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3, 2018년, pp.111 - 127  

이지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임소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최유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은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이소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가정과 교육과정을 시기별로, 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에서 사용되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수집한 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10개의 교육과정 원문이며, 분석도구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데이터 수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개념을 추출하여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에 따라 유지 및 변화되는 핵심 개념이 있었다. '생활', '가정'은 교육과정 변화에 상관없이 지속되는 핵심 개념이었으며,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로는 '문제', '능력', '해결', '실천'이 강조되었다. 셋째, 핵심 개념 연결망 분석 결과를 통해 각 가정과 교육과정 마다 핵심 개념 간의 관계를 점(node)과 선(line)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생활'과 '가정'을 중심으로 시대별로 강조한 핵심 개념이 강하게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가정과 교육의 방향성과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used in big data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were 10 curriculum texts from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to th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과 교육가 오늘날 사회에 가지는 의미는? 결국 가정과 교육은 학습자 자신의 생활과 관련된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는 교과임을 증명하고 있다. 즉, 가정과 교육은 오늘날 사회가 겪고 있는 저출산・고령사회로의 변화, 다양한 가족의 출현, 개인 및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되는 건강한 가치관과 태도를 길러줄 수 있는 교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가족생활의 필요성을 공적교육에서 준비해야 한다는 인식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Wang, 2015).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에서 알 수 있는 문제점은? 이에 실제로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교육과정을 분석한 연구들은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가족생활, 소비생활 등과 같이 내용 요소의 특정 영역 분석이나 교과서 분석에 치우쳐 있는 실정이다. 그 동안의 교육과정의 내용들을 모두 분석하는 것은 그 텍스트의 양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인정한다고 할지라도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교육과정은 협의적 의미에서부터 광의적 의미, 시대 및 학자마다 정의가 다양하므로 교육과정의 정의를 한마디로 결정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정의에 대한 시도를 차치하더라도, 국가가 고시 및 개정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교육과정은 학부모, 교사, 전문가 등의 다양한 요구들과 그 시대의 변화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Yang, 2015). 더불어 교육과정은 교과서나 교수방법과 같은 교육 내용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을 분석하여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ck, Y. M. (2017). Text mining using R. Paju: Hanul academy 

  2.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1). Introd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aju: Kyomunsa. 

  3. Choi, J. H. (2001). 중등 가정과 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13, 135-158. 

  4. Go, I. G. (2016). The key concept study of agriculture unit in practical arts based on big data analysis method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4), 431-450. 

  5. Han, J. (2018). Research on high school students' demand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6), 739-759. 

  6. Heo, Y. S., Kim, N. E., Choi, M. J., Baek, M. K., Gwak, S. J., & Cho, J. S. (2013).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1), 95-118. 

  7. Jeon, S. K. (2014). The plan for development of subsequent curriculum based on the section 'family life'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and key competence.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4), 35-50. 

  8. Ju, S. E., & Park, M. S. (2015). The analysis of core contents in comsumer area from 1st to 2009 revise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4), 37-50. 

  9. Kim, J. W., & Jun, M. K. (2012). A study on the change of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by national curriculum : focus on the 1st-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4), 19-37. 

  10. Kim, S. A., Lee, S. H., Kim, J. W., Kim, S. J., & Kim, D. S. (2015). Analysi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art for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text mining. Korea Art Education Association, 29(1), 1-24. 

  11. Kim, Y. J., & Lee, G. S. (2016). A proposal on the improvement of lexical contents of high school English text books utilizing text mining.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 Journal, 24(4), 281-301. 

  12. Kweon, L. R. (2005). 가정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분석: 제7차 기술, 가정 및 가정과학 교육과정 중심으로 [Home economic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alysis: The 7th technology, home ecomomics & home science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1(3), 119-130. 

  13. Lee, D. M. (2014).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the semanticsStructure of 2009 revised school curriculum.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9(6), 949-969. 

  14. Lee, D. M., & Goh, A. R. (2015).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econdary geography curriculum of the republic of korea - content analysis focusing on the 2009 revise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Korea Association of Social Education, 54(3), 1-19. 

  15. Lee, S. H. (2010). Future tasks and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to make the best use of home economics textbooks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newly revised 2007 home economics curriculum.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2(2), 133-153. 

  16. Lee, Y. S., & Jang, S. O. (2010). Content analyses of housing area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y 2007 revised curriculum.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3(2), 131-148. 

  17. Lim, Y. N., & Jang, S. Y. (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749-771. 

  18. Ministry of Education (1963). Middle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120. Seoul: Author 

  19. Ministry of Education (1973). Middle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325. Seoul: Author 

  20. Ministry of Education (1981). Middle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442. Seoul: Author 

  21. Ministry of Education (1987). Middle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87-7. Seoul: Author 

  22. Ministry of Education (1992). Middle school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2-11. Seoul: Author 

  23. Ministry of Education (1997).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1997-15 [Annex 10]. Seoul: Author 

  24.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Informatics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Annex 10]. Seoul: Author 

  25.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Proclam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7-79 [separate volume 10]. Seoul: Author 

  26.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The practical course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Proclamat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361 [Annex 10]. Seoul: Author 

  27. Nam, S. J. (2016). Core concepts of home economics : Management and planning of life-cycle.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2), 51-59. 

  28. Oh H. Y., & Bark J. S. (2018). Text data analysis base using computer & R. Seoul: Human science. 

  29. Oh, K. S., Ha, J. S., & Lee, S. H. (2017). Review and alternatives to the internal consistency of home economics curriculum components : focused on the clothing & textiles area.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3), 49-75. 

  30. Park, J., Cho, W. S., & Lee, J. B. (2017). Text mining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using R.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0(2), 17-33. 

  31. Wang, S. S. (2015). 미래사회의 변화와 가정과 교육과정 연계 방안의 탐색 [Exploring changes in future society and linking home and curriculum] Proceedings of the 2015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Korea, 102-129. 

  32. Yang, J. H. (2015). The contents analysis for 2015 curriculum of the "Home Life" in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8(4), 327-341. 

  33. Yoo, T. M. (2006). The nature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4), 193-20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