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과와 가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nd Home Economics Curriculum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3 no.1, 2021년, pp.17 - 35  

김은경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이영선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감경원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차지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박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에 제시된 '기능'과 '성취기준'을 가정과 교육과정과 비교 분석하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을 포함한 14개 교과의 '기능'과 '성취기준'을 키워드 네트워크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기능'에서는 '분석, 활용, 표현'이 연결 중심성과 위세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적인 기능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는 '이해, 설명, 표현, 분석, 활용'의 기능형 키워드가 높은 빈도로 등장했고,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과 연관이 있는 '실천, 문제해결, 탐색, 추론' 등이 출현했다. 위세 중심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감상, 해결, 실현'은 '성취기준'에서 사용된 핵심적인 기능형 키워드로 확인되었다. 셋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비교한 결과, 실과(기술·가정)의 기능 키워드 15개 중에서 7개가 가정과 '성취기준'의 기능형 키워드에 사용되지 않아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공통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성취기준'에 활용된 기능형 키워드의 다양성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기능'과 '성취기준'의 연계성 강화와 '분석, 표현, 비교, 이해, 해석, 탐구, 감상, 해결' 등의 다양한 기능(형) 키워드 활용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home economics curriculum by comparing the 'function' and 'achievement standard' presented in the 14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with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is, keyword ...

주제어

참고문헌 (22)

  1. Choi, S. J. (2016).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for communication research]. Seoul: Communication Books. 

  2. Gham, K. W., & Park, M. J. (2020).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KCI journals (2000-2019).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2(3), 179-197. doi:10.19031/jkheea.2020.09.32.3.179 

  3. Heo, G. C. (2005). A study on the follow up support for the substantiation of school education (III):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pplication process for the substantial school education (Research Report RRC 2005-2-1).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4. Jeon, S. K. (2016). A review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explanation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home life'. Proceedings of the 2015 Winter The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Conference (pp. 1-19). Cheongju: The Korean Association of Practical Arts Education. 

  5. Kim, B. M., & Kim, Y. M. (2019).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subject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cusing on content system 'skill'. Learner 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9(18), 845-873. doi:10.22251/jlcci.2019.19.18.845 

  6. Kwahk, K.-Y. (2017). 소셜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hungram. 

  7. Kwon, M. H., & Park, J. S. (2020). Critical review of 'skill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151-161. 

  8. Lee, K. H., Lee, K. W., Park, J. M., & Park, M. J. (2013). A study on the restructure of curriculum focused on core competency (Research Report RRC 2013-17).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9. Lee, K. W., & Jeung, Y. K. (2017). A reflective review on constitution of content system in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key concept, generalized knowledge, and skill. Learner 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7(16), 597-622. doi:10.22251/jlcci.2017.17.16.597 

  10. Lee, M. K.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mpetency based curriculum for the 21st century: OECD education 2030 (Research Report RRC 2016-5). Seoul: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1. Lee, S.-S.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Seoul: Nonhyung. 

  12. Lee, S.-S. (2018).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Network analysis methods application and limitations]. Seoul: Chungram. 

  13. Lim, Y. J., & Park, M. J. (2019).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skills and subelements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2(1), 141-162. doi:10.24062/kpae.2019.32.1.141 

  14. Lim, Y. N., & Jang, S. Y. (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Learner 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6(10), 749-771. doi:10.22251/jlcci.2016.16.10.749 

  15. Ministry of Education.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Notice No. 2015-74, Separate 1). Sejong: Author. 

  16. Ministry of Education. (2015b).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Information Curriculum] (Notice No. 2015-74, Separate 10). Sejong: Author. 

  17. Ministry of Education.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중학교 [Commentary of the national guidelines for 2015 revised curriculum middle school]. Sejong: Author. 

  18. Ministry of Education. (2018).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contents system of curriculum. Sejong: Author.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Notice No. 2009-41, Separate 1). Seoul: Author. 

  20. Park, M. J., & Han, J. (2020). Research trend analysis for North Korea educ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Learner 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20(11), 185-213. doi:10.22251/jlcci.2020.20.11.185 

  21. Park, Y. J. (2016). A study of 'skill'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Critical understanding. Teacher Education, 32(3), 127-145. doi:10.14333/KJTE.2016.32.3.127 

  22. Yang, J. S., & Lee, G. S. (2018). Analysis of knowledge and competenc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Anderson's revision of Bloom's taxonomy: Focu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30(3), 129-149. doi:10.19031/jkheea.2018.09.30.3.129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