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위한 가정과 과정 중심 수행과제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centered Performance Task For Curriculum·Instruction·Assessment Alignment based on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4, 2018년, pp.165 - 185  

이경숙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  유태명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  양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실현하기 위한 가정과 과정 중심 수행과제 개발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개발 절차는 수행의 명료화, 수행과제 및 채점기준 개발, 수행평가 실시 및 결과의 3단계로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의 명료화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의 분석을 통해 성취기준-학습목표-평가목표가 일관성을 가지도록 평가시기, 횟수, 반영비율, 수행평가의 영역별 배점, 평가유형을 포함한 학기별 평가계획을 수립하였다. 둘째, 수행과제 및 채점기준 개발 단계에서는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분석하여, 수행과제를 결정하고 과제 소요시간, 참여 방법, 산출물의 형태를 고려하여 개별과제와 모둠과제를 포함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활동 및 지식시장, e-NIE 유형의 수행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행과제는 교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협의를 통해 타당성을 검토하고 재수정하여 세부적인 수행과제 채점기준을 개발하였다. 셋째, 수행평가 실시 및 결과 단계에서는 교사의 수업방향에 따라 교과 운영을 계획을 수립하고 교수·학습과 연계하여 블록 수업으로 시간표를 편성한 후 수행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교과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개발된 수행평가 과제와 수행평가 산출물, 수업적용에 대한 수업성찰을 토대로 수행평가 과제를 재수정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성장을 도울 수 있는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과제를 개발함으로써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현장의 수업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how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o present the detailed aspects of this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rity phase of the performanc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실현하고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하나된 연속활동을 통해 학생의 학습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과정 중심 평가에 기초한 가정과 수행과제를 개발하여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수행과제에 대한 검토 시 ‘성취기준을 달성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과제와 채점기준이 구안되었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며, 동료교사에게 개발자와 다른 관점에서의 검토를 통해 문항 내용이 명료하고 타당한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문항 초안과 함께 제시된 예시 답안 이외의 다른 반응이 있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채점기준의 평가항목, 평가내용, 전체적인 배점 등이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 점검한다.
  • 이를 위해 평가 기본방향과 평가지침을 수립하여 타당성 있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효과적으로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학습경험을 조직하기 위해 성취기준 재구성하기, 수업차시 가감하기, 학생의 참여와 몰입을 이끌 수 있는 수행과제 및 수행방법 선정하기에 집중하였다.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위한 과정 중심 가정과 수행과제 개발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계획에 따라 먼저 연구자가 개발한 수행과제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성취기준 적합성, 평가방법의 타당성, 평가시행 가능성 측면에서 검토하여 수정하였다. 성취기준 적합성의 검토는 성취기준을 지식과 기능을 분석하여 학생의 수행과정에서 중요하게 배워야 하는 필수 학습내용을 다루고 있는지, 수업후 학생들이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익힐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평가방법의 타당성 및 평가시행 가능성의 검토는 학생의 능력수준과 차시 계획, 학교의 교구나 기자재 등의 자원 확보, 성취기준의 기능을 도달하게 하는 평가방법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즉, 학생들이 수업활동을 하는 그 자체가 평가되는 것이다. 학습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아닌 수업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평가가 진행되도록 하였다. 평가시기는 포트폴리오는 수시평가, 지식시장은 4월, e-NIE 논술은 6월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 활동의 핵심적인 요소는 무엇입니까? 교육과정, 수업, 평가는 교육 활동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교육 활동의 핵심적인 요소 간의 균형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러한 균형을 맞춰나가는 것이 교사의 전문적인 활동 중 하나이다.
수행 중심의 능동적 평가는 어떠한 평가 방법인가?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란 학생들의 지식, 기술, 혹은 기능의 수준이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제 상황이나 인위적 평가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과제를 수행하게 하여 학생들의 과제 수행과정이나 학생들이 직접 만들어낸 산출물 혹은 두 가지 모두를 정해진 준거에 따라 관찰과 판단을 통해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Kim, Ban, & Park, 2017). 이러한 수행 중심의 능동적 평가는 개인이 습득한 지식, 기능이나 기술을 실제 생활이나 인위적 평가상황에서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doing, performing) 혹은 어떻게 수행하는지(how to do, how to perform)를 서술, 관찰, 면접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평가 방법이다(Seong, 2014).
Marsh와 Willis(1999)가 나타낸 수행평가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수행평가의 특징에 대하여 Marsh와 Willis(1999)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첫째, 단일 행위가 아닌 여러 행위로부터 근거를 수집해야 한다. 둘째, 평가는 학생들이 학교 밖 세상에서 당면하게 될 과제를 반영하는 것이어야 한다. 셋째, 평가는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그들이 형성한 해결책을 나타내는 것이어야 한다. 넷째, 평가의 절차나 내용은 학생들의 학교생활 속의 일상적인 학습 활동으로부터 추론되어야 한다. 다섯째, 평가는 지역사회의 가치, 기준, 규제를 반영해야 하는바, 그것들은 외부로 드러나 있지 않은 속성을 지닌다. 여섯째, 학생이 평가받는 과제들은 각 문제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수용할 만한 해결책을 포함하는 것인 동시에 각 질문에 대한 하나 이상의 수용할 만한 답변을 포함하는 것이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 J. C., Kim, S., Park, C., & Kim, H. K. (2018). Teachers' perceptions on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 21(3), 105-130. 

  2. Black, H. (1986). Assessment for learning. In D. L. Nuttall (Ed.),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pp. 7-18). London: Falmer Press. 

  3. Brookhart, S. M. (2007). Expanding views about formative classroom assess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J. H. McMillan (Ed.), Formative Classroom Assessment: Theory into Practice (pp. 43-62).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4. Brookhart, S. M. (2015). Performance Assessment. FL: Learning Sciences International. 

  5. Carter, L. (2007).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From Standards to Student Success. Bloomington, Ind. : Solution Tree. 박승열, 이병희, 정재엽, 강운학(역)(2017).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 성취수준에서 학생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Seoul: Sallimteo. 

  6. Chon, K. H. (2016).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Direction and Challenges of Process-centered Assessmen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ssue paper 04. 

  7. Hong, S. H., Chang, I. S., & Kim, T. S.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4), 47-69. 

  8. Hong, S. J., Kwon, J. R., Kim, M. K., Sang, K. A., Ahn, Y. M., Lee, S. I., & Jang, E. S. (2014). 수행평가 지원 사이트 구축 [Establishment of A Performance Assessment Support Sit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9. Kang, D. J., & Yum, S. C. (2015). Analyzing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practical arts with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8(1), 1-18. 

  10. Kim, S., Ban, J. C., & Park, C. (2017). 수행평가와 채점기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Scoring Criteria]. Daejeon: AMEC. 

  11. Lee, K. H., Kang, H. Y., Ko, E. S., Lee, D. H., Shin, B. M., Lee, H. C., & Kim, S. H.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819-834. 

  12. Lim, J. H., & Choi, W. S. (2018).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rocess-focused evaluation'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5(3), 31-59. 

  13. Marsh, C. J., & Willis, G. (1999).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2n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14.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Instruction (6th ed.). Boston: Pearson. 

  15. Ministry of Education (1998). 수행평가의 이해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Seoul: Ministry of Education.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 Economics)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7. Ministry of Education (2016a).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훈령 일부 개정) [Guidelines for School Records Making & Managemen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8. Ministry of Education (2016b). Guidebook for the Framework of the 2015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9. Ministry of Education & KICE (2014).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성취 평가제-고등학교 보통교과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General Subjects of High Schoo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 Ministry of Education & KICE (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How to Conduct A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Middl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1. KICE (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이렇게 해요! [Process-centered Performance Assessment, Do thi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2. Nitko, A. J., & Brookhart, S. M. (2011).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23. Park, J. I., Noh, E. H., Kim, Y. H., & Chon, K. H. (2017). A Study on Monitoring and Improve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Policies in Secondary School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4. Popham, W. J. (2008). Transform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CD. 

  25. Scriven, M. (1967). The methodology of evaluation. In R. W. Tyler, R. M. Gagne, & M. Scriven (Eds.), Perspectives of curriculum evaluation(Vol. 1, pp. 39-83). Chicago, IL: Rand McNally. 

  26. Seong, T. J. (2014). 현대교육평가 4판 [Modern Educational Evaluation]. Seoul: Hakjisa. 

  27. Sin, H. J., Ahn, S. Y., & Kim, Y. W. (2017). A policy analysis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focusing o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ou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 Evaluation, 20(2), 135-162. 

  28. Son, J. H. (2018). The effect of backward design reflect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science learning achievement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2), 90-106. doi: 10.15523/JKSESE.2018.11.2.90 

  29. Song, M. Y., Kim, K. H., Lee, K. E., Noh, E. H., Lee, J. W., & Kim, J. Y. (2016). 수행평가 확대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과 과제 [Major Issues and Challenges in Expanding Performance Assessment].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30. Stiggins, R. (1994). Student-Centered Classroom Assessment. New York: Merrill. 

  31. Stiggins, R. J. (2002). Assessment crisis: The absence of assessment for learning. Phi Delta Kappan, 83(10), 758.-765. doi: 10.1177/003172170208301010 

  32. Stiggins, R. J. (2005). From formative assessment to assessment for learning: A path to success in standards-based schools. Phi Delta Kappan, 87(4), 324-328. doi: 10.1177/003172170508700414 

  33. Yoo, Y. S. (2017). 교육과정-수업-평가를 일체화하는 과정 중심 평가 [Process centered Assessment for Total Instructional Alignment]. Seoul: Joyschoo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