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 분석
A Study about Library-Related Open Data through Public Data Portal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9 no.2, 2018년, pp.35 - 56  

조재인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현황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공개된 데이터의 수준과 공개 주체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주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키워드를 활용해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 주체가 공개한 데이터의 주제 군집과 중심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연구자료 등을 중심으로 4개의 주제군집이, 지방자치단체가 공개한 데이터로부터는 소장자료, 평생교육프로그램 등을 중심으로 8개의 주제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국가 및 공공기관이 공개한 데이터가 학교 및 공공도서관의 단순 현황을 주로 공개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공개 데이터보다 높은 활용도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library related data opened through public data portals, and analyzes how much data is being util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leasing organization, and open level.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ubject cluster of data and the centrality of data by perform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데이터의 공개 주체와 수준에 따라 활용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도서관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는 기관은 지방자치단체, 단위도서관, 그리고 국가 및 기타 공공기관으로 구성되고 있어 이들 주체가 각각 공개한 데이터의 활용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는지 살펴보았다. 한편 공개 수준은 ‘Five Stars of Linked Data’ 모델에 근거해 개별 데이터를 평가하였으며 그에 따라 다운로드 건수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개방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 현황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공개된 데이터의 수준과 공개주체에 따라 데이터의 활용 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의 공개 주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키워드를 활용해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 주체가 공개한 데이터의 주제 군집과 중심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 본다.
  • 본 연구는 도서관 관련 공공 데이터의 개방 및 활용에 관한 일반 현황을 살펴보고 데이터 수준과 공개 주체에 따라 활용 정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공개 주체의 유형에 따라 어떠한 주제적 특성의 데이터가 개방되고 있는지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 포털에 구축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일반 현황과 데이터의 주제 분포를 주로 분석하지만, 도서관 관련 데이터가 위의 ‘Five Stars of Linked Data’ 모델을 근간으로 한 행정자치부 고시를 어느 정도 준수하고 있으며, 공개 수준이 데이터 활용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여부도 살펴볼 것이다.
  • 또한 데이터의 공개 주체를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으로 구분하여 데이터에 부여된 키워드를 활용해 PathFinder Network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양 주체가 공개한 데이터의 주제 군집과 중심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 본다. 이를 기반으로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및 공공기관이공개한 도서관 관련 데이터의 주제적 실체를 이해하고 데이터 활용도와 연계 해석함으로써 우선적 개방 필요성이 있는 데이터 개방 주체를 파악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데이터 개방사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은? 지방자치단체나 단위도서관에서는 행정자치부의 정책에 의해 의무적으로 데이터 공개에 임하고 있으나 공공도서관의 경우 도서관 정보 나루를 통해서도 유사 데이터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개방 방식의 일원화, 효율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저조한 활용 실적 개선을 위해 민간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공공데이터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에 맞는 데이터를 우선적으로개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한편, 전국단위의 특화 데이터를 보유한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는 좀 더 적극적으로 민간의 수요가 높은 도서관 관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재활용이 용이한 오픈포멧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융합 컨텐츠 생산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신규아이디어 창출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공공데이터 개방이란? 공공데이터 개방이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이 보유 관리하는 공공데이터를 공중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개방, 제공하는 것이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의 정부에서는 데이터의 민주화, 민간과의 투명한 관계구축 및 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픈데이터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역시 데이터 개방에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국내의 도서관 관련 공공데이터 활용 현황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도서관 관련 공공데이터를 살펴봐도, 전체의 70%를 차지하는 지방자치단체와 단위도서관이 공개한 단순 도서관 현황 데이터의 평균 다운로드 횟수는 국가 및 공공기관이 개방한 전국단위 특화데이터에 비해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또한 다양한 활용 사례가 나타나고 있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도서관 빅데이터 사업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지방자치단체나 단위도서관이 공개한 단순 도서관 현황에 대한 데이터는 민간에게 그다지 매력적으로 다가가지 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ublic Data Strategy Committee. 2016. The 2nd ('17-'19) national key open data opening plan (draft). [online]. [cited 2018.1.17]. . 

  2. Congress News. 2016. Lee Jae-jung, "Opening and Utilizing Public Data, Only 5%." 11th July. [online]. [cited 2018.1.17]. . 

  3. Kim, H. S. and W. J. Kim. 2016.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ata opening in library sector and improvement plan."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Management Society, 77-80. 

  4. Kim, J. H. 2016. Service level assessment through public data portal analysis.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5. Digital Times. 2017. 2million public data open 'Government 3.0' resilient. February 1. [online]. [cited 2018.1.17]. . 

  6. Park, O. N. 2015. Public data opening status and review for qualitative growth. [online]. [cited 2018.1.15]. . 

  7. Sohn, J. Y. 2014. "Status and complement of public data opening policy." Issue and Point, 940. [online]. [cited 2018.5.19]. . 

  8. Yoo, J. Y. 2015. "International Open Data Status and Open Data Development Direction."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529-530. 

  9. Yoon, S. Y. 2013. "A study on national linking system implementation based on linked data for public data."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0(1): 259-284. 

  10. Lee, J. W. 2016. Analysis of trends in public data portals at domestic and overseas. [online]. [cited 2018.1.17]. . 

  11. Lee, J. Y. 2006. "A novel clustering method fo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holarly field."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3(4): 215-231. 

  12. Lee, J. Y. 2013. "A comparison study on the weighted network centrality measures of tnet and wnet."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0(4): 241-264. 

  13. Lee, H. J. and Y. J. Nam. 2014. "A study on revitalizing the use of korean public data: focused on linked open data strategy."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1(4): 249-266.. 

  14.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Open data platform and national data strategy direction." IT & Future Strategy, 16. [online]. [cited 2018.19]. . 

  15.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16.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ublic data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Notification No. 2016-42, Revised November 22, 2016). [online]. [cited 2018.1.19]. . 

  16. Hur, P. S., K. M. Park, W. S. Park, K. S. Cho, and W. Ryu. 2013. "The private market of public information and its effects." Analysis of Electronic Telecommunications Trends, 28(4): 118-131. 

  17. Alanazi, J. M. and A. T. Chatfield. 2012. "Sharing government-owned data with the public: A cross-country analysis of open data practice in the Middle East." AMCIS, 335-344. 

  18. Clabo, N. and I. Ramos-Vielba. 2015. "The re-use of open data in the Spanish public administration and the application of public copyright licenses." Revista Espanola de Documentacion Cientifica, 38(3). 

  19. Hadbolt, N. et al. 2012. "Linked open government data: lessons from data.gov.uk." IEEE Intelligent Systems, 27(3): 16-24. 

  20. Hardy, K and A. Maurushat. 2016. "Opening up government data for Big Data analysis and public benefit." Computer Law & Security Review, 33(1): 30-37. 

  21. Hendler, J., J . Holm, C. Musialek, and G. Thomas 2012. "US government linked open data: semantic.data.gov." IEEE Intelligent Systems, 27(3): 25-3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