에서 4.52-4.59로, 대조구는 pH 5.24에서 4.76으로 하락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6일째 대조구는 0.14%, 클로렐라 추출물 첨가구는 0.16-0.19%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4일에 최대값을 보였으며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환원당의 함량은 낮았다. 클로렐라 추출물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어 발효 4일까지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에서 젖산균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는 물김치의 색과 향에 대한 기호도를 낮추지 않았으며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를 다소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클로렐라 추출물 물김치를 4에서 15일간 저장하는 동안 pH의 변화는 미미하였고 적정산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 약간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 $10^7CFU/g$ 이상으로 유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Mul-kimchi prepared with addition of 0.02, 0.05, and 0.1% (w/v) chlorella water extract (CWE)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for 7 days at $10^{\circ}C$. The addition of CWE powder stimulated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클로렐라 열수 추출물을 이용한 식품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식단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물김치를 대상으로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고, 클로렐라 추출물의 첨가가 물김치의 발효특성과 관능적 특성, 그리고 숙성된 물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물김치에 대한 기존의 보고[8]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로렐라 추출물을 0-0.1% 첨가한 물김치를 약 7일간 발효시켜 얻은 ph값은? 1% 첨가한 물김치를 제조하여 10에서 7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젖산균수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 3일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발효 5일 후 클로렐라 추출물을 첨가한 조건에서 pH 5.14-5.28에서 4.52-4.59로, 대조구는 pH 5.24에서 4.76으로 하락하였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6일째 대조구는 0.
클로렐라의 특징은? 클로렐라는 담수 조류의 일종으로 단백질, 엽록소, 비타민, 미네랄, 핵산 및 불포화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며[10], 여러 가지 생리활성[면역기능 향상[11], 항산화[12], 항피로[13], 혈당강하[14], 간 기능 개선[15], 항염증[16]]을 나타내며, 특히 chlorella growth factor (CGF)라는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어린이의 성장 발육과 환자의 회복에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다[10]. 이에 따라 클로렐라를 식품소재로 첨가하여 두부[17], 발효유[18], 치즈[19], 케이크[20], 유과[21] 등의 품질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클로렐라가 미생물 생육 촉진 및 세포부활 효과가 있는 이유는? 이에 따라 클로렐라를 식품소재로 첨가하여 두부[17], 발효유[18], 치즈[19], 케이크[20], 유과[21] 등의 품질과 기능성을 향상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더불어 클로렐라 분말의 열수 추출물인 클로렐라 추출물은 분자량 5−10 kDa의 황을 함유한 수용성 nucleotide-peptide 복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CGF가 함유되어 있어 미생물 생육 촉진 및 세포부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 그러나 식품소재로서 클로렐라 추출물의 응용은 식빵[23]과 요구르트[24]의 품질을 향상시키려는 연구 정도로 매우 미미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i SY, Oh JY, Yoo JY, Hahn YS (1998) Fermentation properties of Yulmoo Mul-kimchi according to the ratio of water to yulmoo. Korean J Soc Food Sci 14: 327-332 

  2. Kim HR, Park JE, Jang MS (2002) Effect of perilla seed paste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90-299 

  3. Jeong TS, Jeong EJ, Lee SH (2008)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ith Omija (Schizanadra chinensis Baillon) water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01-1306 

  4. Park LY, Jeong TS, Lee SH (2008) Effects of chaenomelis fructus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5: 669-674 

  5. Park GS, Kim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lium victorialis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29-836 

  6. Park JE, Lee JY, Jang M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lmoo Mulkimchi containing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06-1016 

  7. Lee HY, Kwon HJ, Park AR, Choi BK, Heo NK (2014) The quality changes of watery Kimchi made of wild vegetables by the pre-treatment methods. Korean J Culinary Res 20: 136-146 

  8. Kim DC, Won SI, In MJ (2014)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added with chlorella. J Appl Biol Chem 57: 23-28 

  9. Kim GN, Han S, Kim EJ, Lee SD (2007) Influence of vibration on freezing and fermentation of watery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94-1097 

  10. Kang MS, Sim SJ, Chae HJ (2004) Chlorella as a functional biomaterial.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1-11 

  11. Guzman S, Gato A, Lamela M, Freire-Garabal M, Galleja JM (2003)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polysaccharide from Chlorella stigmatophora and Phaeodactylum tricornutum. Phytother Res 17, 665-670 

  12. Shibata S, Natori Y, Nishihara T, Tomisaka K, Matsumoto K, Sansawa H, Nguyen VC (2003) Antioxidant and anti-cataract effects of Chlorella on rats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J Nutr Sci Vitaminol 49: 334-339 

  13. An HJ, Seo SW, Sim KS, Kim JS, Kim EH, Lee MO, Park HS, Han JG, Lee EH, Um JY, Hong SH, Kim HM (2006) Antifatigue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in mice. Korean J Food & Nutr 19: 169-175 

  14. Cherng JY, Shih MS (2006) Improving glycogenesis in streptozocin (STZ) diabetic mice after administration of green algae Chlorella. Life Sci 78: 1181-1186 

  15. Shim JY, Shin HS, Han JG, Park HS, Lim BL, Chung KW, Om AS (2008) Protective effects of Chlorella vulgaris on liver toxicity in cadmium-administered rats. J Med Food 11: 479-485 

  16. Choi YJ, Jo WS, Kim HJ, Nam BH, Kang EY, Oh SJ, Lee GA, Jeong MH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lorella ellipsoidea extracted from seawater by organic solvents. Korean J Fish Aquat Sci 43: 39-45 

  17. Kim SS, Park MK, Oh NS, Kim DC, Han MS, In MJ (2003)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chlorella soybean curd (tofu).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12-15 

  18. Sung YM, Cho JR, Oh NS, Kim DC, In MJ (2005)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added with chlorell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60-64 

  19. Heo JY, Shin HJ, Oh DH, Cho SK, Yang CJ, Kong IK, Lee SS, Choi KS, Choi SH, Kim SC, Choi HY, Bae I (2006) Quality properties of Appenzeller cheese added with Chlorell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525-531 

  20. Kim KJ, Chung HC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yellow layer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860-865 

  21. Cho HS, Kim KH (2016) Effects of chlorella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J Korean Soc Food Cult 31: 178-187 

  22. Han JG, Kang KK, Kim JK, Kim SH (2002) The present status and prospect of chlorella extract. Food Sci Industry 35: 64-69 

  23. Park SI (2003) Effect of chlorella growth factor on quality of bread. Korean J Food Cult 18: 356-364 

  24. Cho EJ, Nam ES, Park SI (2004) Effect of chlorella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hurt. Korean J Food & Nutr 17: 1-7 

  25. Yang YH, Park SH, Ann SM, Kim KM, Kim MR (2005)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ul-kimchi (watery Kimchi) prepared with red cabb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574-581 

  26. Jang MS, Park JE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Sieb. et Zucc) juice on Yulmoo Mul-kimchi fermentatiom.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11-519 

  27. Cho Y, L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7: 15-25 

  28. In MJ, Jang JE, Kim DH (2007) Enhancing extraction yield of chlorella extract by enzyme treatment. J Appl Biol Chem 50: 132-135 

  29. Nakao H, Maeda T, Kuwatsuka S (1996)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and its residues of chlorella cells on the growth of radish seedlings and the changes in soil microflora. Jpn J Soil Plant Nutr 67: 17-23 

  30. Kanno T, Shinpo K, Masada M, Tamura G (1996) Growth-promoting factor for yeast from an extract of Chlorella vulgaris CK-5. Seibutsu-Kogaku Kaishi 74: 159-162 

  31. Park YH, Seo HJ, Cho IY, Han GJ, Chun HK (2007)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nitrate contents in Ulgari-Baechu Kimchi, Yulmoo Kimchi and Yulmoo Mul-kimchi during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94-7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