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 가능성
Potential Use of a Smartphone to Evaluate Gait during Walking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PNF and movement, v.16 no.1, 2018년, pp.67 - 73  

안보라 (라온휴병원 물리치료실) ,  기경일 (대한PNF학회 대전충남도회) ,  우영근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Smartphones, which are widely used worldwide to detect acceleration and position, have been used in the area of rehabilitation medicine in recent clinical research studies and tes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c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체중심 기반의 보행 분석을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고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IT 발달과 스마트폰 사용 대중화의 따른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 측정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번의 보행 측정 결과, 측정된 보행 변수들은 정규 분포를 하였으며, 3번의 측정 값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체중중 기반의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 시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뇌졸중 환자는 6m의 보행거리를 편안한 보행으로 실시하였으며, 보행 평가를 위하여 스마트폰을 허리뼈 3번에 위치하고 걷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2). 뇌졸중의 일반적인 증상으로는 하지 근육 약화, 발목 관절의 뻣뻣함, 움직임 동안 힘의 상실과 근 수축 조절 실패, 그리고 안정성의 문제를 동반하게 된다(Chung et al., 2004; Hidler et al.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노인뿐만 아니라 젊은 성인에서 신경학적 장애의 주요 원인이 되는 질환 중 하나이다(Jorgensen et al., 2002).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는 어떻게 측정하는가? , 2014).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의 보행 평가는 보행 속도, 유각기 시간, 입각기 시간, 유각기와 입각기 비율, 활보장 등의 시공간적 변수로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대칭성을 주로 측정하게 된다. 또한,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체중심의 이동경로를 사용한다(Birol & Tok,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 B, Woo Y. Center of mass with the use of smartphone during walking in healthy individual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7;29(8):1426-1428. 

  2. Bae W, Lee G, Nam H. The relation between the Fugl-Meyer motor assessment and walking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1):59-69. 

  3. Birol B, Tok F. Gait distrubances in patients with stroke.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14;6(7):635-642. 

  4. Capela NA, Lemaire ED, Baddour N. Novel algorithm for a smartphone-based 6-minute walk test application: algorithm,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15;12(19):doi 10.1186/s12984-015-0013-9. 

  5. Chung SG, Van Rey E, Bai Z, et al. Biomechanic changes in passive properties of hemiplegic ankles with spastic hyperton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10):1638-1646. 

  6.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er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1;15(4):415-442. 

  7. do Carmo AA, Kleiner AF, Barros RM. Alteration in the center of mass trajectory of patients after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015;22(5):349-356. 

  8. Duberstein KJ, Platt SR, Holmes Sp, et al. Gait analysis in a pre- and post-ischemic stroke biomedical pig model. Physiology & Behavior. 2014;125:8-16. 

  9. Ellis RJ, Ng YS, Zhu S, et al. A validated smartphone-based assessment of gait and gait variability in Parkinson's disease. Public Library of Sciences One 2015;10(10):e0141694. 

  10. Evans AL, Duncan G, Gilchrist W. Recording accelerations in body movements.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 Computing. 1991;29(1):102-104. 

  11. Furrer M, Bichsel L, Niederer M, et al. Validation of a smartphone-based measurement tool for the quantificatiion of level walking. Gait & Posture. 2015;42(3):289-294. 

  12. Hidler JM, Carroll M, Federovich EH. Strength and coordination in the paretic leg of individuals following acute stroke.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2007;15(4):526-534. 

  13. Isho T, Tashiro H, Usuda S. Accelerometry-based gait characteristics evaluated using a smartphone and their association with fall risk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15;24(6):1305-1311. 

  14. Jorgensen L, Engstad T, Jacobsen BK. Higher incidence of falls in long-term stroke survivors than in population controls: depressive symptoms predict falls after stroke. Stroke. 2002;33(2):542-547. 

  15. Jung S, Lee I, Yoon S, et al. Analysis of walk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PNF and Movement. 2015;13(1):39-46. 

  16. McGinley JL, Baker R, Wolfe R. The relaibility of three-dimensional kinemtic gait measurements: a systematic review. Gait & Posture. 2009;29(3):360-369. 

  17. Neckel N, Pelliccio M, Nichols D, et al. Quantification of functional weakness and abnormal synergy patterns in the lower limb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06;3:17. 

  18. Olney SJ, Griffin MP, Monga TN, et al. Work and power in gait of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1;72(5):309-314. 

  19. O'Sullivan M, Blake C, Cunningham C, et al. Correlation of accelerometry with clinical balance tests in older fallers and non-fallers. Age and Ageing. 2009;38(3);308-313. 

  20. Park G, Woo Y. Comparison between a center of mass and a foot pressure sensor system for measuring gait parameters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15;27(10):3199-3202. 

  21. Park I, Lim O, Park K, et al. Intra- and inter-rater reliability of measuring passive range of shoulder motion with smartphone and goniometer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2014;21(1):1-12. 

  22. Saunders JB, Inman VT, Eberhart HD. The major determinants in normal and pathological gait.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 1953;35(A3):543-558. 

  23. Smith LK, Lelas JL, Kerrigan DC. Gender differences in pelvic motions and center of mass displacement during walking: stereotypes quantified. Journal of Women's Health & Gender-Based Medicine. 2002;11(5):453-458. 

  24.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5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7. 

  25. Vearrier LA, Langan J, Shumway-Cook A, et al. An intensive massed practice approach to retraining balance post-stroke. Gait & Posture. 2005;22(2):154-163. 

  26. von Schroeder HP, Coutts RD, Lyden PD, et al. Gait parameters following stroke: a practical assess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1995;32(1):25-31. 

  27. Yi J, Kang S, Kim Y.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eleration at center of mass of the body in normal gait. Physical Therapy Korea. 2002;9(3):39-46. 

  28. Zijlstra W, Hof 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from trunk accelerations during human walking. Gait & Posture. 2003;18(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