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Burnout in Non-commissioned Offic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363 - 370  

이자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사관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사관의 소진정도를 알아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 냉담, 성취감 저하 중 탈진이 가장 높고, 성취감 저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와 30대 부사관들이 40대 이상 부사관들에 비해 소진(전체)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냉담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격 5요인 중 어느 요인이 소진에 더 많이 설명하는 지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다변량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소진(전체)에는 외향성과 친밀성이, 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 냉담, 성취감 저하에는 외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사관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factors and burnout in non-commissioned officers. To investigate this, 182 non-commissioned officers were survey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At first, the degree of burnout of the non-commissioned officer was exam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부사관의 성격 5요인 역시 직무와 관련되어 소진을 차별적으로 설명할 것으로 예상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부사관의 소진 정도를 살펴 보고,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부사관의 소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사관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분석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성격 5요인과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성격 5요인과 소진의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Table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성격 5요인 중 외향성은 소진의 하위요인 즉 탈진(r=-.
  • 부사관의 5요인 성격특성과 소진과의 관련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요인 성격특성의 하위요인인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 정서적 안정성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소진(전체)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반면, 몇몇 연구자들은 단일 차원으로 분석하는 것이 간결하기 때문에 복잡한 관계들을 살펴보는 데 유용하다고 주장하였다[9,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각의 장점을 고려하여, 소진(총점)과 소진의 하위요인을 함께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 셋째, 부사관의 성격 5요인은 소진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사관이란 무엇인가? 부사관은 직업군인으로서 소부대의 전투를 지휘하는 자, 첨단 무기와 장비 운용에서의 전문가 그리고 병사 교육 및 군무를 관리하는 전문가로서 병사, 장교와 함께 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1]. 그러나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무를 하면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부사관이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상관의 명령에 순응하지 않는 신세대 병사나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관심병사를 관리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군은 피라미드 구조로 되어 있어 대다수의 부사관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조기에 전역을 해야 하기 때문에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하다[2-4]. 이렇게 부사관은 직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데, 이에 대처하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소진으로 이어진다[2-4].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인데 이를 위해 수행한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사관의 성격 5요인과 소진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사관 1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먼저 부사관의 소진정도를 알아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인 탈진, 냉담, 성취감 저하 중 탈진이 가장 높고, 성취감 저하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 Kim. (2014). The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and promotion of army non-commissioned officers on the self-efficacy: focused on the multi-group analysis by among ranks. Kore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22(4), 353-376. 

  2. D. Kim. (2016).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and capacity building of NCO : Focusing on a leadership role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3. H. Choi & J, Lee. (2012). Qualitative research of burnout experience among non-commissioned soldi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3(6), 2777-2280. 

  4. J. Lee. (2015). Effects of non-commissioned officers' role stress on burnout, dep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 303-315. 

  5. H. J. Freudenberger. (2011).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 3(1), 159-165, 

  6. C. Maslach, W. B. Schaufeli & M. P. Leiter. (2011). Job burnout. Annual Reviews of Psychology, 52, 397-422. 

  7. C. Maslach. (2003). Job Burnout: New Directions in Research and Intervent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2(5), 189-192. 

  8. C. Maslach., W. B. Schaufeli & M P. Leiter. (2001). Job burnout. Th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9. V. Brenninkmeijer & N. VanYperen. (2003). How to conduct research on burnou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nidimensional approach in burnout research.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0, 16-20. 

  10. A. Pines & E. Aronson. (2016). Career Burn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11. B. J. Ahn. (2016). Determinants of Job Insecurity in Navy. Paper presented at 2016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conference. 1-23. 

  12. D. B. Durand. (1997). An assessment of burnout among army volunteers and its implications for soldiers and family readiness and quality of life. Walter Reed Army Institute of Research, Washington, DC. 

  13. S. J. Kwan. (2011). A study on military junior staff' self efficacy and job exhaustion: focused on army sergeants.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6(2), 191-233. 

  14. S. Y. Bae & S. H. Kim. (2007). Analysis of Convergent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Type A Behavior Pattern and Depression on Job Burnout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345-351. 

  15. Y. S. Lee, M. S. Park & M. K. Jeong.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burnout - based on the professions working in financial companies. Korea Management Adminstration Research, 20(6), 2879-2900. 

  16. S. J. Lim & H. S. Kim. (2011).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fi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burnout of sexual counsel office staff. Korea Psychology Research: Women, 16(4), 461-475. 

  17. B. J. Ahn & M. S. Cha. (2016). The effect of burnout and intention to leav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Industry Economy Research, 29(1), 411-433. 

  18. I. G. Park, S. M. Lee, B. Y. Choi, Y. Jin & J. Lee. (2010).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4(1), 81-93. 

  19. M. C. Eastburg, J. W. Williamson, R. Gorsuchm & C. Ridley. (1994). Social support, personality and burnout in nurs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 1233-1250. 

  20. G. Alarcon, K. J. Eschleman & N. A. Bowling. (2009).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ity variables and burnout: A meta-analysis, Work & Stress, 23(3), 244-263. 

  21. P. T. Costa & R. R. McCrae. (1992).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orida: PAR, Inc. 

  22. L. R. Goldberg. (1992). The development of markers for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Psychological Assessment, 4, 26-42. 

  23. A. B. Bakker, K. I. Van Der Zee, K. A. Lewig & M. F. Dollard.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burnout: A study among volunteer counselor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6(1), 31-50. 

  24. M. C. Eastburg, J. W. Williamson, R. Gorsuch & C. Ridley. (1994). Social support, personality and burnout in nurse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 1233-1250. 

  25. R. L. Piedmont. (1993). A longitudinal analysis of burnout in the health care setting: The role of personal dispos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1, 457-473. 

  26. K. L. Zellars, P. L. Perrewe & W. A. Hochwarter. (2000). Burnout in health care: The role of the five factors of personality.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0(8), 1570-1598. 

  27. W. O. Kim. (2011).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job satisfaction among primary leaders of air defense artillery in air force. Master' thesis, Mokwon University. 

  28. W. K. Kim & J. K. Nam.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man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mission-type command in military organizations.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27(1), 167-190. 

  29. G. Saucier. (1994). Separating description and evaluation in the structure of personality attribu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141-154. 

  30. I. K. Park. (2009).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Academic Burnout, Master' thesis, Korea University. 

  31. W. B. Schaufeli, I. M. Martez, A. Marques Pinto, M. Salanova & A. B. Bakker. (2002).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 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32. K. H. Shin. (2003). The Maslach Bunout Inventory-General Survey (MBI-GS): An Applic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Psychology: Organizaion and Industry, 16(3), 1-17. 

  33. J. Y. Shin. (1990). A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focus on the seoul city. Master'thesis, Chungang University. 

  34. J. C. Lee & H. L. Roh. (2016). J. H. You,(1997).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31-42. 

  35. B. Lau, E. Hem, A. M. Berg, O. Ekeberg & S. Torgersen. (2006). Personality types, coping, and stress in the Norwegian police servi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5), 971-982. 

  36. I. J. Deary, R. Watson & R. Hogston. (2003). A longitudinal cohort study of burnout and attri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1), 71-81. 

  37. H. K. Lee & Y. J. Chung. (2017).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at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of nurses in shift work using transtheoretical model.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6), 35-43. 

  38. M. Kim & J. Lee. (2017).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Job Stress, an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281-294. 

  39. M. Park. (2017). Relationship among Hardiness,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97-4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