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Plan for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3, 2018년, pp.175 - 193  

최서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가정교육과) ,  주수언 (동국대학교(경주)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을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중학교 '식생활' 단원을 1차시부터 8차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성취기준에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 '식행동 평가'를 통하여 식생활 관리 방안이 강조되었다. 학습요소는 '균형잡힌 식사', '청소년기 영양', '식사의 계획과 선택'이었고, 영양소 판단능력과 균형잡힌 식생활 능력으로 교과역량을 설정하였다. 식생활 단원의 12종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었지만 '청소년기 영양'과 '식생활', '식행동'에 대한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이나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은 백워드 설계 모형의 3단계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자가 점검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8차시의 템플릿을 완성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도를 구현한 수업 방식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가정과 교사가 수업에 활용하고 적용하여 수업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urs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s the one that fosters the ability to solve life problems. The life problem is permanent involving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ety in overall. Thus, this study was to compose a class which applied the backward design model suggested by Wiggins and McTig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단계 템플릿은 1단계에서 설정한 바라는 이해에 따른 단원을 위해 평가 계획을 구체화하기를 요구한다. 단원에서 바라는 충분한 학습의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가장 적합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구체화하고 고려하도록 한다. 3단계 템플릿은 학습활동과 단시 수업의 목표를 요구한다.
  •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의 목표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과 식생활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Table 4]와 같이 이해와 본 질적 질문으로 나누고 학생들이 알게 될 것과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
  •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고2015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하여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가정교과 내용 중 ‘식생활’ 단원의 1차시에서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고2015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현장 적용을 위하여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가정교과 내용 중 ‘식생활’ 단원의 1차시에서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 수업에 대한 교육현장의 교사들과 학생들의 관심을 높이고,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식생활 단원에 대한 수업 설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밝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핵심 개념들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었지만 ‘청소년기 영양’과 ‘식생활’, ‘식행동’에 대한 영속적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이나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공통의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백워드 모형을 적용하여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 첫째, 이해의 측면을 포함한 목표의 특징을 찾아내기 위하여 우리가 필요로 하는 증거의 종류가 무엇인가? 둘째, 바라는 결과가 성취되는 정도(준거, 루브릭)를 결정하기 위하여 우리는 학생의 어떤 반응, 결과물 혹은 수행의 구체적인 특징을 검사해야 하는가? 셋째, 제시된 증거는 학생의 지식, 기능 또는 이해를 추론할 수 있는가? 증거는 목표와 일치하는가? 결과는 분명한가? 이러한 질문을 통하여 교사는 이해를 평가할 수 있는 수행과제와 루브릭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활동 계획을 와 같이 GRASPS에 근거하여 수행과제를 개발하였다. GRASPS의 틀은 실제적인 과제로 학습자들이 어디서든 적용할 있고, 타당한 목표를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강력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가정교과 내용 중 ‘식생활’ 단원을 1차시부터 5차시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전문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수업에서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돕기 위하여 Wiggins와 McTighe가 제시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하여 가정교과 내용 중 ‘식생활’ 단원을 1차시부터 5차시에 해당하는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데 있다.
  • 식생활 단원은 기술 가정 교과서의 1권, 2권 모두에서 다루어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정생활과 안전’ 영역 중 ‘생활문화’라는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교수 학습 과정 안을 구성하고자 하였으므로 이에 해당하는 가정 교과서 1권의 식생활 단원 내용요소를 조사하였다.
  • 아울러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학습효과를 교사 전문가집단 검증으로 실시했다.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어떠한 수업의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에 대한 수업의 효과는 향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이러한 백워드 설계 모형의 설계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 모형에 따른 설계 방식을 2015 개정 가정 교과서의 ‘식생활’ 단원에 적용하여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1단계에서는 수업을 계획하는 교사가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바탕으로 영속적 이해와 관련된 ‘본질적 핵심 질문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교수학습과정안의 목표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목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과 식생활문제를 인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 템플릿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1단계 템플릿은 학생들이 이해하기를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들에서 그러한 이해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려하기를 요구한다. 즉, 학생들이 단원이 내포하고 있는 이해와 본질적 질문을 확인하도록 한다. 2 단계 템플릿은 1단계에서 설정한 바라는 이해에 따른 단원을 위해 평가 계획을 구체화하기를 요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yler 방식의 교사주도의 수업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수업에서는 교사들이 수업 내용과 방법을 먼저 구상하고, 평가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 기준에 도달했는가를 측정하는 Tyler 방식의 교사주도의 수업이 이루어졌었다. 이러한 교수설계 방식의 수업에서는 수업과 수업, 단원과 단원 간의 연계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단편적인 지식 전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교과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에 도달하기 어려웠다. 특히 모든 평가가 수업 후에 중간고사나 기말고사를 통한 평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교과에서 추구하는 목적의 달성을 시험점수의 결과에 따라 판단할 수밖에 없었다(Lee, 2011).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운 교육환경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지식 의 전달자’가 아닌 ‘지식의 안내자’로 변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창조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상을 제시하고 있다.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의 목적이 각 교과의 내용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이 학교에 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으로 전환시켜 미래 사회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은 과거와 달리 매우 복합적인 환경에 서 많은 문제에 당면해있다.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성취기준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중학교 '식생활' 단원을 1차시부터 8차시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가정교과 '식생활 단원'의 성취기준에서는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 '식행동 평가'를 통하여 식생활 관리 방안이 강조되었다. 학습요소는 '균형잡힌 식사', '청소년기 영양', '식사의 계획과 선택'이었고, 영양소 판단능력과 균형잡힌 식생활 능력으로 교과역량을 설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e, Y. Y.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Guidelines for the ESD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2. Cho, S. H. & Park, C. H. (201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4), 1385-1404. 

  3. Han, K. E.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learning Guide to the Dietary Unit Class Using Read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Education, 20(4), 125-137. 

  4. Hwang, H. J., & Park, H. J. (2016). Exploring a Course Plan Using the Implementation Tasks in Mathematics. Korean Mathematical Society, 55(1), 107-127. 

  5. Jang, S. B. (2010). Design and Application of Classroom for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Differentiate Class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ens, Seoul, Korea. 

  6. Jang, H. W.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tific Exploration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oungin, Incheon, Korea. 

  7. Joe, S. H., & Baek, C. W.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Broadcasting System (STEAM)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A Study on the Curriculum, 17(4), 1385-1404. 

  8. Joe, J. S. (2005). A Study on the Design Model of Backward Curriculum. Kore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23(1), 63-94. 

  9. Kang, H. S. (2008). The Development of Reverse Education (handbook). Seoul: HakJisa. 

  10. Kang, H. S. (2008). The development of reverse education-Workbooks for Teacher Research. Seoul: HakJisa. 

  11. Kang, H. S. (2008). The development of reverse education for true understanding of the classroom. Seoul: HakJisa. 

  12. Kang, H. S., & Yoo. J. S. (2010). Designing Curriculum with Backward Design.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 40(40), 1-37. 

  13. Kang, H. S., & Lee. J. E. (2013).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2.0 version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Kore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31(3), 153-172. 

  14. Kang, H. S. (2013). Design and Development of Backward Unit I. Seoul: Education science history 

  15. Kang, H. S., & Lee. J. E. (2014).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in the gifted class. Korean Association for English Education, 13(1), 129-154. 

  16. Kang, H. S., & Lee. J. E. (2016). Theory and Practice of Backward Design. Seoul: HakJisa. 

  17. Kendall, J. S., & Marzano, R. J. (1997). Content Knowledge. A Compendium of Standards and Benchmarks for K-12 Education. 

  18. Go, E. K. (2016). A Study on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Room and Farm Unit in Elementary School Using Backward Design Models. Korea Institute of Room Education, 22(2), 257-276. 

  19. Kim, S. J. (2010).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ocial Studies and Class Design in Elementary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ens, Seoul, Korea. 

  20. Kim, S. J. (2018). Exploring changes in classroom planning with backward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1. Kim, J. S. (2016).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and Family Unit for Middle School Using Backward Design 2.0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usan, Pusan, Korea. 

  22. Lee, B. G. (2011). A Study on the Teaching Desig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Class using Backward Design Model. Korean Bibliography Association, 22(3), 5-24. 

  23. Lee, D. S.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Units for Technology Subjected to Backward Design Mod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Chungnam, Chungju, Korea. 

  24. Lee, J. S.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Section based on Backward 2.0 Design Mod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usan, Pusan, Korea. 

  25. Lee, K. S., & Yoo, T. M. (2015). Development of a Class Module for the Consumption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amily Education, 27(2), 95-119. 

  26. Lim, Y. N., Cho, H. O., Leem H. J. & Yoon, W. S. (2013). Exploring the integration of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with customized classes. Learner-centered Journal of Curriculum and Education, 13(2), 61-83. 

  27. Lim, Y. J.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Unit of Middle School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youngbuk, Daegu, Korea. 

  28. Park, M. J.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oriented Elementary Science Unit using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ens, Seoul, Korea. 

  29. Park, L. S. (2012). Exploring the Math and Applicability of the Backward Design Model. Korean Association for Curriculum, 30(4), 109-137. 

  30. Park, J. L. (2017). A Study on the Method of Attaching Traditional Acid in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Using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Korea. 

  31. Ryu, Y. J. (2011).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me-centered Integrative Approa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32. Sung, S. H. (2012).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Understanding-Based Curriculum Based on Teacher Cooper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ens, Seoul, Korea. 

  33. Son, Y. S. (2014).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ociety and unit using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Pusan, Pusan Korea. 

  34. Yang, J. S. (2017). An Analysis of the 'Home of Home' area of the educational process for 2015 revision (Technical and Family) in 2007 based on Posner's Theory. Korea Institute of Education, 23(3), 19-39. 

  35. Yoon, H. M.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Historical Unit of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latest Backward Design Mod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Gyoungbuk, Daegu, Korea. 

  36. Wang, S. S. (2018). Template Restructuring of Backward design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30(2), 117-136. 

  37. Wiggins, Grant, McTighe, Jay (1999).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38. Wiggins, Grant, McTighe, Jay (2005). Understanding by Design. Assn for Supervision & Curriculum 

  39. Wiggins, Grant, McTighe, Jay (2011).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to Creationg high-quality units, Alexandria. 

  40. Wiggins, Grant, McTighe, Jay (2012).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oncepts in Creation and Reviewing Units, Alexandri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