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of Firefighter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6 no.1, 2018년, pp.19 - 25  

오진욱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고미애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후림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홍민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우정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소방공무원은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해 충격적인 사건에의 잦은 노출, 업무 시 높은 긴장감, 교대근무 등을 경험하게 되며, 불면을 호소하는 비율도 일반 인구에 비해 높은 편이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은 개인적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국민의 안전을 위한 업무수행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 및 경기 지역 3개 소방서에 120부의 설문조사지를 인편으로 전달 후, 서면 동의를 받고 설문을 시행했으며, 93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 흡연 여부, 교대근무,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과적 치료 과거력 등을 조사했으며 수면의 질, 우울감, 불안감, 충격적인 외상의 경험 및 직무 관련 스트레스에 대해 자가보고식 설문을 시행하였다. 수면의 질에 따라 소방공무원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서 조사된 각 변수들을 비교하고, 그 결과에 따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수면의 질이 불량한 군에서 현재 알코올 사용, 우울감, 불안감 및 충격적인 사건의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다변량분석을 통해 현재 알코올 사용이 수면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소로 나타났다(Crude odds ratio=3.707, 95% confidence interval=1.288-10.672, p=0.015 ; Adjusted odds ratio=3.288, 95% confidence interval=1.011-10.694, p=0.048). 결 론 알코올 사용, 우울감, 불안감, 충격적인 사건의 경험이 수면의 질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별적 연관이 있는 요인들을 함께 고려했을 때 현재 알코올 사용 여부가 수면에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알코올 사용에 대한 평가,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에 대한 교육, 알코올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Firefighters frequently experience traumatic events, high-tension situations and shift work. Therefore, the prevalence of insomnia of firefighters is higher than one of general population. Not only does the quality of sleep affect the satisfaction of personal life, but it also influen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울감, 불안감, 충격적인 사건의 경험, 알코올 사용이 수면의 질과 각각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현재 알코올 사용 여부가 수면에 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업무 특성상 그들의 수면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우울감, 불안감, 충격적인 사건의 경험, 직무관련 스트레스, 교대 근무, 알코올 사용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 15) 이처럼 각각의 심리사회적 요소는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위의 요소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을 함께 고려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직업 특성상 자주 겪게 되는 충격적인 외상의 경험과 우울감 및 불안감 등의 심리적 요소와 직무관련 스트레스 등의 사회적 요소 등을 파악 하여 수면의 질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향후 종단적 연구 등을 통해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과 알코올 사용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겠다. 둘째, 유효성이 입증된 자가 보고척도를 사용했지만, 척도에 대한 개인별 이해도에 따라 동일문항을 해석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개인의 성향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이다. IESR-K 척도 점수의 경우 다른 국내 소방공무원의 연구결과40)에 비해 비슷하거나 낮게 나온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평균 근무 기간, 근무 파트, 그리고 회복탄력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 알코올 사용 문제를 다루는 개입 등이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은 개인적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국민의 안전을 위한 업무수행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소방공무원의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소방공무원 대상으로 알코올 사용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알코올 사용으로 인한 수면의 질 저하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실시, 알코올 사용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이 일반 인구에 비해 불면 비율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구조, 구급, 화재 등의 긴박한 현장에서는, 소방공무원의 체력, 순간집중력, 판단력 등이 업무수행에 있어 중요하며, 적절한 휴식과 수면을 통해 업무수행능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공무원은 업무의 특수성으로 인해, 충격적인 사건에의 잦은 노출, 업무 시 높은 긴장감, 교대근무 등을 경험하게 되며, 불면을 호소하는 비율도 일반 인구에 비해 높은 편이다. 예를 들어, 미국 주요 대도시의 소방공무원 중 59%는 수면장애로 고통 받고 있으며,1) 브라질2)과 이란3)의 연구에서도 각각 51%와 70%의 소방공무원이 수면장애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들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는 대신 알코올 의존성향이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방공무원과 비슷하게 외상의 경험에 빈번히 노출되는 군인에 대한 연구 34) 에서 일반인보다 알코올 의존성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환자에서도 알코올 사용이 일반 인구 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소방공무원들에게 우울 및 수면장애 등 증상이 있을 경우 정신 건강의학과를 방문하는 것에 대한 스티그마(stigma)나 신분 상의 불이익에 대한 우려로 인해,37) 병원을 찾기보다는 알코올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또 다른 소방공무원 연구에서도 수면장애 및 폭음 증상이 우울, 불안 등보다 빈번 하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수면위생, 수면습관, 교대근무 등의 근무 스케줄,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 등이 있으며, 정신과적 질환, 특히, 기분장애, 불안 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알코올 사용장애 등도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수면부족은 단기적으로 주의력 저하, 단기기억력의 저하, 반응시간의 저하 및 기분 변화 등을 유발할 수 있고,4) 만성화될 경우, 심혈관기능,5-9) 면역기능10,11) 및 위장관기능의 저하 또는 비만12)도 일으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arey MG, Al-Zaiti SS, Dean GE, Sessanna L, Finnell DS. Sleep problems, depression, substance use, social bonding, and quality of life in professional firefighters. J Occup Environ Med 2011;53:928-933. 

  2. Vargas de Barros V, Martins LF, Saitz R, Bastos RR, Ronazni TM. Mental health conditions,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and sleep disturbances among frefghters. J Health Psychol 2013;18:350-358. 

  3. Mehrdad R, Haghighi KS, Esfahani AH. Sleep quality of professional frefghters. Int J Prev Med 2013;4:1095-1100. 

  4. Bonnet MH, Arand DL. Clinical effects of sleep fragmentation versus sleep deprivation. Sleep Med Rev 2003;7:297-310. 

  5. Akerstedt T, Knutsson A, Alfredsson L, Theorell T. Shift work and cardiovascular disea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4;10:409-414. 

  6. Costa G. The impact of shift and night work on health. Appl Ergon 1996;27:9-16. 

  7. Fung MM, Peters K, Redline S, Ziegler MG, Ancoli-Rsrael S, Barrett-Connor E, Stone KL. Decreased slow wave sleep increases risk of developing hypertension in elderly men. Hypertension 2011;58:596-603. 

  8. Luyster FS, Strollo PJ Jr, Zee PC, Walsh JK. Sleep: a health imperative. Sleep 2012;35:727-734. 

  9. Redeker NS, Stein S. Characteristics of sleep in patients with stable heart failure versus a comparison group. Heart Lung 2006;35:252-261. 

  10. Majde JA, Krueger JM. Links between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sleep. J Allergy Clin Immunol 2005;116:1188-1198. 

  11. Mohren DC, Jansen NW, Kant IJ, Galama J, van den Brandt PA, Swaen GM. Prevalence of common infections among employees in different work schedules. J Occup Environ Med 2002;44:1003-1011. 

  12. Knuston KL, Van Cauter E. Associations between sleep los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and diabetes. Ann N Y Acad Sci 2008;1129:287-304. 

  13. Melamed S, Oksenberg A.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risk of occupational injuries in non-shift daytime workers. Sleep 2002;25:315-322. 

  14. Kim KH, Kim JW, Kim SH. Infuences of job stressors on psychosocial well-being, fatigue and sleep suffciency among fref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18:232-245. 

  15. Yun JA, Choi KS, Ahn Y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sleep quality in Korean frefghters. Clin Psychopharmacol Neurosci 2015;13:201-208. 

  16. Carpenter JS, Andrykowski M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J Psychosom Res 1998; 45:5-13. 

  17. Buysse DJ, Reynold CF 3rd,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rty Res 1989;28: 193-213. 

  18. Sho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Breath 2012;16:803-812. 

  19. Beck SL, Schwartz AL, Towsley G, Dudley W, Barsevick A.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 cancer patients. J Pain Symptom Manage 2004;27:140-148. 

  20. Park KM, Kim WJ, Choi EC, An SK,1 Nam KK, Youm YS, Kim HC, Lee E. Prediction of sleep disturbances in Korean rural elderly through longitudinal follow up. Sleep Med Psychophy 2017;24:38-45. 

  21. Lim SY, Lee EJ, Jeong SW, Kim HC, Jeong CH, Jeon TY, Yi MS, Kim JM, Jo HJ, Kim JB. The valid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Scale 2 in Korean version. Anx Mood 2011; 7:48-53. 

  22. Beck AT, Steer RA. Internal consistencies of the original and revised Beck Depression Inventory. J Clin Psychol 1984;40: 1365-1367. 

  23. Beck AT, Steer RA, Ball R, Ranieri W. Comparis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ies-IA and -II in psychiatric outpatients. J Pers Assess 1996;67:588-597. 

  24. Lee EH, Lee SJ, Hwang ST, Hong SH, Kim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among Korean adolescents. Psychiatry Investig 2017;14:30-36. 

  25.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RA.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893-897. 

  26. Lee HK, Lee EH, Hwang ST, Hong SH, Kim JH.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Beck Anxiety in the community- dwelling sample of Korean adults. Korean J Clin Psychol 2016;35:822-830. 

  27.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303-310. 

  28. Creamer M, Bell R, Failla S.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Behav Res Ther 2003;41:1489- 1496. 

  29.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Chung JJ, Cho JJ, Son M, Chae CH, Kim JW, Kim JI, Kim HS, Roh SC, Park JB, Woo JM, Kim SY, Kim JY, Ha M, Park J, Rhee KY, Kim HR, Kong JO, Kim IA, Kim JS, Park JH, Huyun SJ, Son DK.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5;17:297-317. 

  30. Fullerton CS, Ursano RJ, Wang L. Acute stress disorde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in disaster or rescue workers. Am J Psychiatry 2004;161:1370-1376. 

  31. Roehrs T, Roth T. Sleep, sleepiness, sleep disorders and alco- hol use and abuse. Sleep Med Rev 2001;5:287-297. 

  32. Graham K, Massak A, Demers A, Rehm J. Does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on depend on how they are measured? Alcohol Clin Exp Res 2007;31:78-88. 

  33. McFarlane AC. Epidemiological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TSD and alcohol abuse: the nature of the association. Addict Behav 1998;23:813-825. 

  34. Wilk JE, Blises PD, Kim PY, Thomas JL, McGurk D, Hoge CW. Relationship of combat experiences to alcohol mis- use among U.S soldiers returning from the Iraq war. Drug Alcohol Depend 2010;108:115-121. 

  35. Belleville G, Guay S, Marchand A. Impact of sleep distur- bances on PTSD symptoms and perceived health. J Nerv Ment Dis 2009:197;126-132. 

  36. Hartwell EE, Bujarski S, Glasner-Edwards S, Ray LA. The association of alcohol severity and sleep quality in problem drinkers. Alcohol Alcohol 2015;50:536-541. 

  37. Greene-Shortridge TM, Britt TW, Castro CA. The stigma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military. Mil Med 2007:172;157-161. 

  38. Lind MJ, Baylor A, Overstreet CM, Hawn SE, Rybarczyk BD, Kendler KS, Dick DM, Amstadter AB. Relationships between potentially traumatic event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PTSD and alcohol use disorder in a young adult sample. Sleep Med 2017;34:141-147. 

  39. Lusa S, Hakkanen M, Luukkonen R, Viikari-Juntura E. Perceived physical work capacity,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firefighters working during a strike. Work Stress 2002;16:264-274. 

  40. Baik JH, Jung YE, Chae JM, Myong JP, Yim HW, Chae JH. Effects of vicarious trauma on mental health in frefghters. Anx Mood 2010;6: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