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괴불나무(Lonicera maackii) 줄기의 성분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Lonicera maackii Stem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9 no.2, 2018년, pp.103 - 107  

안계영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정승우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조희찬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박진영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김명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김현표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양희정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전완주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권용수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phenylpropanoids, three caffeoylquinic acid deravatives and an iridoid were isolated from the stem of Lonicera macckii. On the basis of physico-chemical data,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caffeic acid methyl ester(1), 5-caffeoylquinic acid n-butyl ester(2), methyl 3,4-dicaffeoyl quinate(3)...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Lonicera속 식물 중 그 줄기를 약용하는 것은 인동(Lonicera japonica)의 줄기를 인동등(忍冬藤)이라 하여 청열, 해열, 통경락의 효능이 있어 온병발열, 열독혈리, 간염, 근골동통을 치료한다.2)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저자 등은 괴불나무 줄기의 성분을 밝혀 약용자원으로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그 결과 괴불나무 줄기 MeOH 추출물의 n-BuOH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6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밝혔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얻어진 MeOH 엑스를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n-hexane, CHCl3 및 n-BuOH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한 후 농축시켜 n-hexane 가용성 분획 10 g, CHCl3 가용성 분획 16 g 및 n-BuOH 가용성 분획 74 g을 얻었다. 이들 가용성 분획 중 양이 가장 많은 n-BuOH가용성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실험에 착수하였다. n-BuOH 가용성 분획 70 g을 silica gel(Kieselgel60 63-200 µm, 1 kg) column(15×50 cm)을 이용하여 CHCl3:MeOH:H2O=3: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괴불나무의 성분은 무엇인가? 괴불나무(Lonicera maackii)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고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그 꽃봉오리, 잎 등을 금은인동(金銀忍冬)이라 하여 감기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1-3) 괴불나무의 성분으로는flavonoids, iridoids, caffeoyl quinic acids 및 phytosterols등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저자 등은 국내에 자생하는 괴불나무 잎으로부터 secoiridoid 배당체, flavonoid 배당체 등 5종의 화합물을 분리, 보고한 바 있다.4) 이와 같이 괴불나무의 잎과 꽃 등은 약용될 뿐 아니라 성분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하여 괴불나무 줄기의 성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지 못하였다.
괴불나무의 특징은 무엇인가? 괴불나무(Lonicera maackii)는 인동과(Caprifoliaceae)에 속하고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그 꽃봉오리, 잎 등을 금은인동(金銀忍冬)이라 하여 감기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1-3) 괴불나무의 성분으로는flavonoids, iridoids, caffeoyl quinic acids 및 phytosterols등이 보고되었으며, 최근 저자 등은 국내에 자생하는 괴불나무 잎으로부터 secoiridoid 배당체, flavonoid 배당체 등 5종의 화합물을 분리, 보고한 바 있다.
괴불나무 줄기 성분에대한 연구의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가? 4) 이와 같이 괴불나무의 잎과 꽃 등은 약용될 뿐 아니라 성분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하여 괴불나무 줄기의 성분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지 못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Lonicera속식물 중 그 줄기를 약용하는 것은 인동(Lonicera japonica)의 줄기를 인동등(忍冬藤)이라 하여 청열, 해열, 통경락의 효능이 있어 온병발열, 열독혈리, 간염, 근골동통을 치료한다.2)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저자 등은 괴불나무 줄기의 성분을 밝혀 약용자원으로의 사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으며, 그 결과 괴불나무 줄기 MeOH 추출물의 n-BuOH 가용성 분획으로부터 6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그 구조를 밝혔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이우철 (1996) 원색 한국기준식물도감, 331, 아카데미서적, 서울. 

  2.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474, 교학사, 서울. 

  3. 國家中醫藥管理局 編纂委員會 (1999) 中華本草 7, 539-540, 上海科學技術出版社, 上海. 

  4. Kim, S. M., Won, Y. H., Jeong, K., Kim, M. J., Chun, W., Yang, H. J. and Kwon, Y. (2016) Chemical constituents of Lonicera macckii leaves, Kor. J. Pharmacogn. 47: 117-121. 

  5. Chang, S. W., Kim, K. H., Lee, I. K., Choi, S. U., Ryu, S. Y. and Lee, K. R. (2009)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Bistorta manshuriensis, Nat. Prod. Sci. 15: 234-240. 

  6. Vongvanich, N., Kittakoop, P., Charoenchai, P., Intamas, S., Sriklung, K. and Thebtaranonth, Y. (2006) Antiplasmoida, antimycobacterial and cytotoxic principles from Camchaya calcarea. Planta Med. 72: 1427-1430. 

  7. Lee, M. W. (1998) Phenolic compound from Lepisorus thunbergianus. Kor. J. Pharmacogn. 29: 142-145. 

  8. Chai, X. Y., Dou, J., He, Q. H. and Li, P. (2004) Studies on the phenolic acid compounds from Lonicera confusa DC. Chin. J. Nat. Med. 2: 339-340. 

  9. Suarez-Quiroz, M. L., Campos, A. A., Alfaro, V. G., Gonzalez-Rios, O., Villeneuve, P. and Figueroa-Espinoza, M. C. (2013) Anti-Aspergillus activity of green coffee 5-O-caffeoyl quinic acid and its alkyl esters. Microb. Pathog. 61-62: 51-56. 

  10. Rumbero-Sanchez, A. and Vazquez, P. (1991) Quinic acid esters from Isertia haenkeana. Phytochemistry 30: 311-313. 

  11. Nishizawa, M., Izuhara, R., Kaneko, K., Koshihara, Y. and Fujimoto, Y. (1988) 5-Lipoxygenase inhibitors isolated from Gardeniae Fructus. Chem. Pharm. Bull. 36: 87-95. 

  12. Basnet, P., Matsushige, K., Hase, K., Kadota, S. and Namba, T. (1996) Potent antihepatotoxic activity of dicaffeoyl quinic acids from Propolis. Biol. Pharm. Bull. 19: 655-657. 

  13. Peng, L. Y., Mei, S. X., Jiang, B., Zhou, H. and Sun, H. D. (2000) Constituents from Lonicera japonica. Fitotherapia 71: 713-715. 

  14. Wei, X., Huang, H., Wu, P., Cao, H. and Ye, W. (2004) Phenolic constituents from Mikania micrantha. Biochem. Syst. Eocol. 32: 1091-1096. 

  15. Thung, P. T., Su, N. D., Ngoc, T. M., Hung, T. M., Dang, N. H., Thuan, N. D., Bae, K. and Oh, W. K. (2009) Antioxidant acitivity and principles of Vietnam bitter tea Ilex kudingcha. Food Chem. 113: 139-145. 

  16. Alqasoumi, S. I., Al-Rdhaily, A. J. and Abdel-Kader, M. S. (2009)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Lonicera etrusca growing in Saudi Arabia. Nat. Prod. Sci. 15: 121-124. 

  17. Kwon, Y. S., In, K. G. and Kim, C. M. (2000) Chemical constituents form the roots of Ostericum koreanum. Kor. J. Pharmacogn. 31: 284-287. 

  18. Suchaichit, N., Kanokmedhkul, S., Kanokmedhakul, K., Moosophon, P., Boonyarat, C., Plekratoke, K., Tearavarich, R. and Suchaichit, N. P. (2017) Phytochemical investigation and acetylcholinesetease inhibitory activity of bark of Hymenodictyon orixense. Nat. Prod. Res. 19: 1-4. 

  19. Xu, Y. D., Cui, C., Sun, M. F., Zhu, Y. L., Chu, M., Shi, Y. W., Lin, S., L., Yang, X. S. and Shen, W. Q. (2017) Neuroprotective effects of loganin on MPTP-induced parkinson's disease mice: neurochemistry, glial reaction nd autophagy studies. J. Cell Biochem. 118: 3495-3510. 

  20. Liu, Z. D., Zhao, D. D., Jiang, S., Xue, B., Zhang, Y. L. and Yan, X. F. (2018) Anticancer phenolics from Dryopteris fragrans (L.) Schott. Molecules 23: E680. 

  21. Molina-Romo, E. D., Garibay-Escobar, A., Valenzuela-Antel, O., Ruiz-Bustos, E., Martine, J. H., Velazquez, C., Rascon-Valenzuela, L. A. and Robles-Zepeda, R. E. (2018) Antiproliperative and apoptotic activities of the medicinal plant Ziziphus obtusifolia. Pharmacognosy Res. 10: 55-59. 

  22. Kirmizibekmez, H., Inan, Y., Reis, R., Sipahi, H., Goren, A. C. and Yesilada, E. (2018) Phenolic com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Clematis viticella L.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Nat. Prod. Res. 12: 1-4. 

  23. Mitani, T., Ota, K., Inaba, N., Kishida, K. and Koyama, H. A. (2018)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henolic compounds of Prunus mume against enterobacteria. Biol. Pharm. Bull. 41: 208-212. 

  24. Yen, G. C., Chen, C. S., Chang, W. T., Wu, M. F., Cheng, F. T., Shiau, D. K. and Hsu, C. L. (2018)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 of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the roots of Ficus beecheyana and their phenolic components. J. Food Drug Anal. 26: 182-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