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건강에 대한 잠재계층 분류 및 사회자본의 영향 검증 :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의 비교를 통하여
Identification of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Health Condition and Verificati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 Comparison of Intact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6, 2018년, pp.385 - 397  

전지원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김경아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계층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가족유형별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사회자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5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6,9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다음으로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잠재계층별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사회자본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청소년 모두 가정 사회자본과 학교 사회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있어서는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청소년은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경우 건강에 대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 및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latent class analysis to identify heterogeneous subgroups with respect to health condition among adolescents. We also examined associations between latent classes and verified to determine how the patterns of health condition relate to social capital. This study used data from Kore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가족유형과 상관없이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사한 행동패턴을 보이는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분류한 뒤, 2차적으로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각 청소년 자녀 집단별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잠재계층분석으로 유형화된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 한부모가정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인들은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35] 생태체계 환경별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의 생태체계별 사회자본이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청소년의 건강을 하나의 통합적 점수로 산출하여 분석하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청소년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 지표들을 토대로 이들의 건강상태를 유형화하고자 한다.
  • 잠재계층분석은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청소년의 건강상태를 추정하여, 하위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는 신체건강과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한 관측 변수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가 소속되어 있는 잠재계층을 추정하고 이를 유형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이와 일맥상통하게 Westin과 Westerling[13]에 의하면 사회자본은 개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의 사회자본 수준 간에는 불평등이 존재함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주된 생태체계 환경인 가족,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축적된 사회자본이 개인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각적인 학문분야의 관점과 연계성상에서 복합적이고 심층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과 가족유형 간의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양부모가정과 비교하여 한부모가정의 구조적·기능적 변화는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불가피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2015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등학생 6,91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의 건강상태에 따른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유형화된 건강에 대한 가족유형별청소년의 가정·학교·지역사회 사회자본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 청소년기는 가족, 또래집단, 교육환경 및 건강 관련 행동에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능력과 행동을 새롭게 구축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인간을 둘러싼 역동적이고 체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생태학 이론을 적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사안들을 도출할 것이다.
  • 특히, 청소년의 건강은 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체계 환경인 가정, 학교 및 또래집단, 지역사회와 긴밀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5].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생태체계별 사회자본의 영향력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사회자본은 인간관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자원 및 관계의 본질과 범위로서, 개인내적 자원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생되는 자본으로 정의할 수 있다[6].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자녀의 생태체계별 사회자본이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청소년의 건강을 하나의 통합적 점수로 산출하여 분석하는 관점에서 탈피하여 청소년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 지표들을 토대로 이들의 건강상태를 유형화하고자 한다. 1차적으로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가족유형과 상관없이 청소년의 건강상태에 대한 유사한 행동패턴을 보이는 집단을 동질집단으로 분류한 뒤, 2차적으로 양부모가정과 한부모가정 각 청소년 자녀 집단별 가정·학교·지역사회의 사회자본이 잠재계층분석으로 유형화된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 가정의 구성원이 겪는 어려움은? 양부모가정과 비교하여 한부모 가정의구조적·기능적 변화는 가족구성원 모두에게 불가피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부모 가정의 구성원들은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역할의 재조정, 역할기대와 역할갈등, 자녀의 심리 및 행동 문제 등 다양하고 복잡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가족구조의 해체는 그상태와 영향이 연속적이고 진행적인 과정으로 생활영역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청소년들이 겪는 다른부정적 생활사건과 차별성을 가진다[14].
사회자본이란?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생태체계별 사회자본의 영향력에 대해 주목하고자 한다. 사회자본은 인간관계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자원 및 관계의 본질과 범위로서, 개인내적 자원이 아닌 사회적 관계 속에서 파생되는 자본으로 정의할 수 있다[6]. 이를 청소년에게 적용하면, 청소년의 사회자본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 개인을 둘러싼 생태체계 내 상호작용에 의해 만들어지는 생산적인 사회적 관계망이라 하겠다.
청소년 건강상태가 다양한 환경체계의 영향에 의해서도 결정되는 이유는? 이처럼 낙관적이지 못한 한국사회의 청소년 건강상태는 개인적 측면에서 유전적 요인과 생활습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체계의 영향에 의해서도 결정된다. 청소년기는 가족, 또래집단, 교육환경 및 건강 관련 행동에서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능력과 행동을 새롭게 구축하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청소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D. E. Bloom & D. Canning. (2000). The Health and Wealth of Nations. Science, 287(5456), 1207-1209. DOI : 10.1126/science.287.5456.1207 

  2. J. M. Muurinen. (1982). Demand for Health: A Generalized Grossman Model. Journal of Health Economics, 1(1), 5-28. DOI : https://doi.org/10.1016/0167-6296(82)90019-4 

  3.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s. (2017. April 18). 2017 Statistics on the Youth.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 oderead&aSeq360040 

  4. U. Bronfenbrenner & P. A. Morris. (2006). The Bio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W. Damon & R. M. Lerner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Theoretical Models of Human Development (6th ed., 793-828). New York : Wiley. 

  5. R. M. Viner, E. M. Ozer, S. Denny, M. Marmot, M. Resnick, A. Fatusi & C. Currie. (2012). Adolescence and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Lancet, 379(9826), 1641-1652. DOI :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0149-4 

  6.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for Social Structure and Action. Cambridge :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Y. R. Hong, T. J. Kim, Y. H. Cho, H. B. Park & J. H. Yang. (2006). Educational Strategies to Form Social Capital for National Development. Seoul :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8. C. Aslund & K. W. Nilsson. (2013). Social Capital in Relation to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Illicit Drug Use among Adolescents: A Cross-Sectional Study in Sweden.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2, 33. DOI : https://doi.org/10.1186/1475-9276-12-33 

  9. J. S. Coleman.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upplement: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Soci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Social Structure, S95-S120. 

  10. W. Poortinga. (2006). Social Relations or Social Capital? Individual and Community Health Effects of Bonding Social Capital. Social Science & Medicine, 63(1), 255-270. DOI :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5.11.039 

  11. D. Kim, S. V. Subramanian & I. Kawachi. (2008). Social Capital and Physical Health. In Social Capital and Health(139-190). New York: Springer. 

  12. L. Rocco, E. Fumagalli & M. Suhrcke. (2014). From Social Capital to Health-and Back. Health Economics, 23(5), 586-605. DOI : 10.1002/hec.2934 

  13. M. Westin & R. Westering. (2007). Social Capital and Inequality in Health between Single and Couple Parents in Swede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5(6), 609-617. DOI : https://doi.org/10.1080/14034940701362806 

  14. P. R. Amato & B. Keith. (1991). Parental Divorce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10(1), 26-46. 

  15. S. R. Sok & S. H. Shin. (2010).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Self-esteem between Two Parent Families and Single Parent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367-377. DOI : https://doi.org/10.4040/jkan.2010.40.3.367 

  16. R. Garg, S. Melanson & E. Levin. (2007). Educational Aspiration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and Two Biological Parent Families : A Comparison of Influential Factor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6(8), 1010-1023. DOI : https://doi.org/10.1007/s10964-006-9137-3 

  17. Y. W. Kim. (2010). Long-Term Effects of Change in Family Structure On Achievement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 Focusing on the Effect of Parental Divorce/Death on Health Condition, Depress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1(4), 225-246. 

  18. Y. O. Nam. (2010). A Comparative Stud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Studies on Korean Youth, 21(3), 219-243. 

  19. Y. Yoem, S. Choo., & S. Lim. (2007).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ssim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ucture and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5(2), 67-79. 

  20. S. H. Oh. (2001). A Comparative Study on Family System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Male-headed, Female-headed, and Normal Famil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12, 1226-2609. 

  21. S. Y. Lee. (2002). Study of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10, 37-65. 

  22. K. M. Cho & H. J. Joo.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Mental Health, Behaviors between the Divorced Family Adolescents and Parents Family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4), 543-551. 

  23. J. J. Mann,, J. Bortinger, M. A. Oquendo, D. Currier, L. Shuhua & D. A. Brent. (2005). Family History of Suicidal Behavior and Mood Disorders in Probands With Mood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9(9), 1672-1679. DOI : https://doi.org/10.1176/appi.ajp.162.9.1672 

  24. S. A. Wolchik, J. Y. Tein, I. N. Sandler & K. W. Doyle. (2002). Fear Abandonment as Mediator of the Relation between Divorce Stressors and Mot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Children's Adjustmen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4), 401-419. DOI : https://doi.org/10.1023/A:1015722109114 

  25. F. Steele, W. Sigle-Rushton & O. Kravdal. (2009). Consequences of Family Disruption on Children's Educational Outcomes in Norway. Demography, 46(3), 553-574. DOI : https://doi.org/10.1353/dem.0.0063 

  26. H. Hansagi, L. Brandt & S. Andreasson. (2000). Parental Divorce: Psychosocial Well-Being, Mental Health, and Mortality During Youth and Young Adulthood. A Longitudinal Study of Swedish Conscripts.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10, 86-92. DOI : https://doi.org/10.1093/eurpub/10.2.86 

  27. T. Huurre, H. Junkkari & H. Aro. (2006). Long-Term Psychosocial Effects of Parental Divorce: A Follow-Up Study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6(4), 256-263. DOI : https://doi.org/10.1007/s00406-006-0641-y 

  28. S. O. Kim, J. R. Jun & Y. S. Kim. (2012). A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and Findings on the Single Parent's Children - Focusing on the Family Related Professional Journals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7(1), 113-128. 

  29. P. R. Amato & J. M. Sobolewski. (2001). The Effects of Divorce and Marital Discord on Adult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6(6), 900-921. DOI : 10.2307/3088878 

  30. L. T. Ross & S. Wynne. (2010). Parental Depression and Divorce and Adult Children's Well-Being: The Role of Family Unpredictabilit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9(6), 757-761. DOI : https://doi.org/10.1007/s10826-010-9366-7 

  31. A. M. Hines. (1997). Divorce-Related Transitions, Adolescent Development, and the Role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59(2), 375-388. DOI : 10.2307/353477 

  32. W. M. Troxe & K. A. Matthews. (2004). What are the Costs of Marital Conflict and Dissolution to Children's Physical Health?. Clinical Children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7(1), 29-57. DOI : https://doi.org/10.1023/B:CCFP.0000020191.73542.b0 

  33. C. Roustit, E. Campoy, E. Renahy, G. King, I. Parizot & P. Chauvin. (2011). Family Social Environment in Childhood and Self-Related Health in Young Adulthood. BMC Public Health, 11, 949. DOI : https://doi.org/10.1186/1471-2458-11-949 

  34. F. Thuen, K. Breivik, B. Wold & G. G. Ulveseter. (2015). Growing Up with One or Both Parents: The Effects on Physical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 Through Adolescence and into Early Adulthood. Journal of Divorce & Remarriage, 56(6), 451-474. DOI : https://doi.org/10.1186/1471-2458-11-949 

  35. H. Kim & S. Lee. (2010).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Comparison of Single Parent Family and Two-parent Family.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3(3), 215-241. 

  36. N. H. Park & H. J. Lee. (2002). A Critical Review of Health Behavior Studies of Adolescents Conducted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1), 98-114. 

  37. G. W. Ban. (2015).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of Influencing on Adolescent's Activity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38. S. G. Lee, J. P. Yoo & G. H. Chung. (2015). Identification and Prediction of Latent Classe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2), 477-510. DOI : http://dx.doi.org/10.15709/hswr.2015.35.2.477 

  39. L. M. Collins & S. T. Lanza. (2010).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New York : Wiley. 

  40. K. L. Nylund, T. Asparouhov & B. O. Muthen. (2007).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e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4), 535-569. DOI : https://doi.org/10.1080/10705510701575396 

  4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Press Releases. (2018. January 11). Youth Health Forum to be hosted. http://spp.seoul.go.kr/main/news/news_report,jsp#view/244070 

  42. Y. J, Jang. (2016). 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Capital between Single-father and Single-mother Children. Family & Culture, 28(2), 111-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