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 1998-2017년 국내·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Research Trends of Music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 Review of Journals Publish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rom 1998 to 2017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6, 2018년, pp.243 - 256  

박혜영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전공) ,  조미란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전공) ,  윤은정 (고신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음악치료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총 62편의 학술논문을 내용분석 하였다. 발표연대, 학술지 분야, 연구방법,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령, 장애특성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10년간 국내 외 모두 논문 편수가 급증하였으며, 교육학, 치료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방법에서 국내는 조사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국외는 질적연구와 실험연구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연구유형과 주제를 살펴보면, 국내는 음악흥미와 적성을 주제로 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가 다수였으나, 국외는 음악중재, 음악지각 및 인지를 주제로 한 음악의 영향과 경험 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령은 국내 외 모두 성인과 아동청소년으로 조사되었고 노인 대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장애특성별 빈도에서 전맹, 저시력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중도나 중복장애는 적었다. 이는 시각장애와 음악에 관한 연구 동향을 설명함으로써 해당 분야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안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ontent analysis on 62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from 1998 to 2017, in order to review research trends in music and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 framework of the content analysis was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field of journal, re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국내 연구의 보완점을 점검하고 강점은 부각시켜 국제적 수준으로 교류하는 데에 기여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시각장애 음악 관련 연구의 특성과 필요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특히, 기존에 이루어진 시각장애인 대상 음악 연구의 국내지와 국외지의 동향 비교를 통해, 국내 연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연구 문화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의 보완점을 점검하고 강점은 부각시켜 국제적 수준으로 교류하는 데에 기여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시각장애 음악 관련 연구의 특성과 필요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관련 교육, 치료, 재활 영역에서의 전망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이루어진 시각장애인 대상 음악 연구의 국내지와 국외지의 동향 비교를 통해, 국내 연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연구 문화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음악 관련 교육, 치료, 재활 영역에서의 전망과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에 이루어진 시각장애인 대상 음악 연구의 국내지와 국외지의 동향 비교를 통해, 국내 연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연구 문화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내 연구의 보완점을 점검하고 강점은 부각시켜 국제적 수준으로 교류하는 데에 기여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의 연구유형과 주제로 국내와 국외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방법에서 국내는 조사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국외는 질적연구와 실험연구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연구유형과 주제를 살펴보면, 국내는 음악흥미와 적성을 주제로 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가 다수였으나, 국외는 음악중재, 음악지각 및 인지를 주제로 한 음악의 영향과 경험 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연령은 국내 외 모두 성인과 아동청소년으로 조사되었고 노인 대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시각장애인을 연구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틀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8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국제 학술지에 게재된 총 62편의 학술논문을 내용분석 하였다. 발표연대, 학술지 분야, 연구방법,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령, 장애특성을 분석틀로 하였다. 연구결과, 최근 10년간 국내 외 모두 논문 편수가 급증하였으며, 교육학, 치료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의 연구방법으로 국내와 국외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결과, 최근 10년간 국내 외 모두 논문 편수가 급증하였으며, 교육학, 치료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방법에서 국내는 조사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국외는 질적연구와 실험연구가 고르게 분포하였다. 연구유형과 주제를 살펴보면, 국내는 음악흥미와 적성을 주제로 한 인식 및 현황조사 연구가 다수였으나, 국외는 음악중재, 음악지각 및 인지를 주제로 한 음악의 영향과 경험 연구가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J. P. Rauschecker, "Cortical plasticity and music,"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930, No.1, pp.330-336, 2001. 

  2. R. H. Hamilton, A. Pascual-Leone, and G. Schlaug, "Absolute pitch in blind musicians," Neuroreport, Vol.15, No.5, pp.803-806, 2004. 

  3. A. Ockelford, L. Pring, G. Welch, and D. Treffert, Focus on music: Exploring the musical interests and abilities of blind and partially-sighted children with septo-optic dysplasia,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2006. 

  4. F. Gougoux, F. Lepore, M. Lassonde, P. Voss, R. J. Zatorre, and P. Belin, "Neuropsychology: Pitch discrimination in the early blind," Nature, Vol.430, No.6997, p.309, 2004. 

  5. Z. Eitan, E. Ornoy, and R. Y. Granot, "Listening in the dark: Congenital and early blindness and crossdomain mappings in music," Psychomusicology: Music, Mind, and Brain, Vol.22, No.1, pp.33-45, 2012. 

  6. A. A. Darrow and J. Novak, "The effect of vision and hearing loss on listeners' perception of referential meaning in music," Journal of Music Therapy, Vol.44, No.1, pp.57-73, 2007. 

  7. A. R. Walker, "Mental imagery and musical concepts: Some evidence from the congenitally blind,"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No.85, pp.229-237, 1985. 

  8. E. Walker, "Emotion recognition in disturbed and normal children: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22, No.3, pp.263-268, 1981. 

  9. C. K. Madsen and A. A. Darrow,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ptitude and sound conceptualiz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Journal of Music Therapy, Vol.26, No.2, pp.71-78, 1989. 

  10. H. Y. Park, H. J. Chong, and S. J.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itudes and uses of music by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109, No.4, 2015. 

  11. 신연서, 오지향, "시각장애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의 음악적성 연구," 시각장애연구, 제25권, 제4호, pp.165-181, 2009. 

  12. 신연서, 이해균, "시각장애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의 음악적성 연구," 시각장애연구, 제25권, 제4호, pp.165-181, 2009. 

  13. 신연서,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음악 활동경험과 음악흥미도 관계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제17권, 제2호, pp.95-121, 2016. 

  14. 임형진, 박순희, "시각장애인의 음악성취도에 대한 음악흥미와 음악적성 연구," 시각장애연구, 제29권, 제2호, pp.217-228, 2013. 

  15. 박혜영, 정현주, "정서 유도 음악에 대한 시각장애인과 정안인의 음악 정서 반응 차이," 시각장애연구, 제31권, 제3호, pp.1-17, 2015. 

  16. P. A. Codding, "Music therapy literature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blind and severely visually impaired persons: 1940-2000," In D. S. Smith (Ed.),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rocedures: Documentation of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Silver Spring, MD: Th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Inc., pp.159-198, 2000. 

  17. A. L. Corn and G. L. Bailey, "Profile of music programs at residential school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85, No.9, pp.379-382, 1991. 

  18. D. G. Herlein, "Music reading for the sightless: Braille notation," Music Educators Journal, Vol.62, No.1, pp.42-45, 1975. 

  19. P. A. Codding, Music in the education /rehabilitation of visually disabled and multihandicapped persons: A review of literature from 1946-1987, Documentation of Research and Clinica Practice, pp.107-134, 1988. 

  20. L. C. Wheeler, K. Floyd, and H. C. Griffin, "Spatial organization in blind children," RE:view, Vol.28, pp.177-181, 1997. 

  21. W. B. Davis, K. E. Gfeller, and M. H. Thaut, An introduction to music therapy theory and practice, American Music Therapy Association, Inc. Silver Spring, MD., 2008. 

  22. 임안수, 시각장애 교육 기초, 서울: 파오디, 2000. 

  23. 강종구, "시각장애인의 보행에 관한 국제전문학술지(JVIB와 BJVI)의 연구 경향 고찰," 시각장애연구, 제31권, 제3호, pp.107-126, 2015. 

  24. 이인수, 윤기현, "수업지도성 연구동향 분석 : 최근 20년(1996-2016)간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34권, 제2호, pp.57-84, 2017. 

  25. 이윤주,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연구동향: 1994-2013년 국내?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상담학연구, 제16권, 제1호, pp.51-71, 2015. 

  26. 김영실, "GIM (Guided Imagery and Music) 에 서 GIM 치료사의 음악 선택에 관한 내러티브 문헌 고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1권, 제1호, pp.39-62, 2014. 

  27. 정동훈,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 1998-2008 년 특수교육 및 재활 관련 학술지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2권, 제1호, pp.97-124, 2009. 

  28. 손지영, 정소라, 김동일,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pp.157-178, 2011. 

  29. 정승원, "고용관련 환경요인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179-208, 2011. 

  30. 채구묵, "실업급여가 실업, 경제활동참가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OECD 19 개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정책, 제36권, 제4호, pp.319-342, 2009. 

  31. 김미정, 박휴용, "시각장애 음악전공자들의 회고를 바탕으로 한 음악 교수방법론 탐색," 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3호, pp.151-182, 2013. 

  32. H. Y. Park, "Finding meaning through musical growth: Life histories of visually impaired musicians," Musicae Scientiae, Vol.21, No.4, pp.405-417, 2017. 

  33. S. L. Robb, "Music interventions and group participation skills of preschoolers with visual impairments: Raising questions about music, arousal, and atten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Vol.40, No.4, pp.266-282, 2003. 

  34. 양지혜, 박혜영, "중도시각장애인의 음악 활용,"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제13권, 제1호, pp.41-60, 2016. 

  35. 박한나,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음악감상 교육 실태와 선호도 연구," 시각장애연구, 제29권, pp.1-25, 2013. 

  36. 이보림, "시각장애인에게 음악하기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23권, pp.137-156, 2015. 

  37. 남인숙, 정광조, 최애나, "국악중심 음악치료가 시각장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 9권, 제4호, pp.53-74, 2013. 

  38. 박수경, 이익섭, "시각장애노인의 사회통합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pp.5-34, 2005. 

  39. 임종호, "시각장애 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분석," 시각장애연구, 제33권, 제4호, 2017. 

  40. H. Y. Park, H. J. Chong, and S. J.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ttitudes and uses of music by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109, No.4, pp.303-316, 2015. 

  41. C. Y. Wan, A. G. Wood, D. C. Reutens, and S. J. Wilson, "Early but not late-blindness leads to enhanced auditory perception," Neuropsychologia, Vol.48, No.1, pp.344-348, 2010. 

  42. Y. C. Byeon, 2005 Survey on disabilit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43. G. M. Jessup, E. Cornell, and A. C. Bundy, "The treasure in leisure activities: Fostering resilience in young people who are blind,"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Vol.104, No.7, pp.419-430, 2010. 

  44. D. Molloy-Daugherty, Rhythmic auditorymotor entrainment of gait patterns in adults with blindness or severe visual impai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Lawrence, KS, 2013. 

  45. 신연서, 이해균, 김건희, "시각중복장애학생의 연주경험의 의미," 시각장애연구, 제32권, 제2호, pp.1-25, 2016. 

  46. A. Ockelford, G. Welch, and S. Zimmermann, "Focus of Practice: Music Education for Pupils with Severe or Profound and Multiple Difficulties-Current Provision and Future Need," Britis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29, No.4, pp.178-182, 2002. 

  47. S. E. Ford, "The effect of music on the self-injurious behavior of an adult fema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Music Therapy, Vol.36, No.4, pp.293-313, 1999. 

  48. 이미선, 김기창, 김정현, 김호연, 진창원, "시각장애아교육 개선 방안 연구: 조기발견, 진단평가, 배치, 시각중복장애아 교육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연구, 제26권, 제4호, pp.285-314, 2010. 

  49. 김은주, "시각장애학교 학생을 위한 국악치료 실태 연구," 국악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69-91, 2017. 

  50. Gourgey, "Music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ocial isolation in visually impaired children," Vol.29, No.4, pp.157-162, 1998. 

  51. P. Kern and M. Wolery, "Participation of a preschooler with visual impairments on the playground: Effects of musical adaptations and staff development," Journal of Music therapy, Vol.38, No.2, pp.149-164, 2001. 

  52. P. Kern and M. Wolery, "The sound path: Adding music to a child care playground," Young Exceptional Children, Vol.5, No.3, pp.12-20, 2002. 

  53. M. Metell, "A great moment... because of the music: An exploratory study on music therapy and early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eir sighted caregivers,"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Vol.33, No.2, pp.111-125, 2015. 

  54. M. Metell and B. Stige, "Blind spots in music therapy. Toward a critical notion of participation in context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Nordic Journal of Music Therapy, Vol.25, No.4, pp.300-318, 2016. 

  55. Z. Eitan, E. Ornoy, and E, R. Y. Granot, "Listening in the dark: Congenital and early blindness and cross-domain mappings in music," Psychomusicology: Music, Mind, and Brain, Vol.22, No.1, p.33,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