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편집매장에 대한 인지, 태도 및 구매의도의 차이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Multi-Brand Stores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2 no.3, 2018년, pp.438 - 451  

최미화 (계명대학교 섬유패션학과) ,  박광희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aware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or multi-brand stores among fashion lifestyle group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2th and September 30th 2016 with women in their 20s to 4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usan, Gye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1. 20~40대 여성 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유형을 분류하고 집단특성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 4. 20~40대 여성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집단별 편집매장에 대한 구매의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20~40대 여성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집단별 편집매장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20~40대 여성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집단별 편집매장에 대한태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 이와 같이 패션라이프스타일이 의류상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기에 패션상품을 판매하는 편집매장에 대한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패션라이프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40대 여성 소비자들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소비자들을 세분화하여 세분화된 집단에 따른 편집매장에 대한 인지, 태도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편집매장 소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편집매장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40대 여성 소비자들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편집매장에 대한 인지, 태도 및 구매의도의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편집매장 이용자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연구결과를 확대해석하여 일반화시키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본 연구의 편집매장 선정은 의류와 신발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대표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이프스타일이란 무엇인가? 라이프스타일은 개인이 살아가는 방식으로 생활양식, 생활구조, 생활활동 등의 패턴화된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1960년대 초부터 소비자 행동 연구 및 마케팅 분야에 도입된 것으로 막스 베버(Max Weber)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최근 백화점 내 편집매장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편집매장 초기에는 고가의 해외 명품을 주로 판매하는 편집매장이 대부분이었으나 합리적인 가격의 캐주얼의류 매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백화점 내 편집매장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움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 및 개성 있는 편집매장 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의 성향이 변함에 따라 편집매장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선행연구는 마케팅 전략과 점포행 동에 관한 내용으로 제한되어 있어 실제 편집매장에 대 한인지도와편집매장소비자의 행동특성을파악하기위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패션추구집단이 가장 많은 정보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즉, 패션추구집단이 가 장 많은 정보원을 활용하여 편집매장을 알게 되었다는 것을의미한다. 이러한결과는활동적외모추구집단이광 고, 디스플레이, 타인의의복관찰을 통해 많은 정보를얻었다는 Choi et al.(2011)의 연구결과와 광고, 홍보 등을 통해 편집매장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 Lee and Jo(2007)의 견해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aker, D. A. (1995).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NY: Free Press. 

  2. Apparel News. (2014). 2014-2015 Korea fashion brand annual. Seoul: Author. 

  3. Bae, H. J., Kang, Y. J., Kim, D. O., & Chung, I. H. (2005). Lifestyle of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preference of casual wear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1), 86-100. 

  4. Chae, D. B. (2011). The effects of consumer perceived of specialty on repurchase intention of SPA brand.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5. Chae, J. M. (2015). The effect of perceived mobile commerce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according to consumer group based on fashion shopping orientation. Korea Science & Art Forum, 20, 441-453. doi:10.17548/ksaf.2015.06.20.441 

  6. Choi, E. Y., & Jean, K. R. (2000). A study on the ornaments wear of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life style and clothing behavior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9(1), 137-152. 

  7. Choi, K. A., Ko, M. K., & Chung, S. J. (2011). Middle aged women's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 (4), 385-395. doi:10.5850/JKSCT.2011.35.4.385 

  8. Chung, H. Y. (1995). Fashion lifestyle segmentation of college women's apparel market: Information sources-clothing benefits sought-store selection criteri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2), 393-408. 

  9. Engel, J. F., & Blackwell, R. D. (1982). Consumer behavior (4th ed.). Chicago, IL: Dryden Press. 

  10.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Fort Worth, TX: Dryden Press. 

  11. Eom, E. Y. (2015). The study on select shop directed current consumption trend - Focused on change of fashion life styl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12. Han, K. M., & Na, Y. J. (2003). Clothing-purchasing behavior and preferred sensation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of female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9/10), 1026-1035. 

  13. Hong, S. S. (2007).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of males based on the fashion life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29-44. 

  14. Jang, J. S. (2008). A effect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fashion lifestyle and star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Jeon, M. J., Oh, H. S., & Kim, J. W. (2012). A study on the outdoor wear evaluation criteria and purchase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5(3), 201-208. 

  16. Jung, S. Y. (2010). Effects of clothing consumers' lifestyles on eco-friendly buying behavior of fashion brands and merchandi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17. Kim, C. S., & Lee, J. (2007). A study on consumer behaviors by types of lifestyle for fashion market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1), 1500-1509. doi:10.5850/JKSCT.2007.31.11.1500 

  18. Kim, H. H., & Kim, Y. S. (2007). A study on the make-up benefits sought and attitud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s of silv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9), 136-148. 

  19. Kim, H. J. (2015). The effects of fashion select shop's VMD on the store loyal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40, 1-13. 

  20. Kim, H. J., Kim, M. S., & Yoo, D. K. (1995).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 apparel store choice-On fashion life-style, self-image, and situation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5), 774-789. 

  21. Kim, K. H. (2015). The effect of the congruity between selfimage and image of a multi-brand store on store attributes and consumer respon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Kim, N. (200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tishop in fusion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3. Kim, T. Y., Cho, A., & Lee, Y. J.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lothing purchasing motives of male consumers in multi-brand fashion sto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5), 743-754. doi:10.5850/JKSCT.2014.38.5.743 

  24. Kim, Y. S. (2009). A study on the perfume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men's fashion lifestyl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4), 933-944. doi:10.5934/KJHE.2009.18.4.933 

  25. Ko, E., & Mok, B. (2001). A study on the advertising effects by internet advertising types and fashion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7), 1258-1269. 

  26. Ko, S. J., & Koh, A. R. (2009). A study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as related to the fashion lifestyle of the new generation of Indian women living in Mumba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0), 1590-1600. doi:10.5850/JKSCT.2009.33.10.1590 

  27. Ku, Y. S., Park, H. H., & Lee, S. M. (2001). A study on infant's wear brand positioning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of miss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1(1), 49-59. 

  28. Kwon, K. D., Kim, S. H., & Lee, S. J.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relations between fashion life style & consumer behavior at decline stage of the fashion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2), 280-291. 

  29. Lee, K. (1992). The effect of social status variables on clothing attitudes and buying behavior of Korean homema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0. Lee, O. H. (2001). The effect of shopping attitude characteristics on clothing purchase attitudes utilized to CATV home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11), 145-160. 

  31. Lee, S. H., & Jo, S. (2007). The effects of multi-shop's store image on the store loyalty and brand switch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5(1), 51-61. 

  32. Lee, S. I., Park, H. J., & Chung, H. Y. (2004). The impact of TV-home shoppers' fashion-life style on fashion goods purchas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54-65. 

  33. Lim, J. W., Kim, J. I., Hong, S. T., & Yi, Y. (2006). Consumer behavior (3rd ed.). Seoul: Kyungmoom Publishers. 

  34. Park, K. H. (2014). Cognition, attitude and purchasing experience of SPA brands by types of fashion lifestyl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4), 604-613. doi:10.5805/ SFTI.2014.16.4.604 

  35. Park, K. J. (2009). The influence of corporate image and brand image on purchase intention by consumer trust and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won University, Seougnam. 

  36. Park, K. Y., & Yoo, T. S. (2000). A relationship with sports casualwear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and information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4), 103-115. 

  37. Park, Y. G. (2008). A study about the influence of brands' cognition on the intention of purchase of consumers - In the focus of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the internet searching behavior of low involvement goo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8. Shin, J. D., & Choi, J. (2008). Ornament wearing practice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4), 723-731. 

  39. Song, H. Y., Goo, Y. L., & Lee, J. H. (2008). Preference of neck-tie pattern designs according to male consumers' fashion life style.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4), 489-500. 

  40. Sproles, G. B. (1979). Fashion: Consumer behavior toward dress. Minneapolis,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41. Yu, E. J., & Ku, Y. S. (2002).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department store credit card users according to fashion life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4(1), 40-46. 

  42. Yun, S. H. (2012). Satisfac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and purchasing behaviour of women consumers for SPA brands cloth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