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이 겪는 우울감 및 자살사고에 대한 질적 연구 분석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bout Depressed Mood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enior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9 no.2, 2018년, pp.99 - 109  

곽희용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 ,  서효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방신경정신과) ,  정선용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analyze the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 about depressed mood and suicidal ideation of Korean Seniors. Methods: Eleven published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e extracted common topics and factors of each stage, Selected factors were paralleled and syn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한국 노인들의 우울과 자살사고에 대한 질적 연구들을 분석하여 대한민국 노인들이 겪는 경험에 대하여 구체적인 수준으로 기술하며 나아가 한의정신요법에서 고려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의 강점은 무엇인가?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의 강점은 구체적인 생활세계의 수준에서 상대주의적 진리관을 포용하면서 보다 객관적인 진리를 지향한다는 점7)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보고된 질적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양적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현상에 대해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3%) 등으로 보고되었다3).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 국민기초생활수급비의 여부, 사회서비스 이용 경험여부, 경상소득, 혼인지속여부4) 등이 있으며, 건강수준과 우울의 관련성 연구결과 질병이 있으면서 주관적 건강이 불량한 경우 노인 우울군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5).
자살사고의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자살을 생각해 본 노인의 비율은 11.2%에 달하였으며 자살사고의 이유는 건강(24.4%), 경제적 어려움(40.4%), 외로움(13.3%) 등으로 보고되었다3). 노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사회적 관계 만족도, 국민기초생활수급비의 여부, 사회서비스 이용 경험여부, 경상소득, 혼인지속여부4) 등이 있으며, 건강수준과 우울의 관련성 연구결과 질병이 있으면서 주관적 건강이 불량한 경우 노인 우울군에 속할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SIS(Statistics Korea, 2016 National death cause statistics). 2018.06.03. 

  2. KOSIS(MOHW,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enior's (65years or older) Depressed mood by Common Characteristics). 2018.06.03. 

  3. KOSIS(MOHW,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enior's (65years or older)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 by Common Characteristics). 2018.06.03. 

  4. Kim BK, Ha YJ, Choi SS. A Vertical Study on the Factors Which are Influenced on Depression of the Aged: Focusing o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Factors.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115-32. 

  5. Kim JM, Lee JE.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0;30(4): 1311-27. 

  6. Seo NK, Kang TU, Hu SE, Lee HJ, Kim DS, Lim BM, Jang SR, Hong KM, Jung SH, Oh YH. 2016 Korea Medical Pannel Indepth Analysis Report,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Institute for Health Insurance Policy. 2016:242. 

  7. Shin C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Phenomenology. Social science. 2009;42(1):85-112. 

  8. Denis Walsh, Soo Downe. Meta-synthe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0(2):204-11. 

  9. Park JY. Experiential meaning of Suicide and Reinterpretation of 'Being Alive' -Focusing on senior suicidal survivor-Korean Mental health Social walfare Academy. Conference proceeding. 2007;1:119-38. 

  10. Jo KH, Kim YK.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storation Experience for Suicide Ideation of Korean Elders. J Korean Acad Nurs. 2008;38(2):258-69. 

  11. Lim MY, Kim YJ. A Phenomenological Study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in Old Age. J Family relations. 2010;15(3):175-96. 

  12. Kwon JD, Kim YJ, Um TY. The Meaning and Pathways of Suicidal Experiences among Older Adults: a Grounded Theory Method. J welfare for the Aged. 2011;52:419-46. 

  13. Lee SJ. A Qualitative Study on the suicidal Attempt Experience of the Bereaved Elderly Women -Focused on Analyt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2014:130. 

  14. Kim JE, Son HM. Experiences of Depression in Low Income Elderly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6;22(4):241-53. 

  15. Lee EY. Depression experience process of the rural women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16:125. 

  16. Eo YG, Ko JE, Kim SE. A Qualitative Study on Coping strategies of Older adults with Depression: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Coping with Depression in Older Adults Living in Seoul. J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7; 37(3):583-600. 

  17. Kim YJ. A Study on Experiences of Older Adults' Getting Back to Life and Rediscovering a 'Will to Live' Following Suicide Attempts. Korean J Social Welfare. 2013;65(1): 127-46. 

  18. Kang JH, Kim JS, Kim MJ. The Case Study on Generation and Overcoming of the Elderly Suicidal Ideation. Korean J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2017;11(2): 31-62. 

  19. Jung MH. A Study on the Suicidal Attempt Experiences of the Rural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2017:1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