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주얼파닉스를 활용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아동의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rticulation therapy using visual phonics to improve the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of children with impaired hearing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0 no.2, 2018년, pp.85 - 96  

심희정 (극동대학교 사회과학지원 연구사업단) ,  이효주 (극동대학교 사회과학지원 연구사업단) ,  서창원 (극동대학교 초등특수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iculatory intervention using visual phonics to improv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impaired hear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hearing impaired children. As per the results of the UTAP articulation tests, five p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상기선행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자음과 모음은 성도 모양의 변화와 관련이 되며, 이는 또한 말 명료도와 관련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는 자음과 모음 등의 조음오류에 직접적 영향을 받으므로, 중재적 측면에서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 증진을 위해서는 개별 음소의 조음정확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결과를 다양하게 도출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 특히 비주얼파닉스는 손 단서와 상징기호를 통해 음소가 발음되는 원리를 시각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청각장애 아동의 조음음운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게 한다. 또한 자음과 모음은 성도 모양의 변화와 관련이 되며, 이는 또한 말 명료도와 관련성이 높음을 살펴보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하에 비주얼파닉스를 통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통해 중재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 기타 사항으로, 본 연구 대상자들은 약 3세경부터 언어치료를 받기 시작하였고, 현재 언어치료실에서 조음음운과 관련된 목표로 치료를 받는 아동은 2명(LJY과 LMW)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부모에게 연구목적 및 방법과 절차, 자료사용 목적 등에 대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한 보호자의 아동에 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구체적 정보는 <표 1>과 같다.
  • 본 연구는 비주얼파닉스를 사용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단일집단 사전- 사후 설계(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5명의 청각장애 대상자에 대한 전체적인 실험설계 및 중재는 사전평가, 중재, 사후평가 순으로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파닉스를 활용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아동의 말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 말 명료도의 평가방식은 등간척도, 직접 크기 추정,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단어 대조짝, 전사, 이해도, 언어학적 길이에 따른 평가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장애의 중증도를 연속선상의 범위로 표시할 수 있어 임상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를 통해 말 명료도를 다음과 같은 절차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주얼파닉스를 통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통해 청각장애 아동의 사전평가와 사후평가의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의 신뢰도 평가는 말 명료도 평가에 대한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중재에 대한 중재충실도를 살펴보았다. 말 명료도 평가에 대한 언어재활사 5명의 평가자간 신뢰도를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로 측정한 결과, .
  • 본 연구에서는 말 명료도를 통해 청각장애 아동의 말 산출 능력을 살피고자 하였으며, 말 명료도의 증진은 곧 자음과 모음의 정확도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Weston & Shriberg, 1992).
  • 본 연구는 비주얼파닉스를 통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청각장애 아동 5명을 대상으로 비주얼파닉스를 활용한 조음중재가 아동의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 관련 측정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말 명료도를 통해 청각장애 아동의 말 산출 능력을 살피고자 하였으며, 말 명료도의 증진은 곧 자음과 모음의 정확도 증가와 높은 상관성을 가진다(Weston & Shriberg, 1992).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주얼파닉스를 통한 조음중재의 목표음소는 아동이 두드러지게 보이는 조음오류에 근거하여 선정되었으며, 교수단계에서는 목표음소에 대한 집중적인 중재를 통해 자음 및 모음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는 비주얼파닉스를 통한 조음중재가 조음정확도의 증진과 더불어 말 명료도의 개선까지 이끌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비주얼파닉스를 활용한 조음중재가 청각장애 아동의 말 명료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말 명료도와 모음공간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5명의 청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비주얼파닉스의 조음중재의 효과성에 대해 객관적인 증명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대상자수가 적어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 명료도란 무엇인가? 말 명료도는 구어를 통해 화자가 청자에게 어느 정도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지 그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구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의 평가 및 중재효과 측정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Schiavetti, 1992). 또한 말 명료도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검사도구 등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청각장애 아동의 말 능력 평가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윤미선 외, 2000).
말 명료도의 예측에 40%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반면, 모음은 말 명료도의 예측에 40%의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는데(성희정 외, 2007), 모음정확도(percentage of correct vowel, PCV)와 더불어 모음공간(vowel space area, VSA)은 말 명료도와 관련성이 높은 객관적 지표로 언급된다. 모음공간은 성도와 혀의 위치를 고려하여 제1포먼트(F1)와 제2포먼트 주파수(F2)를 통해 구강을 2차원의 좌표로 도식화하여 보여준다(심희정 외, 2012; 이옥분, 2010).
청각장애에 나타나는 조음의 문제는 어떤 오류가 있는가? 이는 청각손실로 인한 청각정보의 약화와 결함으로 인해 아동의 구어산출에서 조음의 문제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청각장애의 조음 오류는 특히 분절적 오류가 빈번한데, 자음은 양순음에 비해 시각적 정보가 적은 경구개음이나 연구개음의 오류가 많고, 초성보다는 종성에, 그리고 평음, 격음 등의 발성유형에 대한 오류가 주로 관찰된다. 이와 더불어 모음과 이중모음의 경우에는 대치나 왜곡, 비음화, 연장 등의 오류를 보이며, 특히 혀가 모음의 정확한 목표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구강의 중앙에서 산출하는 모음의 중앙화(neutralization)가 두드러진다고 하였다(오영자 외, 2000). 이와 같은 자음과 모음의 오류는 청각장애 아동의 전반적인 말 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riscoe, J., Bishop, D. V., & Norbury, C. F. (2001). Phonological processing, language, and literacy: A comparison of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d those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2(3), 329-340. 

  2. Chard, D. J., & Dickson, S. V. (1999). Phonological awareness: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guidelines. Intervention in School and Clinic, 34(5), 261-270. 

  3. Charlier, B. L., & Leybaert, J. (2000). The rhyming skills of deaf children educated with phonetically augmented speechreading. The Quarterly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Section A, 53(2), 349-375. 

  4. Dagenais, P. A., & Critz-Crosby, P. (1992). Comparing tongue positioning by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during vowel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5(1), 35-44. 

  5. Hesketh, A., Adams, C., Nightingale, C., & Hall, R. (2000). Phonological awareness therapy and articulatory training approaches for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A comparative outcom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35(3), 337-354. 

  6. Higgins, C., & Hodge, M. (2002). Vowel area and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ysarthria. Journal of Medical Speech-Language Pathology, 10(4), 271-277. 

  7. Hong, J., Kang, Y., & Kim, J. (2015). Comparison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 and stops in 3, 4 year-old normal hearing children according to parents' deafness: Preliminary study.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1), 67-77. 

  8. Kim, H., & Pae, S. (2002). The phonological process of children with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velar errors and following vowel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Clinical Reports, 7, 14-26. 

  9. Kim K., & Ko, D. (2007).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ome vowels produced by the CI children of various age groups. Speech Sciences, 14(4), 203-212. 

  10. Kim, Y., & Shin, M. J. (2004).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Seoul: Hakjisa. 

  11. Ko, D. (2017). Anatomy and physiology of speech organs, Seoul: Hakjisa. 

  12. Lee, B., Lee, J., & Lee, S. (2010). Formant frequency of vowels produced by cochlear implanted and normal-hearing children. Korean Linguistics, 49, 267-291. 

  13. Lee, O. (2010). Speech intelligibility and vowel space area. Cogito, 68, 7-26. 

  14. Lee, S., & Choi, S. (2017). The effects of a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o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and improvement of articulation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9(4), 69-87. 

  15. Montgomery, J. (2008). Dave Krupke: What exactly is visual phonic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9(3), 177-182. 

  16. Narr, R. F., & Cawthon, S. W. (2011). The "wh" questions of "visual phonics": What, who, where, when, and why.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16(1), 66-78. 

  17. Oh, Y., Ji, M., & Kim, Y. (2000). Acoustic comparisons of vowel and plosive productions between the normal and the hearing-impaired children. Speech Sciences, 7(2), 69-88. 

  18. Park, H., & Huh, M. (2014). Vowel space area and speech intelligi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6(2), 89-96. 

  19. Preston, J., & Edwards, M. L. (2010). Phonological awareness and types of sound errors in preschoolers with speech sound disorders.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Research, 53(1), 44-60. 

  20. Sapir, S., Ramig, L. O., Spielman, J. L., & Fox, C. (2010). Formant centralization ratio: A proposal for a new acoustic measure of dysarthric speech.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3(1), 114-125. 

  21. Schiavetti, N. (1992). Scaling procedures for the measurement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R. D. Kent (Ed.), Intelligibility in speech disorders (pp. 11-34).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22. Seo, J. (2017). Characteristics of the spectral energy of the release burst of the Korean plosives. M.A.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3. Sung, H., Choi, E., & Yoon, M. (2007). Predicting variables of speech intelligibility in adults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ing on correct articulation. Malsori, 61, 1-14. 

  24. Shim, H., Park, W., & Ko, D. (2012). A comparison of parameters of acoustic vowel spac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4(3), 161-169. 

  25. Skodda, S., Visser, W., & Schlegel, U. (2011). Vowel articulation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Voice, 25(4), 467-472. 

  26. Smith, A., & Wang, Y. (2010). The impact of visual phonics o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nd speech production of a student who is deaf: A case study. American Annals of the Deaf, 155(2), 124-130. 

  27. Son, E., & Seok, D. (2004). A comparative study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hearing impaire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9(2), 65-82. 

  28. Story, B. H. (2009). Vowel and consonant contributions to vocal tract shape.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6(2), 825-836. 

  29. Trezek, B. J., Wang, Y., Woods, D. G., Gampp, T. L., & Paul, P. (2007). Using visual phonics to supplement beginning reading instruction for student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12(3), 373-384. 

  30. Waddy-Smith, B., & Wilson, V. (2003). See that sound! visual phonics helps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develop reading skills. Odyssey, 5(1), 14-17. 

  31. Weston, A. D., & Shriberg, L. D. (1992). Contextual and linguistic correlates of intelligi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phonological disord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5(6), 1316-1332. 

  32. Yoon, M., Lee, Y., & Shim, H. (2000). Relationship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related factors of speakers in prelingu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using hearing aids.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5(2), 144-15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