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평가에서 자기보고용 강점난점척도와 MMPI-A의 상호보완성 : 예비연구
Complementarity between SDQ-SR and MMPI-A in Assessing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 : 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1, 2018년, pp.9 - 18  

신교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안정숙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임지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진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는 겉으로 표출되지 않으므로 의료서비스 이용을 결정하는 부모나 교사가 그 증상을 인지하기 어렵고 청소년 자신도 정신의학적 개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치료 기회를 놓치기 쉽다. 본 연구는 내재화장애 청소년의 정신병리를 자기보고식 강점난점설문지(SDQ-SR)와 MMPI-A를 사용하여 조사하고, 이 두 검사도구가 내재화장애를 진단평가하는데 상호보완성이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청소년 외래환자(13~17세) 91명을 임상진단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내재화장애집단 44명과 그 외 임상진단을 가진 비교집단 47명이 완성한 SDQ-SR과 MMPI-A 자료가 내재화장애 진단을 어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SDQ-SR의 정서증상 소척도가 1점 상승할 때 내재화장애의 진단예측력은 2.27배 증가하였다. 또한 ROC 곡선분석에서, SDQ-SR 정서장애 소척도의 절단점수를 4점으로 했을 때 내재화장애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88.94와 78.72로 나타났다. MMPI-A에서는 A-anx 절단점수가 56이었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7.27과 74.47이었다. 그러나 이 두 검사도구 소척도들의 어떠한 조합도 SDQ-SR 정서증상 소척도가 갖는 진단예측력을 더 높이지는 못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재화장애를 진단하는데 SDQ-SR의 정서증상과 MMPI-A의 A-anx, A-aln, A 및 INTR가 중요한 소척도임을 알 수 있었으나 이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정상대조군을 포함한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sychopathology in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disorder using the self-report version of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SR)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s (MMPI-A), and to explore th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부합하려면 일차 선별검사와이차 심리평가에 이어, 삼차 직접면담을 통해 임상진단을 확정하는 순서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예비조사로서, 소아정신과 외래에서 진료한 내재화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SDQ-SR와 MMPI-A 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내재화장애의 임상진단에 선별검사도구인 SDQ-SR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덧붙여 심리평가도구인 MMPI-A가 SDQ-SR를 보완하여 진단예측력을 높이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SDQ-SR을 시행하여 내재화장애 청소년들의 정신병리를 조사하고, 이에 MMPI-A 결과를 부가하여 내재화장애 특성과 진단을 명료화, 구체화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내재화장애 진단에서 SDQ-SR의 정서증상척도와 함께 MMPI-A의 임상척도 Hs, Pd, Pa, Pt, Sc, Si와 내용척도 A-anx, A-dep, A-hea, A-aln, 그리고 보충척도 A, 성격 병리 5요인척도 INTR가 높게 나타났다.
  • 저자들은 청소년의 내재화증상을 학교 또는 지역사회에서 대규모로 평가하는데 적합한 일차 선별검사도구와, 위험군으로 선별된 청소년 중에서 정신건강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한 고위험군 청소년을 선정하는데 적합한 이차 심리평가도구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연계와 서비스이용률을 높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 선별검사는 SDQ-SR을, 이차 심리평가는 MMPI-A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DQ-SR은 어떤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가? 10-12) SDQ-SR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통계편람(DSM)과 국제질병통계분류(ICD)의 진단기준에 맞춘 문항들로 이루어져AMPQ-II에 비해 문항수가 적으면서도 임상증상의 진단적 초점이 분명하다.13) 이러한 장점 때문에 SDQ-SR은 지역사회에서 정신의학적 치료개입이 필요한 청소년을 가려내는 일차목적을 넘어서 소아정신과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임상에서도 그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14)
SDQ-SR의 장점은 무엇인가? 9) 한편, 외국에서는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의 정신병리 선별도구로 자기보고용 강점난점설문지(Self-Reported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SR)가 널리 사용된다.10-12) SDQ-SR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진단통계편람(DSM)과 국제질병통계분류(ICD)의 진단기준에 맞춘 문항들로 이루어져AMPQ-II에 비해 문항수가 적으면서도 임상증상의 진단적 초점이 분명하다.13) 이러한 장점 때문에 SDQ-SR은 지역사회에서 정신의학적 치료개입이 필요한 청소년을 가려내는 일차목적을 넘어서 소아정신과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임상에서도 그 적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청소년용 MMPI-A는 MMPI-2의 어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었는가? MMPI-2는 일반적 성격특성과 정신병리적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심리평가이나 청소년들에게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항들이 있고, 가족이나 학교에서의 문제, 또래집단과의 문제 등 청소년기의 특성이 포함되지 않아 청소년 고유의 문제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청소년은 증상을 극단적이거나 과장하여 반응하는 경향이 있으며, 일부 청소년은 소외감이나 정체감 혼란을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F척도의 T점수(표준점수)가 성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16)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청소년용 MMPI-A가 1992년에 개발되었고 한국어판은 2005년에 번역출판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HO. Adolescents and Mental Health. Available at: http://www.who.int/maternal_child_adolescent/topics/adolescence/mental_health/en. Accessed Sep 01, 2017. 

  2. Adelman HS, Taylor L. Mental health in schools and public health. Public Health Rep 2006;121:294-298. 

  3. Kim NH, Lim KY, Chung YK, Noh JS, Kim HS, Shin KM, Shin YM.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o- 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need and us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409-415. 

  4. Meltzer H, Gatward R, Goodman R, Ford T. Mental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eat Britain. Int Rev Psychiatry 2003;15:185-187. 

  5. Sawyer MG, Arney FM, Baghurst PA, Clark JJ, Graetz BW, Kosky RJ, Nurcombe B, Patton GC, Prior MR, Raphael B. The mental health of young people in Australia: key fndings from the child and adolescent component of the national survey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Aust N Z J Psychiatry 2001;35:806-814. 

  6. Seoul Child Adolescent Mental Health. Report on the Prevalence Rate of Pediatric Mental Disorders in Seoul, 2005. Available at: http://childyouth.blutouch.net/contents/body.asp 

  7. Zwaanswijk M, Verhaak PF, Bensing JM, Van der Ende J, Verhulst FC. Help seeking for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3;12:153-161. 

  8. Kim NH, Lim KY, Chung YK, Noh JS, Kim HS, Shin KM, Shin YM.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mo- tional an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ived need and us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s in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2;51:409-415. 

  9. Bhang SY, Yoo HI, Kim JH, Kim BS, Bahn GH, Ahn DH, Suh DS, Cho SC, Hwang JW, Lee YS. Revision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 tionnaire: Development of Adolescent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II. J Korean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1;22:271-286. 

  10. Goodman R, Ford T, Simmons H, Gatward R, Meltzer H. Using the Strengths and Diffculties Questionnaire (SDQ) to screen for child psychiatric disorders in a community sample. Int Rev Psychiatry 2003;15:166-172. 

  11. Svedin CG, Priebe 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as a screening instrument in a community sample of high school seniors in Sweden. Nord J Psychiatry 2008;62:225-232. 

  12. He JP, Burstein M, Schmitz A, Merikangas KR. The Strengths and Diffculties Questionnaire (SDQ): the factor structure and scale validation in U.S. adolescents. J Abnorm Child Psychol 2013;41:583-595. 

  13. Goodman R, Meltzer H, Bailey V. The strengths and diffculties questionnaire: a pilot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self- report version. Int Rev Psychiatry 2003;15:173-177. 

  14. Roongpraiwan R, Efron D, Sewell J, Mathai J. Comparison of mental health symptoms between children attending developmental/behavioural paediatric clinics and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 J Paediatr Child Health 2007;43:122-126. 

  15. Hathaway SR, McKinley JC.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anual.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ata Press;1983. 

  16. Butcher JN, Williams CL, Graham JR, Archer RP, Tellegen A, Ben-Porath YS, Kaemmer B.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1992. 

  17. Handel RW, Archer RP, Elkins DE, Mason JA, Simonds-Bisbee EC.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innesota Multi- phasic Personality Inventory-Adolescent (MMPI-A) clinical, content, and supplementary scales in a forensic sample. J Pers Assess 2011; 93:566-581. 

  18. Choi HJ, Park KH. An Investigation into psychological typology and gender differences in adolescent delinquency using MMPI-A profle patterns. Studies on Korean Youth 2012; 23:175-199. 

  19. Kim JS, Han KH, Lim JY, Lee JY, Min BB, Moon KJ. Korean MMPI-2 user manual. Seoul, Korea: Maumsarang; 2005. 

  20. Achenbach TM, Edelbrock CS. The classifcation of child psychopathology: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efforts. Psychol Bull 1978;85:1275-1301. 

  21. Kim MH, Ahn JS, Min S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elf-report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in Korea. Psychiatry Investig 2015;12:491-499. 

  22. Vostanis P. Strengths and Diffculties Questionnaire: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Curr Opin Psychiatry 2006 Jul;19: 367-372. 

  23. Sperandei S. Understand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iochemia Medica 2014;24:12-18. 

  24. Archer R. MMPI-A: Assessing adolescent psychopatholog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1997. 

  25. Lim JY. A study on the utility of the Korean MMPI-A in ado- lescent psychological assessment. Stud Korean Youth 2008; 19:193-213. 

  26. Goodman A, Lamping DL, Ploubidis GB. When to use broader internalising and externalising subscales instead of the hypothesised fve subscales on the Strengths and Diffculties Questionnaire (SDQ): data from British parents, teachers and children. J Abnorm Child Psychol 2010;38:1179-1191. 

  27. Lee SA, Kim KH, Yook KH. Utility of K-CBCL and MMPI- A in evaluation and diagnosis of adolescents with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disorders. Korean J Clin Psychol 2012;31:391-399. 

  28. Lewinsohn PM, Hops H, Roberts RE, Seeley JR, Andrews JA. Adolescent psychopathology: I.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pression and other DSM-III-R disorders in high school students. J. Abnorm. Psychol 1993;102:133-144. 

  29. Bagby RM, Marshall MB, Basso MR, Nicholson RA, Bacchiochi J, Miller LS. Distinguishing bipolar depression, major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with the MMPI-2 clinical and content scales. J Pers Assess 2005;84:89-95. 

  30. Lim J, Han K. Use of the MMPI-A with Korean psychiatric adolescent sample: Preliminary investigation. Korean J Clin Psychol 2004;23:755-769. 

  31. Kopper BA, Osman A, Osman JR, Hoffman J. Clinical utility of the MMPI-A content scales and Harris-Lingoes subscales in the assessment of suicidal risk factors in psychiatric adolescents. J Clin Psychol 1998;54:191-200. 

  32. Stokes J, Pogge D, Sarnicola J, McGrath R. Correlates of the MMPI-A Psychopathology Five (PSY-5) facet scales in an adolescent inpatient sample. J Pers Assess 2009;91:48-57. 

  33. Goodman R, Ford T, Corbin T, Meltzer H. Usin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 multi-informant algorithm to screen looked after children for psychiatric disorder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4;13:25-31. 

  34. Archer RP. Future directions for the MMPI-A: research and clinical issues. J Pers Assess 1997;68:95-109. 

  35. Rinaldo JCB, Baer RA. Incremental validity of the MMPI- A content scales in the prediction of self-reported symptoms. J Pers Assess 2003;80:309-318. 

  36. Rubio-Stipec M, Fitzmaurice G, Murphy J, Walker A. The use of multiple informants in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of depressive and disruptive disorder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03;38:5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