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수화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저압용 PVDF 나노복합중공사막의 제조 및 성능 연구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Low Pressure PVDF Nano-composite Hollow Fiber Membrane Using Hydrophilic Polymer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8 no.5, 2018년, pp.361 - 367  

박철오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  임지원 (한남대학교 화공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한 저압용 나노복합막을 제조하였다.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을 layer-by-layer 및 염석 효과 방식으로 지지체막에 코팅하였다. 막의 투과도와 염 배제율 성능을 알아보고자 NaCl, $MgCl_2$, $CaSO_4$ 100 mg/L수용액을 1 L/min의 유량으로, 2 bar의 압력을 상온에서 가해주었다. 20,000 ppm의 PSSA (이온세기 1.0)용액에 3분, 30,000 ppm (이온세기 0.1)용액에 1분 코팅한 막이 가장 우수하였다. 투과도와 염 배제율은 NaCl 공급액에서는 38.5 LMH, 57.1%, $MgCl_2$는 37.9 LMH, 90.2%, $CaSO_4$는 32.4 LMH, 54.6%로 각각 측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nanofiltration (NF) composite membranes for the low pressure use were prepared using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hollow fiber membrane as a supporter. Poly styrene sulfonic acid (PSSA) and polyethyleneimine (PEI) were coated onto the PVDF membrane by both layer-by-layer and s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VDF 중공사막을 지지체로 하여 친수화 고분자를 사용, Layer-by-Layer 코팅법을 통하여 nano- filtration 공정에 적용할 복합막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우선 1차로 PSSA 용액을 이온세기, 코팅시간, 농도를 달리하여 코팅하였으며, 2차로는 PEI 용액을 농도, 코팅시간을 달리하여 코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 분리 기술이란 무엇인가? 막 분리 기술은 효율이 높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여 저 에너지 공정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수처리 분야에서 현재 필드에서 적용되어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1-2].
나노여과막의 특징은 무엇인가? 막 은 정밀여과막, 한외여과막, 나노여과막, 역삼투막과 같은 기공사이즈에 따라 혹은 중공사막, 평막과 같이 막의 형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기공사이즈에 따른 분류에서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은 높은 염 배제율과 투과도를 지녔으며 다가이온과 저분자량의 유기물 등을 분리할 수 있어 담수화 전처리 혹은 상수처리 등에 이용될 수 있다[3-5]. 이러한 나노여과막을 제조하기 위해서 지지체막 위에 고분자를 이용하여 선택층을 형성 시키는 방법이 있다.
나노여과막을 지지체막 위에 고분자를 이용하여 선택층을 형성 시킬 때,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나노여과막을 제조하기 위해서 지지체막 위에 고분자를 이용하여 선택층을 형성 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는 낮은 투과량을 개선하며 고분자의 종류에 따라 내 화학성 혹은 기계적 강도, 열 내구성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지지체막 위에 선택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layer-by-layer (lbl), 계면중합법, 침지법, 저온플라즈마중합법, 기상증착법 등이 있다[6-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 M. Penderpast and E. M. V. Hoek, "A review of water treatment membrane nanotechnologies", Energy. Environ. Sci., 4, 1946 (2011). 

  2. G. Ciardelli, L. Corsi, and M. Marcucci, "Membrane separation for wastewater reuse in the textile industry", Resour. Conserv. Recycl., 31, 189 (2001). 

  3. J. Radjenovic, M. Petrovic, F. Ventura, and D. Barcelo, "Rejection of pharmaceuticals in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drinking water treatment", Water Res., 42, 3601 (2008). 

  4. N. Hilal, H. Al-Zoubi, N. A. Darwish, A. W. Mohamma, and M. Abu Arabi, "A comprehensive review of nanofiltration membranes: Treatment, pretreatment, modelling, and atomic force microscopy", Desalination, 170, 281 (2004). 

  5. P. Berg, G. Hagmeyer, and R. Gimbel, "Removal of pesticides and other micropollutants by nanofiltration", Desalination, 113, 208 (1997). 

  6. L. Linahao, W. Baoguo, T. Huimin, C. Tianlu, and X. Jiping, "A novel nanofiltration membrane prepared with PAMAM and TMC by in situ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PEK-C ultrafiltration membrane", J. Membr. Sci., 269, 84 (2006). 

  7. W. Jin, A. Toutianoush, and B. Tieke, "Use of polyelectrolyte layer-by-layer assemblies as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s", Lanmuir, 19, 2550 (2003). 

  8. J. Kong, and K. Li, "Preparation of PVDF hollow-fiber membranes via immersion precipitation", J. Appl. Polym. Sci., 81, 1642 (2001). 

  9. P. W. Kramer, Y. S. Yeh, and H. Yasuda, "Low temperature plasma for the preparation of separation membranes", J. Membr. Sci. 46, 1 (1989). 

  10. G. Xomeritakis and Y. S. Lin, "Fabrication of a thin palladium membrane supported in a porous ceramic substrate by chemical vapor deposition", J. Membr. Sci., 120, 261 (1996). 

  11. P. T. Hammond, "Form and Function in Multilayer Assembly: New Applications at the Nanoscale", Adv. Mater., 16, 1271 (2004). 

  12. A. L. Rogach, D. S. Koktysh, M. Harrison, and N. A. Kotov, "Layer-by-layer assembled films of HgTe nanocrystals with strong infrared emission", Chem. Mater., 12, 1526 (2000). 

  13. Y. S. Jeon and J. W. Rhim, "Composite membrane preparation for low pressure using salting-out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nanofiltration process", Membr. J., 25, 440 (2015). 

  14. E. Allemann, R. Gurny, and E. Doelker, "Preparation of aqueous polymeric nanodispersions by a reversible salting-out process: influence of process parameters on particle size", Int. J. Pharm., 87, 247 (1992). 

  15. H. L. Chen, Y. S. Chen, and R. S. Juang, "Recovery of surfactin from fermentation broths by a hybrid salting-out and membrane filtration process", Sep. Purif. Technol., 59, 244 (2008). 

  16. E. H. Cho and J. W. Rhim. "Preparation of a new charged nanofiltration membrane based on polyelectrolyte complex by forced fouling induction for a household water purifier", Macrom. Res., 23, 183 (2015). 

  17. D. H. Shin, S. I. Cheong, and J. W. Rhim, "Ions removal of contaminated water with radioactive ions by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Membr. J., 26, 401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