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Longitudinal Influence of Chronic Intimate Partner Violence on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Married Woman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2, 2020년, pp.108 - 115  

박혜인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진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한재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성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기혼 여성에서 만성적인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매년 조사된 설문을 이용하여 언어폭력 및 신체폭력이 우울증상 및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이, 교육수준, 경제수준, 음주, 종교, 만성질환,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관계 만족도 등을 공변량으로 하였다. 결 과 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180배, 자살사고를 1.276배 높였으며 이는 우울증상의 영향을 보정해도 유의하였다. 반면, 5년 간의 신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486배, 자살사고를 1.362배 높였으며 우울증상의 영향을 배제하였을 때는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 론 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IPV가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을 때 우울증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자살 사고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면 IPV를 경험한 여성에 대한 정신과적 개입이 자살률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looked at the effects of chronic IPV on suicide ideation among married women in the country. Methods :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five-year-old Korea Welfare Panel and analyzed using questions about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at were i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년간의 누적된 언어폭력이 이전에는 자살 사고가 없었던 여성에게 정서적, 인지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주며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하게 한다. 이전의 연구들을 토대로 만성적인 IPV가 피해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여러 방면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 연구에서는 IPV가 수년간 축적이 된다면 자살사고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IPV의 노출지수가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높아지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언어폭력과 신체폭력을 구분해서 분석하여 우울증상을 매개하지 않더라도 누적된 IPV가 단독으로 자살사고를 높이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 본 연구에서는 5년간의 IPV의 노출이 자살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5년 간의 언어폭력 노출지수는 우울을 1.

가설 설정

  • 29)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는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무력감은 크게 영향이 없었으며, 우울증이 정서적 폭력과 자살 사고의 연관성을 매개하였다.30)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연구결과들과 다르게 우울 증상을 매개하지 않고서도 IPV 자체가 자살 사고에 영향을 주었다. 이는 기존의 정신병력 및 우울증상이 없는 여성의 경우에도 만성적인 IPV를 경험하면 자살 사고가 높아지므로 IPV를 경험한 피해 여성에 대한 개입이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 근거이다.
  • 장기간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연구에서는 IPV가 수년간 축적이 된다면 자살사고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하였으며, IPV의 노출지수가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높아지는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언어폭력과 신체폭력을 구분해서 분석하여 우울증상을 매개하지 않더라도 누적된 IPV가 단독으로 자살사고를 높이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elitti VJ, Anda RF, Nordenberg D, Williamson DF, Spitz AM, Edwards V, Koss MP, Marks JS. Relationship of childhood abuse and household dysfunction to many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adults.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Study. Am J Prev Med 1998;14:245-258. 

  2. Anda RF, Butchart A, Felitti VJ, Brown DW. Building a framework for global surveillance of the public health implication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 J Prev Med 2010; 39:93-98. 

  3. Gilbert LK, Breiding MJ, Merrick MT, Thompson WW, Ford DC, Dhingra SS, Parks SE. Childhood adversity and adult chronic disease: an update from ten states and the District of Columbia, 2010. Am J Prev Med 2015;48:345-349. 

  4. Kerker BD, Zhang J, Nadeem E, Stein RE, Hurlburt MS, Heneghan A, Landsverk J, McCue Horwitz S.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chronic medic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Acad Pediatr 2015; 15:510-517. 

  5. World Health Organization & Pan American Health Organization.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violence against women: Intimate partner violence [homepage on the Internet].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cited 2020 Mar 1]. Available from: https://apps.who.int/iris/handle/10665/77432. 

  6. Kim JY, Oh S, Nam SI. Prevalence and trends in domestic violence in South Korea: findings from national surveys. J Interpers Violence 2016;31:1554-1576. 

  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The Domestic Violence Survey in 2016 [homepage on the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2016 [cited 2020 Mar 1].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eng/lw/eng_lw_s001d.do;jsessionid0clX9842uW0ZYIb8TD9Kyjmg.mogef20?mideng003&bbtSn704933. 

  8. Golding JM. 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risk factor for mental disorders: a meta-analysis. J Fam Violence 1999;14:99-132. 

  9. Dienemann J, Boyle E, Baker D, Resnick W, Wiederhorn N, Campbell J. Intimate partner abuse among women diagnosed with depression. Issues Ment Health Nurs 2000;21: 499-513. 

  10. Devries K, Watts C, Yoshihama M, Kiss L, Schraiber LB, Deyessa N, Heise L, Durand J, Mbwambo J, Jansen H, Berhane Y, Ellsberg M, Garcia-Moreno C, Team WMS. Violence against wome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uicide attempts: evidence from the WHO multi-country study on women's health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Soc Sci Med 2011;73:79-86. 

  11. Devries KM, Mak JY, Bacchus LJ, Child JC, Falder G, Petzold M, Astbury J, Watts CH.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incident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attempts: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PLoS Med 2013;10: e1001439. 

  12. Seedat S, Stein MB, Forde DR.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partner violence, posttraumatic stress, childhood trauma, and suicide attempts in a community sample of women. Violence Vict 2005;20:87-98. 

  13. Cavanaugh CE, Messing JT, Del-Colle M, O'Sullivan C, Campbell JC.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uicidal behavior among adult female victim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Suicide Life Threat Behav 2011;41:372-383. 

  14. Leiner AS, Compton MT, Houry D, Kaslow NJ. Intimate partner violence, psychological distress, and suicidality: A path model using data from African American women seeking care in an urban emergency department. J Fam Violence 2008; 23:473-481. 

  15. Hoe MS, Park BS, Bae SW.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11-item Korean Version CES-D Scale.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5;43:313-339. 

  16. Vilagut G, Forero CG, Barbaglia G, Alonso J. Screening for depression in the general population with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PLoS One 2016;11:e0155431. 

  17. Park GR, Park EJ, Jun J, Kim NS. Association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 married women. Public Health 2017;152:86-94. 

  18. Karl A, Schaefer M, Malta LS, Dorfel D, Rohleder N, Werner A. A meta-analysis of structural brain abnormalities in PTSD. Neurosci Biobehav Rev 2006;30:1004-1031. 

  19. Woon FL, Sood S, Hedges DW. Hippocampal volume deficits associated with exposure to psychological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ults: a meta-analysi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0;34:1181-1188. 

  20. Ehring T, Quack 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in trauma survivors: the role of trauma type and PTSD symptom severity. Behav Ther 2010;41:587-598. 

  21. Hayes JP, Vanelzakker MB, Shin LM. Emotion and cognition interactions in PTSD: a review of neurocognitive and neuroimaging studies. Front Integr Neurosci 2012;6:89. 

  22. Wong JY, Fong DY, Lai V, Tiwari A. Bridg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the human brain: a literature review. Trauma Violence Abuse 2014;15:22-33. 

  23. Van Heeringen K, Mann JJ. The neurobiology of suicide. Lancet Psychiatry 2014;1:63-72. 

  24. Dutton MA, Goodman LA. Coercion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toward a new conceptualization. Sex Roles 2005;52:743-756. 

  25. Johnson MP, Ferraro KJ. Research on domestic violence in the 1990s: making distinctions. J Marriage Fam 2000;62:948-963. 

  26. Wolford-Clevenger C, Grigorian H, Brem M, Florimbio A, Elmquist J, Stuart GL. Associations of emotional abuse types with suicide ideation among dating couples. J Aggress Maltreat Trauma 2017;26:1042-1054. 

  27. Stark E, Flitcraft A. Killing the beast within: woman battering and female suicidality. Int J Health Serv 1995;25:43-64. 

  28. Khalifeh H, Gram S, Trevillion K, Johnson S, Howard LM. Recent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findings from a national cross-sectional survey. Br J Psychiatry 2015;207:207-212. 

  29. Thompson MP, Kaslow NJ, Kingree JB.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among African American women experiencing recent intimate partner violence. Violence Vict 2002;17: 283-295. 

  30. Wolford-Clevenger C, Smith PN.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s of suicide attempt history and psychiatric symptoms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suicide ideation. Pers Individ Dif 2017;106: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