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공사형 나노복합막 제조를 이용한 수용액으로부터 저분자량의 염료 분리 연구
Separ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of Dye from Aqueous Solution Using the Prepared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s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3, 2018년, pp.180 - 186  

박철오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이성재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의 중공사막 표면에 2번 딥코팅하여 layer-by-layer 방식으로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1차 코팅에서 poly(vinylsulfonic acid)(PVSA)와 Poly(styrene sulfonic acid)(PSSA)의 농도, 이온세기(Ionic strength, IS) 등을 변화시키며 막을 제조하였으며, 2차 코팅 용액으로는 Poly(ethyleneimine) 10,000 ppm I.S = 0.3으로 고정하였다. 막의 특성평가를 위해 각각의 100 ppm NaCl, $CaSO_4$, $MgCl_2$, 그리고 25 ppm Methyl Orange (MO) 공급액에 대한 막의 투과도와 염배제율을 측정하였다. 코팅용액의 코팅 물질의 농도가 올라갈수록 염배제율이 상승하였으며, 본 실험 조건에서 PVSA보다는 PSSA를 이용하여 제조한 중공사막이 염배제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대표적으로 PSSA 30,000 ppm I.S = 1.0에서 중 공사막을 제조하였을 때 25 ppm MO용액의 투과도 1.848 LMH, 염배제율 76.3%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no-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onto th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hollow fiber membranes through twice dip-coating known layer-by-layer method. For the first coating, poly(vinylsulfonic acid, sodium salt)(PVSA) and Poly(styrene sulfonic acid)(PSSA) were used with varying the conc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ayer-by-layer 코팅법을 통해 PVDF 중공사형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여 투과도와 선택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UF막에 고분자를 코팅하여 복합 나노분리막을 제조하여 폐수안의 염료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지지체로는 내구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내화학성이 우수한 불소계 고분자 후)중공사막을">중공 사막을 제조하였으며, 공급액으로 100 ppm NaCl, 25 ppm MO 용액을 제조하여 투과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상온, 5 bar의 공정조건과 코팅용액의 농도변화 및이온세기 변화를 통해 제조된 복합막의 투과도와 염배 제율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분리법은 무엇인가? 막분리법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분리공정으로써 분리 대상물질의 변화가 없으며 유기혼합물 중 특정 성분을 분리해 내거나 고분자 막을 통한 유기물 제거에 효과적이므로 폐수 중 유해성분을 분리해 내거나 유기 용매를 회수해 내는 데에 탁월하다. 공정의 운전 및 장치가 간단하여 자동화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2-8].
오존 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오존 법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는 오존을 이용하여 유기물의 분해와 살균, 냄새제거, 페놀의 제거와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의 제거에 이용한다. 2차 공해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나 오존의 가격이 비싸고 일반적으로 20분 정도의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지만 소금이나 pH, 온도의 영향으로 더욱 더 짧게 끝나므로 연속적인 오존을 필요로 한다.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법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하나의 특유한 폐수에 알맞은 방식이다.
오존 법은 무엇인가? 이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 으로는 오존법과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법이 있다. 오존 법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는 오존을 이용하여 유기물의 분해와 살균, 냄새제거, 페놀의 제거와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의 제거에 이용한다. 2차 공해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슬러지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나 오존의 가격이 비싸고 일반적으로 20분 정도의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지만 소금이나 pH, 온도의 영향으로 더욱 더 짧게 끝나므로 연속적인 오존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 S. Yoon, S. W. Woon, S. B. Choi, Y. C. Jeon, J. H. Han, M, H, Han, and C. W. Cho, "Analysis of technology development,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or dyeing wastewater treatment", DICER TechLinfo Part 1, 4, 212 (2005). 

  2. Y. T. Lee, I. C. Kim, and H. N. Jang, "Membrane permeation characteristics and fouling control through the coating of poly(vinyl alcohol) on PVDF membrane surface", Membr. J., 24, 276 (2014). 

  3. E. Barbot and P. Moulin, "Swimming pool water treatment by ultrafiltration-adsorption process", J. Membr. Sci., 314, 50 (2008). 

  4. T. Mohammadi and A. Esmaeelifar, "Wastewater treatment of a vegetable oil factory by a hybrid ultrafiltration-activated carbon process", J. Membr. Sci., 254, 129 (2005). 

  5. R. Fugere, N. Mameri, J. E. Gallot, and Y. Comeau, "Treatment of pig farm effluents by ultrafiltration", J. Membr. Sci., 255, 225 (2005). 

  6. E. Turano, S. Curcio, M. G. D. Paola, V. Calabro, and G. Iorio, "An integrated centrifugation-ultrafiltration system in the treatment of olive mill wastewater", J. Membr. Sci., 209, 519 (2002). 

  7. A. Rahimpour, S. S. Madaeni, M. Amirinejad, Y. Mansourpanah, and S. Zereshki,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f PES and PVDF ultrafiltration membranes on morphology and performance for milk filtration", J. Membr. Sci., 330, 189 (2009). 

  8. N. S. K. Kumar, M. K. Yea, and M. Cheryan, "Ultrafiltration of soy protein concentrate: performance and modelling of spiral and tubular polymeric modules", J. Membr. Sci., 244, 235 (2004). 

  9. J. Huang, G. Zeng, Y. Fang, Y. Qu, and X. Li, "Removal of cadmium ions using micellar-enhanced ultrafiltration with mixed anionic-nonionic surfactants", J. Membr. Sci., 326, 303 (2009). 

  10. M. K. Sinha and M. K. Purkait,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pegylated hydrophilic pH responsive poly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J. Membr. Sci., 464, 20 (2014). 

  11. Z. X. Low, A. Razmjou, K. Wang, S. Gray, M. Duke, and H. Wang, "Effect of addition of two-dimensional ZIF-L nanoflakes on the properties of polyether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J. Membr. Sci., 460, 9 (2014). 

  12. Y. Zhang, J. Zhao, H. Chu, X. Zhou, and Y. Wei, "Effect of modified attapulgite addition on the performance of a PVDF ultrafiltration membrane", Desalination, 344, 71 (2014). 

  13. F. Liu, N. A. Hashim, Y. Liu, M. R. M. Abed, and K. Li, "Progress in the p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PVDF membranes", J. Membr. Sci., 375, 1 (2011). 

  14. G. Kang and Y. Cao, "Application and modific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PVDF) membranes-A review", J. Membr. Sci., 463, 145 (2014). 

  15. J. H. Kim, J. H. Min, and M. S. Park, "Preparation of hydrophobic porous PVDF membrane and application for membrane distillation", Membr. J., 24, 240 (2014). 

  16. M. S. El-Bourawi, Z. Ding, R. Ma, and M. Khayet, "A framework for better understanding membrane distillation separation process", J. Membr. Sci., 285, 4 (2006). 

  17. K. W. Lawson and D. R. Lloyd, "Membrane distillation", J. Membr. Sci., 124, 1 (1997). 

  18. D. Wang, K. Li, and W. K. Teo, "Porous PVDF asymmetric hollow fiber membranes prepared with the use of small molecular additives", J. Membr. Sci., 178, 13 (2000). 

  19. M. Tomaszewsk, "Membrane distillation-examples of applications i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ol. J. Environ. Stud., 9, 27 (2000). 

  20. M. Tomaszwska,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flat-sheet membranes from poly (vinylidene fluoride) for membrane distillation", Desalination, 104, 1 (1996). 

  21. R. J. Peterson, "Composite reverse osmosis and nanofiltration membrane", J. Membr. Sci., 83, 81 (1993). 

  22. P. W. Morgan, "Condensation Polymer: By Interfacial and Solution Methods", p. 1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NY (1965). 

  23. J. W. Rhim, C. S. Kim, I. H. Kim, E. H. Cho, and S. Y. Kang "Study on the hollow fiber nano-composite membrane preparation onto the porous PVDF membrane surfaces using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mbr. J., 25, 10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