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 시민참여형 데이터포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User Service in Open Data Portal - Focusing on Citizen Participation Data Portal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1, 2020년, pp.255 - 279  

한희정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황성욱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이정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오효정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공공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용자의 범위가 전문가부터 학생, 정부 관계자, 일반 시민까지 확대됨에 따라, 공공데이터포털의 역할도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포털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Data Repository)로서의 역할에 치우쳐 시민의 참여를 통한 데이터 활용을 높이는 데에는 다소 소홀하였다면, 현재는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이해·협업·공유 가치에 방점을 두는 추세이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데이터 포털은 시민의 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시민참여를 위한 주요 기능을 규명하고 현재 운영 중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개선방안 제시를 최종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시민참여를 위해 포털 서비스에서 제공되고 있는 기능들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이용자 서비스 유형을 도출한 후, 이를 기준으로 국내외 공공데이터포털 이용자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데이터포털이 제공하는 이용자 서비스의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한 후 시민참여를 위한 이용자 중심의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s the range of users utilizing open data has expanded from experts to students, and general citizens, the role of open data portals has changed. In the past, portals have neglected to increase data utilization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by focusing on the role of simple data repositor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민참여형 공공데이터포털이란 무엇인가? 시민참여형 공공데이터포털은 기존의 가용성 및 액세스에 중점을 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보편적 참여라는 특성을 강조하는 관점의 공공데이터포털이다. ‘공공데이터포털’은 공개 데이터 혁신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개념으로써 가용성 및 액세스(Availability and Access), 재사용 및 재배포(Reuse and Redistribution), 보편적 참여(Universal Participation)라는 특성을 가진다(M.
공공데이터포털의 이용자 서비스가 이용자와 정부 그리고 이용자 간에 협업·공유·활용 서비스를 구축하고 유지하게 하기 위해서 갖춰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공공데이터포털의 이용자 서비스의 핵심은 이용자와 정부 그리고 이용자 간에 협업·공유·활용 서비스를 구축하고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은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접근 및 탐색, 매시업(mashup), SNS(Social Network Service), 커뮤니티, 대시보드, 데이터 수정 및 편집 등의 기능을 갖춰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참여를 위한 공공데이터포털의 특징 및 기능을 고려하여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해야 하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유형을 데이터 접근, 활용 및 분석, 공유, 의사소통 서비스로 제안하며, 그 상세 내용은 <표 3>과 같다.
한국의 공공데이터포털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공공데이터포털(KR)’은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한 곳에서 제공하기 위한 통합 창구로서 현재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기타 공공기관, 민간을 통해 32,000종류의 데이터 셋을 개방하고 있다. ‘공공데이터포털(KR)’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민참여형 이용자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ct on Promotion of the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2017, No. 14839 

  2. Kim, Beom-soo and Woo-young Chang. 2018.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14 Cases of Online Based Citizen Participation Politics." East and West Studies, 30(1): 5-30. 

  3. NEWSJELLY. 2018. "The direction of data open with 10 best practices for using public data." newsjelly report. 

  4. U.S. Government's Open Data Portal Home Page. [cited 2020. 02. 19]. 

  5. Bae, Kwi-Hee and Seung-Hoo Lim.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Trust in Government on Formal Citizen Participation."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1(4): 1421-1449. 

  6. Seoul Open Data Portal Home Page. [cited 2020. 02. 19]. 

  7. Seo, Hyung-jun, Seung-hwan Myeong. 2014. "Policy Alternatives for User-oriented Public Data Utilization - Focusing on ICT Managers' Perception in Private Sect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3): 61-86. 

  8. Song, Hyo-jin and Sung-Soo Hwang. 2014. "Seeking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for Public Data Act."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2): 1-28. 

  9. 신승윤, 안선민, 김동욱. 2017. 연령별 온라인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 인터넷이용능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6(1), 287-318. 

  10.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2014). "Goverment 3.0 Guideline." 

  11. UK Government's Open Data Portal Home Page. [cited 2019. 02. 19]. 

  12. Yun, Sang-Oh and Ji-Woo Hyeon. 2019. "An Analysis of Open Data Policy in Korea: Focused on National Core Data in Open Data Portal." Korea Assocation for Public Management, 33(1): 219-247. 

  13. Yi, Hyun-Jung and Young-Joon Nam. 2014. "A study on the analysis about practicality after publishing Linked Open Data - focused on National bibliography and RISS."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Society, 8: 109-114. 

  14. Lim, Junwon and Gyunghyun Choi. 2017. "Public Value Generating Mechanisms using Open Data Pokicies."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6(1): 37-49. 

  15. KR Government's Open Data Portal Home Page. [cited 2020. 02. 19]. 

  16. Han, Eok-Soo. 2018. "A Study on Public Data Opening Status and Utilization Policy."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7-78. 

  17.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pen Data." [cited 2020. 02. 19]. 

  18. Carrara, W. et al. 2015. "Creating value through open data: Study on the impact of re-use of public data resources." European Commission. European Data Portal. 

  19. Creighton, J. L. 2005. "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Making Better Decisions Through Citizen Involvement," San Francisco: John Wiley & Soms. 

  20. Danneels. et al. 2017. "Open data platforms: discussing alternative knowledge epistemologi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4(3): 365-378. 

  21. Evans-Cowley, Jennifer. and Justin Hollander. 2010. "The New Generation of Public Participation: Internet-based Participation Tools." Planning Practice & Research, 25(3): 397-408. 

  22. Granickas, Karolis. 2013. "Understanding the impact of releasing and re-using Open Data." European Public Sector Information Platform Topic Report No. 2013/08. 

  23. Gurstein, M. 2013. "Should "Open Government Data" be a product or a service (and why does it matter)." Gurstein's Community Informatics, 3. 

  24. Janssen, Marijn. et al. 2012. "Benefits, Adoption Barriers and Myths of Open Data and Open Government." IS Management, 29(4): 258-268. 

  25. Kassen, Maxat. 2013. "A promising phenomenon of open data: A case study of the Chicago open data project."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0(4): 508-513. 

  26. Lourenco, R.P. 2015. "An analysis of open government portals: A perspective of transparency for accountability."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 323-332. 

  27. Sandoval-Almazan, Rodrigo. et al. 2012. "Open government 2.0: citizen empowerment through open data, web and mobile apps."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ory and Practice of Electronic Governance, 30-33. 

  28. Scaff, Lawrence. A. 1975. "Two Concepts of Political Participation." Western Political Quarterly, 28(3): 447-462. 

  29. Sieber, Renee. and Peter Johnson. 2015. "Civic open data at a crossroads: Dominant models and current challenge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2. 

  30. Sullivan, Brian L. et al. 2014. "The eBird enterprise : An integrated approach to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iological Conservation, 169: 31-40. 

  31. Themistocleous, Marinos. et al. 2012. "Location-based services for public policy making: The direct and indirect way to e-participation."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29(4): 269-283. 

  32. Tulloch. et al. 2013. "Realising the full potential of citizen science monitoring programs." Biological Conservation, 165: 128-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