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Therapists' Job Stress and Burnou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6, 2018년, pp.73 - 87  

김희정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박민정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변혜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신은자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임상미술치료전공) ,  정여주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소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 관계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33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환경적 요인(학력, 경력, 치료시간, 시간 당 소득, 슈퍼비전 횟수) 중 경력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이를 매개하며, 이러한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art therapists.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by setting a research model with job stress as independent variable, ego-resilience as media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째,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소진은 미술치료사의 개인 환경적 요인(학력, 경력, 치료시간, 시간당 소득, 슈퍼비전 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미술치료사의 개별적인 요인 중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셋째,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지지가 다른 변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했다.
  •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소진에 중점을 두고, 직무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가지고 있는 역할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소진과의 관계 중 특히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어 사회적 지지가 이들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에 대한 소진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국내의 상황에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를 통해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본 연구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이전에 미술 치료사의 개인 환경적 요인 중 응답자의 경력이나 업무 상황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소진, 자아탄력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응답자 중 117명(50.
  • 둘째, 미술치료사의 개별적인 요인 중 자아탄력성이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했다. 셋째,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사회적 지지가 다른 변수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검토하고자 했다.

가설 설정

  • 가설2.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 대한 조절효과는 없다고 가정하고, 자아탄력성과 소진 간의 관계만을 조절한다고 가정하였다. 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귀무가설이 채택되는지를 검증한 결과는 [표 7] 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아탄력성은 치료사가 객관적 인 통찰력을 가지고 치료적 상황을 판단하고, 치료사 자신의 행동과 감정을 조절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사람은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여 환경에 적응이 쉽고 대인관계가 원활하며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25]. 또한 융통성 있게 스트레스 상황에 잘 대처하며[26], 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관련되는 감정을 통제하고 조절함으로써 정서적 평형을 유지한다[27].
직무 요구란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직무요구(job demands)와 직무자원(job resources), 탈진(exhaustion) 및 이탈 (disengagement)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직무 요구-자원 모델(Job Demands- Resources Model:JD-R Model)로 설명될 수 있다[54]. 직무 요구란, 직무의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해 지속적인 신체적 또는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때 개인은 직무 요구에 대처하기 위한 자기 보호 수행 책략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책략의 사용이 바로 직무자원이다. 직무자원은 동기부여 요소로 작용하여 열의를 높이고, 과업성과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성장과 학습 및 개발을 촉진 하기 때문에 근로자의 내재적 동기를 유발할 수 있지만, 만성적인 직무요구나 자원의 부족은 결국 소진을 야기하게 된다.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효과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적절한 스트레스는 생활에 활력소와 동기를 부여해 주고 삶과 직무에 만족을 주어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높이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1]. 이에 반해 처음에는 피로감과 같은 가벼운 증상에서 시작되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신체적, 심리적, 관계적인 어려움을 일으켜 직업적 위기나 자기 파괴적 행동과 같은 심각한 문제에 다다르게 되는 부정적인 효과도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장세진,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97-317, 2005. 

  2. J. E. Barnett, E. K. Baker, N. S. Elman, and G. R. Schoener, "In pursuit of wellness: The self-care imperative," Professional Psycho logy: Research and Practice, Vol.38, No.6, pp.603-612, 2007. 

  3. http://www.pqi.or.kr/imf/qul/infQulist.do 

  4. 이성희, 최외선, 김영숙, "한국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미술치료연구, 제124권, 제1호, pp.43-69, 2017. 

  5.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2판), 학지사, 2014. 

  6. M. Mcmurray and S. M. Ofrah, "Transference In Art Therapy: A New Outlook,"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25, No.1, pp.31-36, 1998. 

  7. 이소은,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예술치료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8. 최진아, 김정애, "미술치료 전공자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도 조사 연구," 미술치료연구, 제22권, 제5호, pp.1269-1288, 2015. 

  9. 장은경, "서울 지역 사회복지관련 기관에서의 미술치료 현황과 과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350-359, 2009. 

  10. J. H. Gam, G. S. Kim, and Y. S. Jeon, "Influences of art therapist;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burnout,"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47, pp.1-8, 2016. 

  11. 김나영, 정현희,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4호, pp.879-899, 2012. 

  12. 이아련, 미술치료사 정서지능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표현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학위사논문, 2016. 

  13. 정현희,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임상미술심리연구, 제7권, 제1호, pp.1-17, 2017. 

  14. 윤은주,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5. H. Orkibi, "Highly artistic-social personalities buffer the effects of burnout on career commitment,"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50, pp.75-83, 2016. 

  16.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 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17. G. M. Sweeny, K. A. Nicholls, and P. Kline, "Factors contributing to work-related stress in occupational therapists ; results from a pilot study," The British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54, No.8, pp.284-288, 1991. 

  18. 최명선, 김봉환, "실천가로서 미술치료사의 전문성과 교육적 접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0권, 제4호, pp.169-192, 2014. 

  19. H. J. Freudenberger,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Vol.30, No.1, pp.159-165, 1974. 

  20. C. Maslach and S. E. Jackson,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U.S.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pp.1-218, 1981. 

  21. 장미화, 유금란, "업무환경 위험요소가 상담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32권, 제3호, pp.755-775, 2013. 

  22. A. M. Pines and G. Keinan, "Stress and Burnout; The significant difference," Persona 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No.3, pp.625-635, 2005. 

  23. K. Reivich and A. Shatte, The Resilience Factors, 우문식.윤상운 옮김, 절대회복력, 경기 : 물푸레, 2011. 

  24. 유안진, 이점숙, 김정민,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23-132, 2005. 

  25. 윤현희, 부모보고형의 자아탄력성 척도의 개발,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26. 정혜욱, 이옥형,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제31권, 제3호, pp.31-54, 2011. 

  27. 이민정,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8. 박성호, 상담의 직무환경에서의 위험요소와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1. 

  29. 이정희, 조성연,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지지," 아동학회지, 제32권, 제1호, pp.157-172, 2011. 

  30. 장경은, 김혜원, 최유리,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교사효능감이 소진 증후군에미치는 조절된 매개모델," 한국아동학회지, 제38권, 제4호, pp.19-31, 2017. 

  31.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32. 권재환, 박희현, "아동상담자의 자존감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pp.39-53, 2010. 

  33. 김인경, "음악치료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pp.41-61, 2012. 

  34. 이재영,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제3호, pp.59-67, 2012. 

  35. 김희영, 정봉교,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2권, 제4호, pp.183-204, 2016. 

  36. 박미경, "응급실 간호사의 강인성, 사회적 지지 및 소진간의 관계," 한국융합학회지, 제8권, 제10회, pp.397-405, 2017. 

  37. A. F. Hayes,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An Open Access and Academic Publisher, Retrieved from http://www.afhayes. com/public/process2012.pdf 

  38.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2nd ed), Guilford press: New York. 2018. 

  39.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40. 이자영 외,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 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20권, 제1호, pp.23-42, 2008. 

  4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42. 강아림,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13권, 제1호, pp.45-65, 2011. 

  43. 이영만, "초등학교 여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제25권, 제1호, pp.191-214, 2012. 

  44. 김승재, 엄기매, 서호찬, "물리치료사의 자아탄력성,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관계," 대한건강과학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7-33, 2015. 

  45. 구효진, 오인지, 임화성, "유아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205-231, 2017. 

  46. 김남숙, 남희은, 진혜민, "사회복지종사자들의 소진위험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소진탄력성의 매개효과," 비판사회정책, 제11권, 제45호, pp.98-124, 2014. 

  47.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48. 김현미, 최인화, 권현용, "청소년 상담자의 직무환경, 자아탄력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이 상담자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제15권, 제2호, pp.1-30, 2010. 

  49. 정지언, 박영희,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정서적 지지의 구조적 관계," 사고개발, 제12권, 제1호, pp.11-132, 2016. 

  50. S. Howard and B. Johnson, "Resilient Teachers: Resisting Stress and Burnout,"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Vol.7, pp.399-420, 2004. 

  51. 여선영, 아동상담자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 Out)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심리치료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52. 김영숙 외, "중등교사의 성격, 교사갈등,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1권, 제2호, pp.373-394, 2016. 

  53. 박희현, 오숙경, "청소년상담자의 자아탄력성과 자기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53-169, 2013. 

  54. E. Demerouti, A. B. Bakker, F. Nachreiner, and W. B. Schaufeli, "The Job Demands - Resource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 No.3, pp.499-512, 2001. 

  55. T. F. Meijman and G. Mulder, Psychological aspects of workload, In P. J. D. Drenth, H. Thierry, & C. J. de Wolff (Eds.), Handbook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nd ed.). Handbook of work and organizational: Work psychology (pp.5-33), Hove, England: Psychology Press/Erlbaum (UK) Taylor & Francis, 1998. 

  56. A. S. Mark, Empathy Fatigue: healing the mind, body and sprit of professional counselors, 이달엽 옮김, 감정이입 피로 증후군, 학지사, 2010. 

  57. 최희아, 심리치료사의 소진과 자기 돌봄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8. 홍혜정, 미술치료사의 미술작업을 통한 자기돌봄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9. C. Brown, "The importance of making art for the creative arts therapists: An artistic inquiry,"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5, pp.201-208, 2008. 

  60. Y. A. Iliya,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personal creativity for creative arts therapists: A brief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pplied Arts & Health, Vol.5, No.1, pp.109-115, 2014. 

  61. 윤아랑, 조하나, "청소년 상담자의 업무환경 및 개인내적 요인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제52권, 제2호, pp.193-224, 2013. 

  62. J. Jue, "The extent of engagement in art making and exhibition by art therapy practitioners and student," The Art in Psychotherapy, Vol.55, pp.32-39, 2017. 

  63. 김은진, 소진을 보고하는 미술치료사의 미술관 체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4. H. Orkibi, "Students' artistic experience before and during graduate training,"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9, pp.428-435,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