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1, 2017년, pp.547 - 555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장진경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손서희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23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대학생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과 행복으로 각각 측정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연계형 및 결속형)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대학생의 우울을 예측하기 위해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을 함께 투입한 결과, 성별, 주관적 경제만족도, 오프라인 연계형 사회적 자본만이 대학생의 우울과 관련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생의 행복을 예측하는데 있어 주관적 경제만족도와 오프라인 연계형 및 결속형 사회적 자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을 함께 고려하였을 경우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만이 대학생의 우울과 행복과 같은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Data came from 236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ed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had used Social Network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는 대학생들의 사회적 자본 형성 수준과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및 심리적 복지감 향상을 위한 SNS의 역할을 가늠하고, 대학생의 심리적 복지 향상 방안을 도출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이며 SNS를 사용하고 있는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회적 자본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는 20대 대학생이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형성한 사회적 자본의 특성과 심리적 복지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한편 심리적 복지감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심리적 복지감의 긍정적 측면은 자아존중감, 긍정적 정서, 행복, 생활만족도 등으로 측정해왔고, 부정적 측면은 우울, 불안 등으로 측정하고 있다[20]. 이를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심리적 복지감을 부정적인 감정 상태인 우울과 긍정적인 감정 상태인 행복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20대 청년들의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인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역할을 함께 고려하고자 한다. 즉, SNS를 이용하고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적 자본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 더 나아가 사회적 자본을 연계형 사회적 자본과 결속형 사회적 자본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계형 사회적 자본의 장단점은? 연계형 사회적 자본은 사회인구학적 배경이 서로 다른 사람들이 일시적이고 얕고 넓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연계를 통해 서로의 세계관을 확장하고 새로운 정보나 자원을 접할 기회를 확대할 수 있지만, 심리적 지지와 같은 지원을 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은 가족이나 친한 친구와 같이 유사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밀접하고 강한 교류를 형성하고 서로에게 심리적 지지나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20대 우울 증상의 특징은?  청년들의 부정적 현실 인식은 세대별 우울 증상 경험 비율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주요 우울장애의 경우 20대가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해 일년 유병율이 높았고, 혼인 상태 및 취업상태가 우울장애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청년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청년들의 삶의 질 재고에 있어 중요한 일이다.
청년기의 특징은? 청년기는 부모로부터 심리·정서적으로 독립하여 새롭고 다양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그 관계 속에서 친밀감을 획득하는 심리사회적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한다[2]. 최근 인터넷 및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 방법이 더욱 다양해짐에 따라 온라인을 통해 형성하는 인간관계가 청년기의 심리 사회적 발달과업 수행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 2007. 

  2. K. Hong, & H. Jea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7, No. pp. 34-67, 2017. 

  3. C. Lee, & N. Jung,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and motive on social capital: Comparison of open/closed social medi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65, pp. 5-26, 2014. 

  4. D. M. boyd, & N. B. Ellison,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pp. 210-230, 2008. 

  5. Y. Kim, "Analysis on SNS usage trend and usage behavior." KISDI Stat Report, Vol. 16, Npio. 7, pp. 1-9, 2016. 

  6. S. Ko, B. Hwang, & Y. Ji. "A study on social network service and online social capital: Focusing on a Korean and Chinese case."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15, No. 1, pp. 103-118, 2010. 

  7. G. K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s of online and offline social capital on happiness: Focusing on th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Vol. 20, No. 3, pp. 87-113, 2016. 

  8. Y. Lee, & E. Ya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on online/offline and psycho-socia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2, No. 9, pp. 79-109, 2015. 

  9. S. Yeom, & Y. Choi,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family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4, No. 9, pp. 255-266, 2014. 

  10. N. B. Ellison, C. Steinfield, & C. Lampe,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ystem."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2, pp. 1143-1168, 2007. 

  11. D. Williams, "On and of the 'net: Scales for social capital in an online er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1, pp. 593-628, 2006. 

  12. Y. Choi, & S. Park, "The effects of social media usage on social capital."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5, No. 2, pp. 241-276, 2011. 

  13. H. Shim, & Y. Hwa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logging service and social capital among the early adopters of Twitter."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4, No. 5, pp. 327-347, 2010. 

  14. J. Park, & D. Kim, "Effect of social media use motive and credibility on social capita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19, No. 1, pp. 207-219, 2014. 

  15. M. Min, & S. Park, "Effects of perceived social capital on relational uses of social network sites." Speech & Communication, Vol. 22, pp. 101-130, 2013. 

  16. H. Keum,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 on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5, No. 5, pp. 7-48, 2011. 

  17. S. You, J. Lee, & Y. Choi, "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Facebook: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esteem by self-disclosure." Korean Journal of Com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Vol. 18, No. 2, pp. 117-150, 2017. 

  18. S. Park, & S. Cho, S.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 through SNS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371-379, 2015. 

  19. M. Kwon, & K. Le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onlin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nline network servi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8, No. 5, pp. 1485-1503, 2015. 

  20. J. Lee, "Study on affections of the education for the elderl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Master thesis, Kyonggi University, 2006. 

  21. Y. Lee, & J. Song,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_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98-113, 1991. 

  22. O. Thevenon, "Aid policies for young people in Europe and the OECD countries." Families and Societies, 2015. 

  23. M. Nam, H. Kim, & Y. Kwon,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index of health behavior, smart phone addicti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a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0, pp. 557-569, 2013. 

  24. H. Shin, & K. Kim, "The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usage according to morpholocial evolution of SN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6, pp. 155-16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